View : 6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유미-
dc.creator이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7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797-
dc.description.abstractAfrican traditional ornaments have spread fast with its artistic talent in the present days. Even though it has not been so long since African Art has become known, The originality and the sense of formation in African primitive arts has kept the thread of its life in spite of influences from foreign cultures, as well as giving impetus and new opportunities to contemporary art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frican natives and infinite themes of their works has broaden the space of new works in our modern society where people are in pursuit of diversity and individuality. In this sense is to focus on finding ways for developing creative works, the author of this study, which satisfy various wishes of expression by applying the image of purity and simplicity from African arts, as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was executed first by analyzing the concept of spiritual background where African arts has been 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vitality and the history of African art works as a theoretical base. Second of all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masks and sculptures, which show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were analyzed as well. Finally, African textiles that have been re-created today into new designs were researched as well, especially focusing on the patterns and sense of materials in typical textiles from Central Africa and Western Africa. Textile works was done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with emphasis on colors, sense of materials and patterns, which could well show the features and images of African countries. The major conclusions in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frican texture patterns are formed based in Animism and their religious view point of arts. For the more they were built up with geometrical patterns which were symbolized by interpreting the nature, such as animal and plants as motives. Second, visual varieties have been expressed by composition methods such as repetition, stress of colors and geometric types from African patterns. Third, Summer and Winter weave was used in this writer's work partly to express various patterns as well as plain weave. Flexible composition of size and position of geometric patterns by increasing shaft were used to communicated the images effectively. Fourth, flat monotony coming from hand-loom made textiles with has been complemented by utilizing flexible and rhythmical weft, embroidery and dyeing In conclusion, the author discovered a new understanding through the study african artistic sense that maintains its tradition and originalities although it's not well-known yet. The author hopes this traditional african energy could be re-developed in forms of modern designs with ultimate opportunities. Utilizing its traditional art works with unlimited possibilities.;아프리카 미술이 사람들에게 인식되어진 것은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으나, 그들의 전통적인 예술품들은 현대에 와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빠르게 전해졌다. 아프리카 원시미술에서 나타나는 독창성과 조형성은 외래문화의 영향 속에서도 순수한 형태로 그 명맥이 계속 이어져오고 있으며 현대미술에 새로운 가능성과 자극을 주게 되었다. 또한 아프리카의 원주민들의 미의식과 아프리카의 원시미술의 무한한 작품소재들은 다양화, 개성화를 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작품제작의 영역을 확대시켜주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자는 아프리카 미술에서 보여지는 순수성과 단순성의 이미지와 토속적이고 화려한 색상을 응용하여 현대 직물디자인에 부합할 수 있는 창조적이고 개성 있는 작품 개발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아프리카 미술품에서 느껴지는 생명력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아프리카 미술이 형성된 배경을 사회적·정신적 맥락에서 그 개념을 분석한 다음, 다양한 형태미와 조형미가 느껴지는 가면과 신체장식의 문양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현대에도 새로운 디자인으로 발전되고 있는 아프리카 직물을 알아보고 그 중에서도 대표적 직물이라 할 수 있는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의 직물에서 표현되는 문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아프리카라는 나라에 대한 이미지를 토대로 그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들 중에서 색상, 질감, 문양에 중점을 두어 직물을 제작하도록 하였으며, 현대적인 디자인으로서의 가능성을 나타내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프리카의 문양은 그들의 토속신앙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주로 자연물의 모티프를 상징적으로 해석하여 기호화된 기하학적 문양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둘째, 아프리카 문양에서 표현되는 기하학적 형태와 색채를 반복, 강조 등의 구성방법으로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다양함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현대적 감각에 부합할 수 있는 패턴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컴퓨터 위빙 프로그램인 ‘PWSW’ 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패턴 제작을 하였으며, 평직조직 이외에 문양을 나타내기 위해 부분적으로 썸머 앤 윈터(Summer & Winter)조직과 허니콤브(Honey Comb)조직이 사용되었다. 또한 종광 수를 늘림으로서 기하학적 패턴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구성하여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었다. 넷째, 수직기에 의해 제작된 직물에서 느껴질 수 있는 평면적인 단조로움을 자유롭고 율동적인 위사의 사용, 기계 스티칭 기법과 염색기법을 이용하여 디자인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그들만의 전통과 독창성을 유지하고 있는 아프리카의 예술적인 감성을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어떤 외래문화의 영향 속에서도 순수한 형태로 유지되고 있는 아프리카 미술의 디자인적 요소를 응용하여 제직한 직물디자인의 발전가능성과 새로운 잠재력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계기를 통하여 현대 직물디자인에 아프리카의 조형적 특징인 기하학적인 문양과 토속적인 색채를 사용함으로서 창의적인 디자인 전개로의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 2 Ⅱ. 본론 = 3 A. 이론적 배경 = 3 1. 아프리카 미술의 사회적 배경 = 3 2. 아프리카 미술의 정신적 배경 = 5 B. 아프리카 이미지의 연구 = 8 1. 아프리카 미술의 미의식 = 8 2. 아프리카 문양의 고찰 = 10 3. 현대 직물디자인에 나타난 아프리카 이미지 = 26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31 A. 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 31 B. 작품분석 = 33 Ⅳ. 결론 = 77 참고문헌 = 79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7241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아프리카 이미지를 응용한 직물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abric Design Imaged with African Pattern-
dc.creator.othernameLEE, YUMI-
dc.format.pagex,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섬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