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경-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2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15-
dc.description.abstractArt material have widely used as teaching materials in history classes. However, their use has often been limited to supplementary purpose. Teachers usually show them one by one with brief explanation. Thus students have problems in understanding properly, let alone memorizing their historical meaning. With this problem in mind the author develops a working model using art materials in world history class. She believes that students would be more interested in history class and to have better understandig of the contents dealt with in class. This model needs to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s. Firstly, background information on painting should be introduced. Secondly, separate painting questionnaires are to be needed so that students may understand them step by step. Thirdly, the painting material and questionnaires at teaching-learning should be supplemented at any time and anywhere to let students express questions and ideas freely without a time limit by using Internet. The author selected painting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duce questionnaires to examine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materials. The author investigates the findings objectively. And she also introduce materials on Internet to provide students with advanced learning materials and to initiate discussion among students on material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world history class using art material could elevate understanding on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the students to be of help to improve their interests on history subject. Secondly, the investigation on questionnaires and questions made by the students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given a lot of help by background information as well as the questionnaires to be essential at teaching-learning. Thirdly, the teaching-learning using art material was of help for students to improv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Fourthly, the students could review the material at class on Internet at home to solve problems through a bulletin board. In addition, the students could discuss the contents, which were not solved at class because of limited time, to admit of various viewpoints of each individual regarding historical facts and situation an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y. The author gave students motivation on history by history class model using art material, and found that an art material would be of help to attain educational objectives of history.;미술 자료는 그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보편화된 자료인 교과서의 삽화를 통해서 손쉽게 수업자료로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중고등하교 역사 수업에서 수업의 보조 자료로서 교사의 간단한 설명과 더불어 일회적인 제시에만 그치고 있고 더 나아가 미술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현행 교육과정에 입각하여 역사 이해에 도움을 주는 세계사 관련 미술자료를 활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미술 자료를 활용한 세계사 수업이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증진 및 역사적 이해 함양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술 자료가 학생들이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시각 자료 중의 하나이기는 하나 기존의 미술 자료를 활용한 수업과 비 문자자료로서의 그림 자체가 가지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미술 자료를 활용한 수업모형에는 그림이 가지는 어려움을 고려한 다음 과정이 제공되어야 한다. 첫째, 그림에 대한 배경지식을 소개, 둘째, 비 문자 자료인 그림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 스스로 단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별도의 그림 분석지가 필요하다. 셋째, 수업시간에 활용한 그림 자료와 분석지를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심화 보충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의 의문사항이나 깊이 있는 생각들을 시간적 제약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인터넷을 활용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세계사 관련 그림 중 산업혁명과 근대 일상 생활모습을 잘 표현한 그림 선정, 그림 분석지 제작 또한 미술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가지를 제작한 후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수업을 한 자료를 인터넷에 올려 학생들의 심화 보충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자신의 생각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도록 토론방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자료를 활용한 세계사 수업은 학생들의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학생들이 작성한 분석지와 설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배경지식과 분석지의 도움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나 수업에 있어 꼭 필요한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술 자료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넷째, 인터넷의 활용은 수업시간에 활용되었던 자료를 가정에서도 다시 볼 수 있게 하였다는 점과 궁금한 사항을 게시판을 통해서 해소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이라는 제한된 시간에 이루어지지 못한 깊이 있는 내용의 토론을 통해서 하나의 역사적 사실 또는 상황에 대해 개개인의 다양한 관점을 인정하는 가운데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한편으로 본 수업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기 초 연간계획을 세우고 적절한 단원을 설정하여 미술 자료를 선정하고, 분석지를 고안하여 수업에 이용하는 융통성이 필요하며 미술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끝난 후에 토론할 수 있는 토론방 운영 및 게시판의 활용, 그림 자료실의 계속된 업그레이드 등 홈페이지 활성화에 대한 방법 모색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미술 자료를 활용한 역사 수업 모형이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관심을 증진시키고 더 나아가 역사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유용한 교과 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Ⅰ. 머리말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Ⅱ. 수업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4 A. 개발의 실제 = 5 1. 주제 선정 = 5 2. 그림의 선정 = 7 3. 그림 분석지 제작 = 12 4. 평가지 제작 = 15 5. 수업의 적용 = 18 B. 수업의 실시 = 19 1. 본 차시 수업 = 19 2. 홈페이지 활용 = 20 Ⅲ. 평가 및 결과 분석 = 27 A. 평가지 결과 = 27 1. 1차 수업의 평가지 문항 분석 - <산업혁명> 평가지 분석 = 29 2. 2차 수업의 평가지 문항 분석 - (5) 근대 일상 생활 모습 = 35 3. 홈페이지 토론방 = 43 B. 사후 반응 조사 = 46 Ⅳ. 맺음말 및 제언 = 54 Ⅴ. 참고문헌 = 57 부록 = 61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84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미술 자료를 활용한 역사 학습 모형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ive Use of Art Materials in History Class-
dc.creator.othernameKim, Min-Joung-
dc.format.page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