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렬-
dc.contributor.author윤경애-
dc.creator윤경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4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결손가정 청소년과 정상가정 청소년의 규인 유형의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이다. 결손가정이라 함은 구조적 결손가정과 기능적 결손가정을 포함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결손가정 청소년을 좀더 이해하고, 결손가정 청소년들이 학교생활과 학습활동에 적극 참여하도록 지도하고자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정상가정의 청소년과 결손가정 청소년의 귀인유형은 서로 차이가 있는가? 2.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성별에 따라 귀인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3. 결손가정 청소년과 정상가정 청소년 간에 부정적 상황에서 귀인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는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실업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기능적 결손여부 측정을 위하여 송혜영(2003)이 제작한 가정환경조사지를 사용하였고, 귀인유형 측정을 위하여 이정흠(1987)이 번안하여 사용한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ASQ)를 이용한 귀인 유형 검사를 진단 실시하였다. 결손가정과 청소년의 귀인유형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파악하는 것으로 이 연구에 대한 논의 등을 통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이 결손가정인지 정상가정인지의 여부에 따른 청소년의 귀인유형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이 결손가정인지 정상가정인지의 여부에 따른 남?여학생의 귀인유형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부정적 상황에의 귀인유형에 있어서는 정상가정의 청소년과 결손가정의 청소년의 귀인 유형 및 성별 간의 귀인유형에 또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가정의 정상성 여부에 따른 귀인의 차이에서는 통제성과 내재성에서는 정상가정 청소년이 더 통제적, 내적으로 귀인하며, 안전성과 전반성에서는 결손가정 청소년이 더 안정적, 전반적으로 귀인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성별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더 통제적, 내적, 안정적, 전반적으로 귀인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가정의 환경이 청소년의 귀인유형의 통제성, 내재성, 안정성, 전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고 할 수 있다. 전체 학생 389명중에 144명으로 37%에 해당하는 학생이 결손가정에 해당되고 245명인 63%에 해당하는 학생이 정상가정의 청소년으로 구분되었다. 37%에 달하는 청소년이 결손가정의 청소년임을 감안해 볼 때 현대 사회의 가정이 그동안의 경제적인 위기나 사회적 변화로 인해 가정의 파탄을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결손가정의 자녀들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와 같은 결론은 잘 되면 내 탓, 못되면 남의 탓이라는 외적 귀인보다는 모든 일의 결과를 먼저 나로부터 찾는 내적 귀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결과라 하겠다. 이 연구가 교육현장에서 당면하고 있는 결손가정 청소년으로 하여금 가정이나 학교생활에 도움을 주고, 결손가정 청소년을 바르게 이해하고 책임을 자신으로 귀인 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교육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며 이를지도 상담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the differences in the attributional style between the youth in the broken family and in the normal family. The broken family means that it includes the structural broken family and functional family. From this research this study is to guide in order to understand the youth in the broken family more, and in order that the youth in the broken may participate the school lives and learning activity actively. According to this purpose,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search questions as below.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attributional style between the youth in the normal family and in the broken family each other?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attributional style according to the youth's sex distinction in the broken family?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attributional style under the negative circumstance between the youth in the broken family and in the normal family? 4.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sex in the attributional style between the young boys and girls under the negative circumstance? This study was executed as an object of 389 students at the third grade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on the Ansan City in the Gyeonggi-do. And, to measure the existence of functional deficit, it was to use the questionnaire for home environment research that Song Hye Young had produced(2003). Also, to measure the attributional style, it was to examine the attributional style, using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ASQ) that Lee Jeong Heum had translated and used(1987).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grasp the relations with the broken family and the youth's attributional style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this research. First, it found that the broken family was not related to the youth's attributional style. Second, it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youth's attributional style whether the family style is a broken family and normal family, or not.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ttributional style of schoolboys and schoolgirls. Third, as for the attributional style under the negative circumsta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youth's attributional style and sex distinction between the normal family and broken family. But, the as for the difference of attribut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normality in the home, it found that the youth in the normal family was attributed more regularly and immanently in the regularity and immanence. And, the youth in the broken family was attributed more stably and generally in the stability and generalization. Also, as for the sex distinction, it found that the schoolboys were attributed more regularly, immanently, stably, and generally more than the schoolgir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at is, it can say that the home environment does not have an effect on the regularity, immanence, stability, and generalization of the youth's attributional style. The 144 students out of 389 who correspond to 37% are applied to the broken family. And, 245 students, 63%, were classified as the youth in the normal family. Considering about 37% youth were in the broken family, we can get that the home in the modern society has brought ruin in the home because of economic crisis and social change during that time. If we take into account that the children in the broken family is on the rise gradually, it is very desirable result that they show aspects of internal attribution that blame me for all the results, not ones of external attribution that blame me for the right results or blame the others for wrong results. It needs the support for the home and school life by the youth in the broken on pertinent matter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active and educational efforts in order to make the youth in the broken family understood correctly and attributed to their responsibilities.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basic data for guiding and counseling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요약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귀인유형 = 4 1. 귀인유형의 정의 = 4 2. 귀인이론의 출발 = 5 3. 귀인이론의 체계화 = 7 B. 결손가정 = 12 1. 결손가정의 개념 = 12 2. 결손가정의 특성 = 14 C. 가정환경과 귀인성향 = 16 1. 가정환경과 성패귀인의 관계 = 17 2. 귀인성향과 인간행동 = 18 Ⅲ.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도구 = 20 1. 기능적 결손여부 척도 = 20 2. 귀인 유형검사 = 21 C. 연구절차 = 21 D. 자료분석 = 2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3 A. 정상/결손가정에 따른 귀인의 차이 = 23 B. 결손가정의 청소년 중 성별에 따른 귀인의 차이 = 24 C. 부정적 상황에서 성별과 정상/결손가정에 따른 귀인의 차이 = 25 1. 내재성 = 25 2. 안정성 = 27 3. 전반성 = 28 Ⅴ. 논의 = 30 참고문헌 = 33 부록 = 36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04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결손가정 청소년의 귀인유형-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ⅸ,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