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공귀영-
dc.creator공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9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917-
dc.description.abstractA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succeeds to historical orthodoxy is a national united government for an independence movement as making public in the preamble of the Republic of Korea's Constitution. Archives from this period have value as national assets which contain important evidence showing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However many principal documents have been lost because of an continuous national crises. Even though a database have been built and a source book has been made after so many efforts to collect and excavate the materials in order to study the history in and out of the country, there is still a shortage of Finding aids for its synthetical use. Hence this paper analyzed the activities and roles of Provis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to embody provenance authority description records on the corporate name, applied to the Authority Description elements meet to the qualit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rchives and laid out the Corporate Provenance Authority Description Records, which would be willing to develop the archival finding aids used for authority control techniques. With this in the reference study, case study and analysis have been used. The study was developed as follows. First of all, research has shown the meaning and principle of the provenance, the concept of and necessity of the authority record from the reference as well as the meaning and the function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from a historical view, 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rchives. Second, Abstraction of the 105 Provis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nd associated ministerial corporation have been made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Archives, and the history of the activities and functions to draw out the 8 types of functions legislation, political party, diplomacy, military affairs, communication, education, propaganda and financial affairs have been analyzed. Third, based on the 8 functions to systematize organization classify into 3 level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following classifications were made a state administration as a superordinate organization, a central affiliated organization as an executive organization and a relevant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as a subordinate organization. Presented state administration and affiliated organization, which is the nam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s 49 of direct practical organizations as an authority heading title. Fourth, abstract 33 elements of the 5 fields of identity, control, administration, description, and referen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lements of ISAAR(CPF) 2nd. edition and the 4 Authority related systems of the corporate name within and outside of the nation. Fifth, apply the elements of authority description records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s 8 of representative authority heading title on the corporate name, which were classified by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rocess above and gives the practical instance of the materialization. Sixth, present the improvements to utilize the embodied provenance authority description records on the corporate name of Provisional Government Archives through the process above. From the process above the present research has shown authority description elements for provenance authority description record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presented a format of the provenance authority description records on the corporate name of Provisional Government Archives by designing authority records based on elements. Also this paper adopts the Provisional Government Archives for the theme during analyzing Korean history on-line, which had participated with 19 other corporations and the information system of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nline in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s the domestic historical searching database named from similar studies. For these, it refers to the related references about the historical and archival theories, and since no studies exist about searching tool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rchives, this research is distinct from other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within a range the corporate name and embody provenance authority description records on the corporate name. It's supported with showing the archives's contextual information more clearly when systematizing the corporation it was based on in provenan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rchives. However, after securing much historical data, it is able to develop authority records into more classified groups, such as "person", "event" and "place". It is surely expectable that an enlarged authority database will not only be the Provisional Government Archives but also be the searching tools of related independence movement archives. For this reason, this present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the methodological base after all.;대한민국임시정부(이하 임시정부라 칭함)는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역사적 正統性과 法統性을 계승한 민족적 합일정부이며, 여기서 생산한 기록물은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중요한 증거물이자 국가적 자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격변의 근현대기를 거치면서 기록들이 많이 유실되었고, 국내외에 흩어져 있는 기록들을 발굴하고 수집하여 자료집을 발간하거나 기관별 소장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지만, 그 통합적인 검색도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한민국임시정부기록물(이하 임시정부기록물이라 칭함)의 출처인 임시정부단체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고, 임시정부기록물의 특성에 맞는 전거기술요소를 적용하여 단체명 출처전거기술레코드를 구현함으로써 전거통제기법을 활용한 기록물 검색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면담 및 웹사이트 분석을 통한 사례연구, 그리고 설계 등을 수행하였고,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임시정부의 역사적 배경과 출처정보의 기록학적 이론을 토대로 임시정부의 기능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임시정부조직의 5차례에 걸친 개헌과 그에 따른 직제개편을 통해 임시정부조직의 연혁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출처의 개념과 출처정보를 조직화한 출처전거기술레코드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임시정부의 출처 개념을 인식하였고, 임시정부의 기능을 도출하기 위해 임시정부기록물의 현황과 임시정부단체의 활동정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시정부의 기능으로 입법, 정당, 외교, 군사, 정보, 교육, 선전, 재정 등 8개 기능을 추출하였다. 이는 임시정부기록물을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한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15편』(국사편찬위원회 2005-2006)의 헌법,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정부수반, 군무, 한국광복군 등의 문서편성기준과 2009년까지 발간사업이 진행 중인 16~20편의 외무부, 행정부서 및 정당, 관련 독립운동단체, 기타 메뉴스크립트와 색인 등으로 구분한 편성기준으로부터 임시정부의 실질적인 활동을 조합하여, 임시정부관제와 매칭하고, 이 두 영역에서 교차되는 용어를 추출한 것이다. 둘째, 기록물전거레코드 국제기술표준인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Authority Record for Corporate Bodies, Personal and Families(이하 ISAAR(CPF))』(ICA 2004)의 영역별 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외 4개의 전거관련시스템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국내사례로는 국내에서 유일한 기록물 전거시스템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의 사료전거시스템과, 기록물을 생산하는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변천이력 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국가기록원의 중앙행정기관 변천연혁정보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록물 전거레코드 시스템의 대표적인 국외사례로 미국 국립기록청(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을 선정하여 NARA의 기록물 기술지침인 『Lifecycle Data Requirements Guide: LDRG』에 규정된 전거기술요소를 살펴보았고, 기록물 소재출처정보를 기반으로 기록물 관리 및 검색시스템을 운용하는 일본 국문학연구자료관의 사료소재정보검색시스템의 항목을 중심으로 사료정보공유화시스템 및 소장아카이브정보데이터베이스도 살펴보았다. 사례의 현황파악을 위해 민주화사료관, 국가기록원, 일본의 국문학연구자료관의 전문가(아키비스트)와 전화면담 및 이메일 질의를 실시하여 실제 업무에 대한 자문을 구하였다. 그러나 NARA의 경우는 기관웹사이트에서 『생애주기 데이터기술지침』이 공개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자문 없이 이를 직접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각 사례들의 전거기술을 위한 요소들을 개괄적으로 추출하여 레코드의 관리적 요소군과 콘텐츠의 역사적 요소군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를 ISAAR(CPF) 2판의 필수적 요소에 추가하여 레코드 관리를 위한 요소와 전거 내용을 위한 요소를 강화하였다. 그 결과, 식별영역(표목명, 표목속성, 국적/지역명, 시대명, 식별번호 등), 제어영역(비채택어, 관계명, 관계한정어, 처리상태 한정어, 기능어, 주제어 등), 관리영역(레코드등록정보, 수정정보, 전거번호, 레코드처리상태, 근거규정/지침, 관리프로그램/SW명, 환경주기 관련자료 유무정보 등), 내용영역(단체명 정의, 유례, 설립일/해체일, 설립경위, 조직사항, 설치법령/근거, 기능/활동사항, 역사적 의의/평가, 관련단체/인사/사건명 등) 그리고 참고영역(관련단체의 해제자료정보, 연구문헌정보, 관련정보원, URL) 등 5개 영역, 33개 요소를 단체명 출처전거기술레코드의 요소로 선정하였다. 셋째,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의 임시정부 관련 기록물 해제와 색인을 이용하여 출처정보의 주체와 객체인 210개의 임시정부조직 및 관련단체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8개의 임시정부 기능을 중심으로 210개 단체를 계통별로 조직화하여 임시정부의 기능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였다. 1차 수준은 상위조직으로서 중앙행정기관을, 2차 수준은 중간정무조직으로서 중앙행정기관의 산하단체를, 그리고 3차 수준은 하위조직으로서 관련 독립운동단체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임시정부의 전거표목으로는 중앙행정기관과 그 산하단체, 즉 임시정부의 직접적인 정무단체에 해당하는 1, 2차 수준의 105개 단체명을 전거표목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 전거표목들의 출처전거기술레코드를 구현하기 위한 역사적 활동정보가 현재 충분하지 않은 연유로 『한국독립운동사사전』(독립기념관 1996-2004), 『大韓民國臨時政府法令集』(한시준 1999), 기타 관련문헌 등의 임시정부에 대한 연구결과물로부터 49개 단체명의 활동내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이 49개 단체명에 한정하여 유사어, 이형명, 상/하단체명, 전/후신단체명 등의 단체명 출처 전거표목의 용어관계를 분석하고 제시하였다. 끝으로, 임시정부의 거시적 기능인 입법과 행정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의 증거를 보여주고 있는 대한민국임시의정원(648건)과 한국광복군(676건)을 대상으로 앞서 선정한 출처전거기술요소를 적용하여 출처전거기술레코드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 전거레코드의 활용가능성과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가상으로 각각의 레코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재현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방법과 범위 = 2 C. 선행연구 = 4 Ⅱ. 임시정부기록물의 출처정보 = 10 A. 임시정부의 설립과 활동 = 10 B. 임시정부기록물의 출처 = 19 Ⅲ. 기록물 전거기술의 국제표준 및 사례 = 32 A. 국제표준 = 32 B. 국내외 사례 = 39 C. 비교 및 분석 = 60 Ⅳ. 임시정부기록물의 단체명 출처전거기술레코드 설계 = 67 A. 임시정부단체의 출처 계통화 = 67 B. 출처전거기술의 조직화 = 94 C. 출처전거기술레코드의 설계 = 102 Ⅴ. 결론 = 116 참고문헌 = 121 ABSTRACT =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976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대한민국임시정부기록물의 단체명 출처전거기술레코드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deling of Corporate Provenance Authority Description Record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rchives-
dc.creator.othernameGong, Guiyoung-
dc.format.pagex, 13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기록관리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