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민기-
dc.creator장민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2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성인 직장 여성들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와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 및 일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직장 여성 가운데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한다고 밝힌 사람들을 대상으로 7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이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558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연구내용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과 유의성검증은 X²-test, student t-test, ANOV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실태 조사결과 조사대상자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목적은 피로회복과 체력증진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지식 정도는 연령이 낮은 군, 미혼자, 비만도가 낮은 군에서 높았다.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횟수는 한가지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높고, 기혼자에게서 섭취 가짓수가 많았다. 건강기능식품의 최대섭취기간은 1년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높고, 기혼자에게서, 비만도가 높은 군에서의 섭취기간이 길었다. 구매비용은 3만원-5만원으로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높고, 기혼자, 비만도가 높은 군, 월수입이 많은 군에서의 구매비용이 높았다. 조사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는 영양보충용, 홍삼, 유산균, 인삼, 글루코사민 순 이였으며, 향후 섭취의향이 경우 84.6%가 긍정적 이였다.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 정보의 출처는 주변사람 등 인적 경로를 통해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가장 부족한 점은 정보가 빈약하거나, 신뢰할 수 없어서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반면 개선점으로는 허위, 과대광고에 대한 처벌강화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상담을 받고자 한다면 의사에게 받고 싶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전문영양사 순 이였다. 건강기능식품 섭취와 각 변인들 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섭취가짓수, 최대섭취 기간, 구매비용 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만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식생활습관 점수는 감소하는 상관성을 보여 직장 여성 가운데 섭취 행태와 관련된 취약 계층도 연령이 높은 비만한 대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오? 남용의 소지를 줄이고 개개인에게 알맞은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복용을 도와줄 수 있는 올바른 소비자 교육, 섭취 지도와 바른 정보 제공을 위한 심도 있고 꾸준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겠다.;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status of woman workers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related factors. Subject of this study was adult working woman who are taking health functional food living in Seoul and part of the Gyeonggi Province. 700 of survey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except for the incomplete questionnaire 558 were used on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Ver. 12.0) program.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each data, X²-test, student t-test, ANOVA were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level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fine out correlation of each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ason why most of the subject takes health functional food was “To recover exhausting and improve their physical health status.” The degree of knowledge about health functional food was high on group of young, not married, high-BMI respondents. When asking the intake frequency of health functional food, most of the subject answered “one at a time” and frequency was higher on group of elder, married respondents. When asking the maximum taking period of health functional food, most of the subject answered “more than a year” and period was longer on group of elder, married, high-BMI respondents. When asking the monthly expenses to buy health functional food, most of the subject answered “30,000won to 50,000won” and expenses were higher on group of elder, married, high-BMI group. The most popular health functional food was Nutritional supplement and the next was Red Ginseng processed products, Lactobacillus products, Ginseng processed products, Glucosamin in order. When asking the intent about health functional food hereafter, 84.6% of respondents was positive. As a source of information related health functional foo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From the personal relation”. When asking most insufficient part related health functional foo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Deficient or not reliable information”. Otherwise, the most thing they want to change was “Strengthen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for false and extravagant advertisement about health functional food.” About existence of professional help, most of respondents wanted it to be “Doctor” and the next was “Nutritioni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coefficient within each factor, intake frequency, maximum taking period and monthly expenses were getting high along with age, BMI level. Therefore common factors related with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can be age, BMI, marriage collectively. However age can be presumed as more important factor because marriage rate and BMI level can be raised with age. Consequently, the most vulnerable group through working woman consuming health functional food could be elder group. To reduce inaccurate consume of health functional food constant study and efforts should be needed. And it might be helpful to give them a professional counsel to moderate for individuals and to give correct information to consum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1 Ⅰ. 서론 = 3 A. 건강기능식품 = 3 B. 건강기능식품법 = 3 1. 건강기능식품법의 제정과 시행 = 3 2.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의 범위 = 4 C.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 6 1.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 현황 및 전망 = 6 2. 해외 건강기능식품 현황 및 동향 = 7 D.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 사회적 배경 = 9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 13 A.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기간 = 13 B. 조사내용 및 방법 = 13 1. 일반특성 = 14 2. 식생활습관 = 14 3. 건강기능식품 관련요인 = 15 4. 각변인들과 상관관계 = 15 C. 자료분석 방법 = 16 Ⅲ. 연구 결과 = 17 A. 조사대상자의 일반 사항 = 17 1. 일반 특성 = 17 2. 스트레스, 음주, 흡연 여부 = 20 B. 식생활습관 = 22 C. 건강기능식품 관련요인 = 27 1.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 27 가. 건강기능식품 섭취목적 = 27 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지식정도 = 28 다. 일반특성에 따른 지식정도 = 30 2. 건강기능식품 소비패턴분석 = 33 3. 건강기능식품 효과분석 = 43 4. 건강기능식품 관련정보 = 46 D. 각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 48 Ⅳ. 고찰 = 50 Ⅴ. 결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3 Abstract = 68 부록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25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직장 여성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