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해천-
dc.creator박해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01-
dc.description.abstract사람들은 디자인이나 예술을 전문가의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디자인’ 이라는 단어를 접하면 바로 ‘미술’ 이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오늘날 디자인은 예술이나 미술의 한 장르라기보다는 일상생활에서 개인의 개성과 감각을 표현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고, 결국 인간의 물질 및 정신을 충족하기위하여 디자인된 새로운 제품들이 거꾸로 인간의 사고와 스타일을 바꾸어놓고 있다. 그렇기에 현대인은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여 현대인 스스로를 꾸밀 수 있는 선택의 폭을 넓힌 것이다. 디자인은 시대나 유행에 따라 변하며 이와 함께 소비자의 디자인 감각도 변화하여 새로운 문화의 창출로 이어진다. 그래서 문화를 바탕으로 대중의 사고와 유착되며 대중과 함께 변화하는 것이 디자인인 것이다. 디자이너가 만든 디자인을 소비자가 만족하지 않으면 결국 가치를 인정받을 수 없고, 디자이너가 대중의 심리를 읽지 못하면 더 이상 감각과 기술을 인정받지 못한다. 디자인은 세상의 변화를 읽고, 대중에게 정확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 것이다. 현 시대는 대량 생산제품에서 벗어나서 자신만의 차별화된 소비를 지향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주5일 근무제 시행으로 소비자들의 라이프사이클이 여가와 문화 지향적으로 변하면서 기업들이 문화와 예술을 마케팅의 도구로 삼아 고객들에게 다가서는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섬유디자인에 있어서도 예술가들의 작품을 디자인으로 제작하거나, 다양한 형태로 재구성하여 하나의 새로운 감각을 전달하는 표현으로서, 그 영역을 넓혀 다양한 창조 행위를 보여주고 일반인에게 익히 알려진 유명작가의 작품이 제품디자인에 반영됨으로써, 소비자들은 예술에 대한 문화적 충족을 얻고, 제품은 이미지 상승효과를 얻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소비 세대인 아티 제너레이션(Arty-Generation)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작품의 색채와 형태를 스카프 디자인에 적용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새로운 소비 세대인 아티 제너레이션의 개념적 특징을 알아보고, 아티 제너 레이션을 위한 시대적인 디자인 요구를 고찰한다. 둘째, 슬래쉬(Slash)기법과 디지털 프린팅(Digital Printing)을 제작 기법으로 정하여 이론적 이해와 실제적 이해를 통해 클림트의 작품을 효과적으로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게 사용하였다. 셋째,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에 나타난 색채와 형태들을 재해석하여 디자인함으로서 현대적 감각의 스카프 디자인에 예술적 가치를 부가하여 현 시대가 요구하는 스카프 디자인을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의 흐름과 아티 제너레이션의 요구가 반영한 디자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슬래쉬 기법과 디지털 프린팅을 적용하여 소량생산과 고품질의 디자인을 연구?제시함으로써, 실용성과 작품성을 모두 갖춘 고부가가치 상품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셋째,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 중 일부분을 모티브로 정하고 이를 재해석하여 디자인에 접목시킴으로써 실용성, 장식성, 독창성을 겸비한 디자인을 전개 할 수 있었다. 넷째, 디자인 전개에 있어 시대가 요구하는 현대적 스카프 디자인 상품의 개발을 통해 아티 제너레이션을 위한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People think design or art as the field of specialists. So when they meet with the word 'design', they immediately picture to themselves ‘art.’ But today design is changing into what expresses 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sense in daily life rather than a genre of art or the fine arts, and finally, new products designed to satisfy the human material and mentality are reversely converting the human thinking and style. Therefore, modern people have widened the range of choice to adorn themselves by developing various products. Design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vogue and with this, design sense also changes, which leads to creation of new culture. So it is the design tha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public's thinking based on culture and changes with them. If consum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design made by designers, after all, its value can not be acknowledged, and if designers don't read the public's psychology, they are not acknowledged any more in sense and skill. Design should read changes of the world, and deliver the correct message to the public. The present age is pursuing unique and differentiated consumption out of masse-produced products, and as consumers' life cycle changes into leisure and culture-oriented life style due to enforcement of the work-5-day-a week also in Korea, it is tending increasingly that business organizations approach customers using culture and art as tools of marketing. Also in fabric design, artists' works are produced as design or reconstructed by various forms. Through these, a variety of creative activities are shown by widening its realm as the expression to deliver a new sense and consumers get cultural satisfaction of art by reflection of famous artists' works on product design, which are widely known, and the product get the effect of image improvement. The present study aims at examining Arty-Generation, which is a new consumption generation and on the basis of it, the following study was planned and conducted by applying consumers' desire to design of scarf through colors and shape of Gustav Klimt's painting. First, to examine conceptional characteristics of Arty-Generation which is a new consumption generation and consider demand of the times for this. Second, it selected Slash technique and Digital Printing as production technique and utilized them to represent the works of Gustav Klimt effectively thr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Third, with reinterpreting and designing colors and shapes represented in the works of Gustav Klimt, it adds aesthetic value to the scarf design of modernistic sense, and studies the new scarf design that the present age requir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possible to find design that reflected the stream of time and the demand of Arty generation. Second, it was possible to present potentialities to develop high value-added product with both practicality and value of work by studying and proposing small production and design with high quality by applying technique of Slash and Digital Textile Printing. Third, it was possible to examine colors, shape and world of work of Gustav Klimt's painting and to develop design with practicality, decorative characteristics and creativity by integrating them with design represented motives of his works. Fourth, it was trie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design for Arty-Generation through product development of modern design of scarf to be required by the modern times in developing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아티 제너레이션 = 3 2.1 아티 제너레이션 = 3 2.2 아티 제너레이션을 위한 디자인 표현 기법 = 13 3.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 21 3.1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세계 = 21 3.2 구스타프 클림트의 색채와 형태 = 31 4. 작품제작 및 분석 = 35 4.1 작품제작 의도 및 과정 = 35 4.2 작품분석 = 36 5. 결론 = 66 참고문헌 = 68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9962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아티 제너레이션(Arty Generation)을 위한 스카프 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sign of Scarf for Arty Generation-
dc.creator.othernamePARK, Hae-cheon-
dc.format.pagei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섬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