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귀자-
dc.contributor.author김영선-
dc.creator김영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3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8종, 음악과 생활 교과서 2종 교과서에 나타난 무용음악과 그 특징이 어떤 작곡자와 작품을 통해 소개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대의 무용음악 작품들을 분석하여 고등학생들이 무용음악을 경험하고,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며, 더 나아가 무용음악 개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무용음악의 이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다양한 문헌들을 통해 무용음악의 개념과 종류,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수록하였고,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무용음악을 분석하여 그 내용이 적합한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양한 시대의 무용음악들을 제 7차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무용음악이 어떤 변화를 보여 왔는지 파악해 보고자 했다. 교과서 분석 결과 첫째,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시대의 악곡들을 경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무용음악들은 17세기 이후의 무용음악들이 주로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무용음악을 설명함에 있어 종류와 특징뿐만 아니라 이 무용음악이 생겨나게 된 근원과 특징적인 리듬형, 대표 악곡들을 수록해 주는 것이 무용음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특징적인 리듬을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 중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리듬을 수록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으며, 대표 악곡을 제시함에 있어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접해 보았던 곡 위주로 수록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셋째, 감상영역에서 악보가 제시되어 있는 교과서들은 곡목의 처음 시작 부분인 4마디 정도의 악보만 소개하고 있어 무용음악의 음악적인 특징과 특징적인 리듬형이 이 곡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넷째, 제 7차 교육과정은 활동 영역을 가창, 기악, 창작, 감상으로 구분하여 수업에 따라 통합적으로 접근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에서의 무용음악 내용은 통합 학습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교과서에 실려 있는 특징적인 리듬형을 지닌 브람스의 왈츠, 쇼팽의 폴로네이즈 「군대」, 쇼팽의 마주르카 Op. 17, No.4와 교과서에 실려 있지 않지만 고전조곡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는 바흐의 영국 모음곡 제3번 알레망드 · 쿠랑트, 바흐의 프랑스 모음곡 제4번 사라반드 · 지그를 더 분석하여 다양한 시대의 악곡들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에 해당되는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를 중심으로 분석하되 이 중 리듬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곡들이 가창, 기악, 감상, 창작의 활동과 연계되어 학습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시해 주었다. 작품 분석 결과 17세기 이후에 등장했던 무곡들은 대부분 3부 형식을 취하고 있고 특징적인 리듬형이 곡 전체에 변형, 발전되어 나타나는데 반해, 16세기에 등장한 무곡들은 2부분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특징적인 리듬형을 지니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형식과 리듬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시대가 바뀌면서 무용음악 또한 변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악곡을 제 7차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 음악 개념들을 습득하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앞으로 전개될 제 8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 교과서 편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In this thesis I wanted to check how dance music and their characteristics, which put on eight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nd two kinds of music & life textbooks revis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was introduced with what kinds of music and composers. Based on the checked results I was going to analyze dance music of the various times and I wanted to give high school students opportunities to understand dance music profoundly. Moreover I intend to supply valuable data to them so as to apply concepts of dance music. It was my final goal. For understanding dance music I mentioned concepts, kinds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ance music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part. Besides I analyzed dance music in textbooks and examined whether their contents was appropriate or not. I intend to understand how dance music had changed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s. In summary of results, First, students were to contact dance music of the various times throug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but dance music in the text was mainly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Second, in explaining dance music it was more helpful to present the origin, the distinctive form of rhythm, and representative pieces of music. However, though there were texts which presented the distinctive form of rhythm, they were not popular forms of rhythm in common. In the case of representative pieces of music, conditions were much the same. Third, in the text presenting a sheet of music, the opening four tunes were only introduced in music so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 distinctive form of rhythm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on that music. Fourth, the united instruction was being clarifi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that is, combination of field of activities composed by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ve music, listening to music. Therefore I emphasized not only dance music itself but also the united instruction to closely connect dance with music. But the united instruction with contents of current dance music in texts was impossible to accomplish. Therefore I was willing to analyze the Allemande, the Courante, the Sarabande, the Gigue, which belonged to the fundamental music order of a classical suite, and dance music containing the distinctive form of rhythm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thesis I analyzed Bach's english suite No.3, especially the Allemande · the Courante, Bach's french suite No.4, especially the Sarabande · the Gigue, Brahms' the Waltz, Chopin's the polonaise Op. 40 No.1, Chopin's the mazurka Op. 17 No.4, total seven pieces of music focusing on rhythm, melody, harmony, form, dynamic, tempo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s comprehension part. Especially I mainly focused on rhythm among these items. Furthermore I supplied additional data so that students may learn dance music in text keeping in close contact with activitie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ve music, listening to music. As a result, while dance music appeared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had mostly forms in three parts and the distinctive form of rhythm presenting with modification and extension throughout music, Dance music appeared in the sixteenth century had forms in two parts and didn't have the distinctive form of rhythm. As you see the form and rhythm of music, dance music was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s. In other word, I analyzed dance music of the various times as the fundamental process to fulfill the united instruction to closely connect dance with music. Moreover, through this process, I want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music and train the self-leading ability of learning. At the same time, our study fulfilled in order to give a good guide to the next edition, the 8th national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3 C.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무용음악의 정의 = 4 B. 무용음악의 종류 = 6 Ⅲ.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무용음악 고찰 = 29 A. 연구 대상 = 30 B. 교과서별 분석 = 31 Ⅳ. 무용음악 작품 분석 = 45 A. 교과서 내용 = 46 B. 작품 분석 = 49 C. 고전조곡의 기본배열 = 82 Ⅴ. 결론 및 제언 = 108 참고문헌 = 110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38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무용음악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Dance Music in Textbooks revis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Kim, Young - Sun-
dc.format.pageⅲ, ⅰ,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