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화-
dc.creator이미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3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360-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현대 사회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의상문화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대량으로 생산되며 비슷한 디자인의 의상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렇듯 대중적이고 획일화된 의상들이 넘쳐나는 반면 좀 더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의상에 대한 관심도 계속되고 있다. 내면적인 미의식의 발로로서 표현 방식만 다를 뿐 미적가치를 표현한다는 점에서 사회?문화면에서 다른 예술과 동일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오늘날 의상은 다른 여러 예술 장르와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디자인이 시도되고 있다. 패션은 그 중 여러 예술양식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새로운 응용의 방법을 통해 개성적이고 독특한 표현을 시도하고 있다. 단순히 입는 기능에서 벗어나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면서 이러한 시도는 대량생산되는 의상에서 보다 미술의상으로서 많은 디자이너들에 의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회화는 기본이 되는 선과 형, 공간 재질, 색채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가 작가 특유의 감각으로 표현되어지는 영역이며, 무한한 영감과 이미지의 원천이 되어왔다. 색과 형, 질감을 중심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하는 의상에서 회화의 이미지를 도입하는 것은 회화 작품의 시각적 이미지 뿐 아니라 라 내재된 작품의도까지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시도되어 와왔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나라 근대 회화의 대표 작가인 이중섭의 군동화 이미지를 응용해 예술적 의상디자인을 연구하였다. 한국 현대사의 중심에 살면서 순수한 예술성과 동양적 감수성으로 독창적 회화 세계를 창조한 우리나라 근대 회화작가인 이중섭 회화의 군동화 장르 이미지를 활용하여 의상디자인을 위한 조형적인 모티브를 재창조하려고 하였다. 군동화는 발상적 전환, 표현기법의 자유분방함, 구성의 독창성, 소재의 다양성과 색채의 깊이감을 자유스럽고 유동성 있는 선과 다양한 구성과 구도로 표현한 일군의 작품이다. 회화와 의상의 연계선상에서 독창적인 디자인 발상을 회화에서 유추함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섭회화의 작품세계와 군동화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그중 군동화에 나타나는 구도적 특성 및 선중심의 표현방법을 응용하여 총 8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제작 방법은 다양한 펠팅 기법을 혼용함으로써 회화에 나타난 조형요소를 극대화시켜 표현하고 동시에 펠트와 다른 소재의 크로스오버적인 소재매치로 제한적 펠트기법의 표현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자료를 통하여 이중섭의 작품세계를 세 시기로 구분하여 , 회화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둘째, 의상의 모티브가 될 군동화에 대해 대표적 작품을 선정하여 구도와 선, 색채를 중심으로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조형적 특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의상을 위한 모티브 8개를 선정하고, 구도의 배치와 선을 표현하기 위한 효과적 배색, 패턴을 결정하였다. 넷째, 군동화의 이미지의 효과적 표현을 위해 펠트 기법중 누노펠팅과 핸드니들펀칭 기법의 혼용하였다. 특히, 색채조형성을 살리기 위해 여러 가지 펠트사를 중첩하여 깊이 있는 색감을 표현 하였으며, 군동화 이미지 이외 부분은 가죽, 실크, 쉬폰을 이용한 소재 매치로 의상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상의 이론연구와 작품제작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동화에 나타난 선, 색, 형의 조형성과 구도적 특징은 의상디자인을 위한 모티브로써 독창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둘째, 군동화의 선과 색의 조형성을 표현하기 위해 펠트기법을 선택하였고, 누노펠트와 니들펀칭 기법을 혼용하였으며, 이 결과, 회화의 색감변화와 질감 그리고 선의 율동성을 최대한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군동화의 구도적 특징을 옷의 실루엣에 맞도록 변형함으로써, 군동화의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부각된 의상을 창조할 수 있었다. 넷째, 모티브의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 누노펠트 제작시에 각 작품별로 다양한 바탕지를 사용하였고, 두께감에 변화를 줌으로써 다양한 재질감을 얻을 수 있었다. 다섯째, 펠트 제작시 스타일에 따른 패턴 제작 후 다트분량과 이음새를 제거한 펠트 제작으로 봉제를 최소화 하였으며, 이결과 온전한 군동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었고, 자연스러움을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었다. 또한, 펠트와 이질적 소재의 크로스오버적 소재매치로 기존 펠트 연구 작품과 다른 독특한 표면감을 강조할 수 있었다. 이상, 군동화에 나타난 이미지를 의상으로 제작함에 있어 군동화의 조형적 특징은 소재 구성과 배치, 디자인 계획에 깊은 영감을 주었다. 또한, 제작 기법에 있어 다양한 펠트 기법의 혼용으로 질감 표현과 선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었다. 반면, 펠트소재를 응용한 의상이 예술로서의 가치 이상으로 내구성과 실용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향후 기술적 보완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이중섭 회화를 비롯한 우리 회화가 의상디자인의 창조적 모티브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회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세계 시장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창조적 의상디자인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The rapid developments observed in today's modern society also occur in fashion. Today's fashion is dominated by popular clothes made in the mass production system. With the world brimming over with popular and uniform clothes, there appears a genuine interest in more creative and artistic clothes as part of consumers' desire to express their inner aesthetics. Fashion design is no different than other art genres in that it also expresses aesthetic values only with different expressive methods. Fashion constantly exchanges influences with other art genres, attempting new designs. Having close connections with diverse artistic styles and applying them in various ways, fashion always tries more distinctive and unique expressions. Fashion does more than just covering the human body. It does meet the needs of modern people as an artistic work, which is much significant in itself. Such artistic trials are more active among fashion designers as arts garments than in the mass production system. Now a lot of people recognize the clothes of artistic features. Paintings show an artist's unique senses in the visual images of basic lines, forms, spatial texture, and colors. Clothes also use colors and forms to create visual images. Introducing paintings into fashion design as motives can reflect the artist's intentions hidden in the paintings and increase the artistic value of the design. Thus this study set out to apply Lee Jung-seop's paintings of children to artistic fashion design. One of the foremost modern artists of Korea, Lee created his own original formative language and embraced and personalized the pure artistic and Oriental sensibility, making a world of original paintings in modern Korea. Among his many works, the paintings of children and their images were used in the study to recreate formative motives. His paintings of children are characterized by a conversion of conception, free expressive techniques, original compositions, diverse materials, and deep colors. The free and flowing lines along with the various compositions and formations make his paintings of children great candidates with desirable conditions to induce original designs from. After analyzing Lee's works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is paintings of children, the composition features and line expressions observed in the paintings of children were used to create total eight design works. A variety of felting techniques were also employed to maximize the expressions of the formative elements. And the expression domains of fashion design were expanded by combining felt with other materials in an ideal mixture and creating decorative beauty of high sensibil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after reviewing Lee's paintings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his works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o understand the flow. By making a diagram, the characteristics of his paintings were examined in six aspects. Second, following a review of his works was another review of his paintings of children, which were the motives of fashion design. After categorizing his paintings of children according to definition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17 most noteworthy wor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such formative elements as compositions, lines, and colors. Third, the formative analysis results were used to decide the motives of clothes. And effective coloring and patterns were also decided to arrange the compositions and express the colors. Fourth, used in express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lines from Lee's paintings of children were the nuno felting and hand needle punching technique. The former technique was useful in making the ground surface to hold images, while the latter was good for line expressions. Fifth, many kinds of felt yarn were reiterated to keep the formative features of colors from the paintings of children alive and to express depth in colors. And sixth, attention was paid to patterns in making and arranging felt materials after taking into account the overall silhouette of the clothes. The theoretical study and design making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fashion design works were original in material arrangements and alive in line images by apply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lines an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from Lee's paintings of children, the motives, to the process of material development and design. Second, a mix of the nuno felting and needle punching technique was intended to express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lines from Lee's paintings of children and worked to highlight the color changes and rhythms of the texture and lines of the paintings. Third,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of children were altered to fit the silhouettes of the clothes. Since the design was considered in the arrangements within the scope of not disturbing the major flows of the paintings, creative artistic clothes were created. Fourth, a range of background paper of nuno felting was used for the effective expressions of the motives, and changes were made to the thickness of felt to give the clothes a feel of texture. Fifth, instead of putting the felt on the clothes or making felt paper and cutting it in patterns, the patterns were put first in making the felt materials. As a result, the clothes boasted beautiful silhouettes and natural feels with no needlework on the hems. And sixth, the unique surface feel of felt was emphasized thanks to the mix and match of felt and alien materials. In making clothes based on the images of Lee's paintings of children, the investigator tried to take a creative attitude towards material development and fashion design. Lee's paintings of children contained the formative elements that could be used as motives of fashion design and were remarkable inspirations for the organization and arrangement of materials and design planning. And a combination of many different felt techniques allowed for effective applications of the texture expressions and line characteristics. Felt will claim more diverse expressive areas as a material of fashion design if its endurance and practicality are supplemented by new processing technologies in addition to the artistic value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shed some light onto the huge potential of Korean paintings as creative motives for fashion design. Furthermore, the designers will be able to benefit from active uses of Korean paintings and earn a reputation in the international st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4 2.1 이중섭의 작품세계 = 4 2.1.1 이중섭 회화의 형성 배경과 작품세계 = 4 2.1.2 이중섭 회화의 특징 = 15 2.2 군동화 = 19 2.2.1 군동화의 정의 = 19 2.2.2 군동화의 조형적 특징 = 20 3. 펠트 기법과 의상 디자인 = 41 3.1. 펠트 기법의 특징과 종류 = 41 3.1.1 펠트 기법의 특징 = 41 3.1.2 펠트 기법의 종류 = 42 3.2 펠트 기법을 응용한 디자인 사례 = 52 4. 작품 제작 = 59 4.1 제작의도 및 방법 = 59 4.2 작품 및 해설 = 64 5. 결론 = 110 참고문헌 = 113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5507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46-
dc.title이중섭의 군동화(群童畵)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Lee Jung-Seop's Paintings of Children-
dc.creator.othernameLee, Mi-Hwa-
dc.format.pageⅸ,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