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보아-
dc.creator정보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8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899-
dc.description.abstractPainting became a field of the pure art which reflects the spirit of the contemporary times as a cultural product. It is a formative art which expresses concrete shapes or images on the two-dimensional plane. It started as a sorcerous means for the sake of humans’ survival, gradually took on religious and ornamental purposes, and then developed into a self-expressional and autonomous being. This pure painting kept changing and growing along with humans, it created beauty, and it, as a creative work, is acting on all the aesthetic elements of human life. Fashion design of the modern times is also attempting to enhance the value of its beauty by virtue of the inspiration from paintings. Moreover, the phenomenon of integration taking place on the boundaries of various genres of art in a diverse and active way made it possible for the fashion design to serve as a work of painting art, promoting itself out of a mere concept of dressing and clothing. Morris Louis is one of the painters representing the Post-Painterly Abstraction who produced works mainly in Washington, among other artists of Abstract Expressionism which is one of the major trends of art in the U.S. from 1950s up to 1960s. He is evaluated as having accomplished the perfect complanation, i.e. the nature of painting, in pursuit of which he used the Staining Technique (which makes washy colors sink into the cotton-wool canvas, developed by Helen Frankenthaler and adopted by the Post-Painterly Abstractionists like Morris Louis, Kenneth Noland, etc.) while abstaining from reproducing objects based on the laws of perspective and light-and-shade contrast that help to realize concrete shapes and three-dimensional spaces. This thesis accepts the current trend in which all the genres of art in the present age exchange their own characteristics through their synthesis. In this regard, it applies the formative features of Morris Louis’ paintings and the notion of Post-Painterly Abstraction originated from its expression technique on to the fashion design, aiming to develop the study of fashion design into the status where the values of artware and painting coexist. Before the manufacture of the work, the artistic background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rris Louis’ are researched and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omplanation in painting in the midst of Abstract Expressionism are examined. The distinctive concepts and formative attributes of Post-Painterly Abstraction, apart from Abstract Expressionism, are investigated based upon the background of Post-Painterly Abstraction’s fomentation, the change in painting between Abstract Expressionism and Modernism which was eventually influenced by Post-Painterly Abstraction, and the criticism on the Abstract Expressionism and Post-Painterly Abstraction made by Clement Greenberg who was influential at that time. The implication and status of Post-Painterly Abstrac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which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painting image which was to be adapted in the work of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Post-Painterly Abstraction can be recapitulated as in the following: Due to the development and trial of Staining Technique, Morris Louis could reach complanation of painting and fulfilled the openness of structure owing to the concept of expansion felt by the blank space without drawings. In addition, he attained the linear lucidity in pursuit of colored surface, restrained from an artist’s emotion and action. It was an attempt to realize a painting for painting’s sake as a formative objet, sublating the reproductive or autobiographic feelings represented by the earlier abstract paintings and Abstract Expressionism. This formativeness, characteristic of Post-Painterly Abstraction, made the painting into a complete visual objet, away from a reproductive, expressional tool which was not a painting itself any more. With a motif of Morris Louis’work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veness of Post-Painterly Abstraction, the Painting Technique of dyeing, one of the various dyeing techniques which manufacture a work of art with the notion of painting of Louis’, is to be employed. The expressional technique for Morris Louis’works, Staining Technique, is also interpreted as a conceptual activity incorporating the ground and colors which permeates dyes into a cotton-wool canvas so that colors can stay in the texture of the canvas. The Painting Technique of dyeing, chosen for realizing a technique including the above concept, is one of the varied dyeing techniques which make it possible to include the notion of Post-Painterly Abstraction by reproducing the Staining Technique in the work of research, and at the same time, to acquire solidity and firmness for the purpose of practicality for clothes. Therefore, it is estimated as an appropriate technique. On the other hand, the examination of the kinds and techniques for dyeing and the kinds for dyestuffs, with a view to looking into the adequacy of the expressional technique and the chosen colors for the work of research, helped to select the Javana dyes, one of the textile colors, which is easy to use, free in pictorial expressions, and satisfactory in chromogenicity and solidity. The conclusions drawn from manufacturing the work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Painting Technique of dyeing by means of Javana dye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tive features and the artist’s mental states, which are chronologically changing throughout Morris Louis’ works, could be expressed by reproducing the Staining Technique, representative of Post-Painterly Abstra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Louis’works. This image has a value of painting which becomes a subject in expressing the changing process of Morris Louis as an artist of Post-Painterly Abstraction, not functioning as decoration for clothes. Second, the fashion design was made minimally in style, restrained from decorative elements,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Morris Louis’works and emphasize the image of the work. As a result, emphasis was stressed on the image with a motif from painting of Morris Louis’. Third, the use of textile colors, developed by combining dyes and colors in an appropriate proportion so a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dyeing, made it easy to present pictorial expressions more freely and had the work of research closer to that of painting in terms of technique and concept. Fourth, the image of each work made to reflec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color changes of the four series based on the Painting Technique of dyeing, which is revival of Staining Technique,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ose expressional methods simply applying motifs to design since it contains the linear lucidity, structural openness, and complanation of Post-Painterly Abstraction.;회화란 2차원의 평면에 구체적인 형상이나 이미지를 표현하는 조형예술로 인류의 생존을 위한 주술적 맥락에서 형성되었으나 점차 종교적이고 장식적인 목적으로 제작되었다가 자기 표현적이고 자율적인 것으로 발전하여 당대의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문화적인 산물로 순수 예술의 한 분야가 되었다. 이러한 순수회화는 인류와 함께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아름다움을 창조하고, 예술적인 창작 작업으로서 인류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심미적 요소에 작용하고 있다. 현대에 와서 의상디자인 또한 회화로부터 얻어지는 영감을 통하여 그 미적 가치를 상승시키고자 하고 있다. 또한 점차 예술의 각 분야에서 장르의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방식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통합 현상은 의상디자인도 단순한 복식의 개념에서 벗어나 예술적 가치를 한층 높여 회화 작품으로서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였다. 모리스 루이스(Morris Louis)는 1950년대와 1960년대까지 미국의 대표적인 미술사조인 추상표현주의의 화파 중에서 주로 워싱턴에서 작품 활동을 하던 후기 회화적 추상 작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착색기법*을 사용하여 회화의 구체적 형상과 3차원 공간을 재현하는 원근법과 명암의 대비를 지양하고 재현적 기능으로서가 아닌 회화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탐구로 회화의 본질인 완전한 평면화를 이루었다고 평가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에 들어 예술의 각 장르가 점차 통합하여 상호간의 특징을 교류하는 현상을 받아들여 위의 모리스 루이스의 회화의 조형적 특징과 그 표현 기법에서 유래하는 후기 회화적 추상의 개념을 의상디자인에 응용하여 아트웨어로서와 회화로서의 작품적 가치가 공존하는 의상디자인 연구로 발전 시키고자 한다. 작품을 제작하기에 앞서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성립하기 위하여 모리스 루이스의 작가적 형성 배경과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 분석하고 추상표현주의 속에서 회화의 평면성 획득에 대한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후기 회화적 추상이 태동한 배경과, 후기 회화적 추상이 종국에 영향을 미치는 추상 표현주의와 모더니즘의 경계에 있었던 회화의 변화와, 당시의 영향력 있었던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의 추상표현주의와 후기 회화적 추상에 대한 평론을 중심으로 후기 회화적 추상의 추상표현주의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개념과 작품의 조형적인 특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후기 회화적 추상의 미술사적 의의와 그 위치를 고찰하고 특징적인 조형성을 정리 하여 연구 작품에 응용 할 회화 이미지 제작에 효과적으로 적용 시킬 수 있었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얻은 후기 회화적 추상의 조형적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리스 루이스는 착색기법의 개발과 시도로 회화의 평면성을 이루었으며 드로잉이 되지 않은 여백에서 느낄 수 있는 확장의 개념으로 인한 구조의 개방성을 이루었다. 또한 이전 추상회화와 추상표현주의의 재현적이거나 자서전적인 감정표현을 지양하고 보다 회화를 회화자체로서의 조형적 오브제로 만들려는 시도로 작가의 감정과 액션을 자제한 색면을 추구하여 선적인 명료성을 이루었다. 이러한 후기 회화적 추상의 특징적인 조형성은 회화를 회화 이외의 것의 재현적 표현의 도구에서 완전한 시각적 오브제로 만드는 것에 다다르게 하였다. 위와 같은 후기 회화적 추상의 조형적인 특징을 갖는 모리스 루이스의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그의 작품의 회화적인 개념을 포함하는 작품을 제작하는 표현 기법으로 염색의 다양한 기법 중 하나인 Painting 염색기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모리스 루이스의 작품의 표현기법인 착색기법은 생면의 캔버스에 물감을 스며들게 하여 캔버스의 조직에 안료를 착색시켜 색을 표현한 방법으로 바탕과 색의 통합을 이뤄내는 개념적인 행위로도 해석된다. 이러한 개념을 포함한 기법을 재현하기 위해 선택한 Painting 염색기법은 섬유 물감을 이용한 염색의 다양한 기법 중 하나로 연구작품에 착색기법을 재현하여 후기 회화적 추상의 개념을 포함시킴과 동시에 염료의 사용으로 의상으로서의 실용성을 위한 견뢰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적합한 기법이라고 판단 된다. 연구작품의 표현 기법과 사용 할 염료의 선택에 대한 타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염색의 종류와 기법, 염료의 종류를 연구하여 작업에 적합한 염료로는 그 사용이 용이하여 자유로운 회화적 표현이 가능하고 만족 할 만한 발색력과 견뢰도를 가진 섬유물감의 한 종류인 자바나 염료를 선택하였다. 위와 같이 연구한 이론적 배경과 자바나 염료를 사용한 Painting 염색기법으로 작품을 제작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리스 루이스의 작품에서 제작 연도 순으로 볼 수 있는 변화하는 조형적 특성과 작가의 심리 표현을 그의 작품의 연구 분석을 통하여 후기 회화적 추상 작가의 대표적 표현기법인 착색기법의 재현으로 표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는 의상을 장식하는 역할로서의 이미지라기 보다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한 모리스 루이스의 후기 회화적 추상 작가로서의 변화 과정을 표현하는 주체가 되어 회화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둘째, 모리스 루이스의 작품의 개념적인 특성을 살리고 작품의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의상 디자인은 장식적 요소가 극히 제한된 미니멀한 스타일로 제작하였고 그 결과 모리스 루이스의 회화를 모티브로 한 이미지를 강조 하였다. 셋째, 염료와 안료의 특징을 적절히 배합하여 염색의 과정을 손쉽게 개발한 섬유 물감의 사용은 작품 제작 시 자유로운 회화적 표현을 보다 용이하게 뒷받침 했으며 연구자의 작품을 기법적으로나 그 개념에 있어서도 좀 더 회화적인 작업에 가깝게 접근시킬 수 있었다. 넷째, 착색기법의 재현인 Painting 염색기법을 사용하여 4가지 시리즈의 조형적 특징과 색채 변화를 반영하여 제작한 각 연구 작품의 이미지는 후기 회화적 추상의 선적인 명료성과 구조의 개방성, 평면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여 단순히 모티브 만을 재현하여 디자인에 응용하는 표현 방식들과 차별화 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4 2.1 모리스 루이스의 작품세계 = 4 2.1.1 모리스 루이스와 후기 회화적 추상 = 4 2.1.2 모리스 루이스 회화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 = 21 2.1.3 추상 회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사례 = 47 2.2 염색 기법 = 52 2.2.1 염색의 분류 = 52 2.2.2 Painting 염색 기법 = 57 3. 작품 제작 = 61 3.1 제작 의도 및 방법 = 61 3.3 작품 제작 및 해설 = 68 4. 결론 = 113 참고문헌 = 115 부록: 모리스 루이스의 시리즈 별 대표 작품의 사용 색 샘플의 HVC값과 톤표 = 119 ABSTRACT =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895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모리스 루이스의 회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Painting 염색 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ashion Design with Application of Morris Louis’ Paintings : Focusing on the Painting Technique of Dyeing-
dc.creator.othernameJung, Bo-ah-
dc.format.pagexi, 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