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웹 기반 강의저작도구 사용성 개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형 설계

Title
웹 기반 강의저작도구 사용성 개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형 설계
Other Titles
Interface Model Design for Usability Improvement in Web-Based Cyber Contents Authoring Tool
Authors
오채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정보과학대학원 멀티미디어학전공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敎 情報科學大學院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호
Abstract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의 습득이 요구되는 디지털시대로 들어서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다 새로운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런 현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이 바로 사이버 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2004년에 이르러 대부분의 대학들이 사이버 교육을 실시할 만큼 대인기를 누리고 있다. 따라서 교수자들이 기존의 교실수업을 탈피하여 시간과 장소와 상관없이 컴퓨터 환경이 조성된 곳에서 자유롭게 사이버 강의를 제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강의 저작도구들이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이버 교육기관에서 강의 제작을 위해 현재 주로 활용되고 있는 웹 기반 강의 저작도구들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분석하고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실제 강의 저작도구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구체적인 가이드 라인을 개발하고, 가이드에 따른 인터페이스 모형을 설계하여 추후 강의 저작도구 개발 시 기준이 되는 인터페이스 설계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앞에서도 제시하였듯이 최근 사이버 강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교수자들이 개발자나 튜터들의 도움 없이도 강의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질 높고 다양한 사이버 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시대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기존의 강의 저작도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교육환경, 특히 컴퓨터 환경에 익숙치 않은 교수자들에게 있어서 보다 손쉽고 빠르게 강의를 제작해야 하는 사이버 교육 환경을 충족시키는데 실제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실제 테스트 평가를 중심으로 강의 저작도구의 사용성을 검증하고, 현재 개발되고 있는 강의 저작도구의 UI 디자인 전략에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 고찰과 인터페이스 분석, 사용성 평가실험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문헌 고찰과 기존의 강의 저작도구에 대한 인터페이스 분석은 사용성 평가 전의 기초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질문법 (Inquiry), 검증법 (Testing)을 이용하여 강의 저작도구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성 평가의 결과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된 인터페이스 모형은 감정법 (Inspection)을 이용하여 사용성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보다 충실한 모형설계를 도출하는데 노력하였다. 첫째로, 사이버교육과 교수자, 그리고 강의 저작도구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과 특징에 대한 문헌 연구로써,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교수자의 사이버 교육 제작 및 운영에 대한 이해도, 그리고 강의 저작도구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원칙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와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둘째로, 국내 활용되고 있는 강의 저작도구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주로 사용되는 메뉴들을 중심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분석하여 세번째 연구인 사용성 평가의 기초적인 디자인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세 번째로 강의 저작도구에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평가로써 첫째는 질문법의 한 종류인 설문조사(Questionnaire)를 실시하였다. 이는 사용자의 저작도구에 대한 기본적인 인터페이스의 느낌과 태도, 인식, 기대 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로는 검증법의 하나로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Task를 준 후, 수행 시간을 측정하여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강의 저작도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사용성 저해 요인은 단축아이콘의 모호한 디자인, 잘못된 라벨링, 작은 그래픽 이미지, 필요한 단축아이콘의 부재, 숨겨진 메뉴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그리고 혼자서도 손쉽게 강의를 저작하고자 하는 강의 교수자들을 위해 고안되었다. 강의 저작도구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서 작업지원수준(Task Support), 사용편의성(Usability), 미적인 구성(Aesthetics) 의 3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도출된 인터페이스 모형에 대한 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검증되고 보다 개선된 설계지침을 제안하는데 노력하였다. 실제 웹 기반 강의 저작도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기획하고 디자인하는데 있어, 보다 실증적 연구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To correspond hereupon entering by digital age that picking up of creative and special knowledge is required, request about newer education is accelerated. Education that can satisfy this actuality can be cyber education justly, and, is enjoying great success so much so that to reach in 2004 most universities execute cyber education. Therefore, authorizing tools of cyber learning were developed so that can produce cyber fortitude freely in place that computer environment is made up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because professor persons escape existent classroom class. Accordingly, this study wished to analyze interface design of Web-Based authorizing tools that is used mainly present Class manufacture in cybe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grasp problem about authorizing tool use of actuality through usability test. When furthermore develops specific guide line, and designs interface model by guide and develops authorizing tool late, started in purpose that wish to present benchmark interface design guideline. The latest cyber class reflects tendency age that wish to manufacture high and various cyber class contents that professor persons utilize authorizing tool without help of developer or tutors in real that is increasing. Existent authorizing tool user interface satisfies cyber education environment that must produce fortitude as is more easy and fast for various learning environment, especially professor lengths that is not accustomed to computer environment, various problem is happening practically. Therefore, in this study,I wished to suggest suggestion point in UI design strategy of authorizing tool that is verifying usability of authorizing tool laying stress on literature study and actuality test estimation, and is developed present. This study can divide into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interface analysis, usability estimation experiment 3 greatly, interface analysis for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existent authorizing tool progressed before usability estimation to basis study and executed estimation for usability improvement of authorizing tool because uses inquiry, testing. Also, interface model that is drawn analyzing wave of usability estimation and data executed revaluation about usability using inspection. Therefore, tried to draw fuller model design. As firstly theoretical background for cyber education and professor person, and authorizing tool and literature study about characteristic, analyzed existent study and datas about professor person's cyber education manufacture by period change and understanding about operation, and user interface design development principle of authorizing tool. Secondly, analyzed user interface design laying stress on domestic menus that grasp present condition of authorizing tools that is used mainly. Executed questionnaire that is kind of Question as estimation for usability improvement to authorizing tool by third. This is purposeful to grasp feeling, attitude, realization and expectation of basic interface for user's authorizing tool. Also, used usability test, this is purposeful to grasp cause of mistake measuring execution time giving user Task. Usability hindrance factor that become problem most to use this study finding, authorizing tool appeared by vague design of shortcut, wrong labeling, small graphic image, absence of necessary shortcut, hidden menu. As user interface that is presenting in this study is more simple and fast, and was invented for faith tree figure plain that wish to manufacture Cyber contents alone easily. As guide line for authorizing tool user interface design, tried to suggest design guideline that classifies and presented by task support, usability, aesthetic composition and is executed ashes usability estimation for derive interface model and verifies and improves more. To plan and designs user interface of actuality Site-Based contents authorizing tool, wish it amounted to more positive investigator f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멀티미디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