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4 Download: 0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가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가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he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Applied Collaboration Model among Teachers on the Engagement in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uthors
원종례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통합교육은 특수교육의 기본 철학인 정상화 원리를 구체화하는 교육 실제의 하나로, 그 자체가 중요한 교육목표이자 방법이 되어 왔다. 특히, 유아들은 발달적으로 적합한 환경에서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학습과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통합 환경이 이상적인 교수 맥락으로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통합 환경의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에서 장애 유아를 단순히 통합 환경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실질적인 활동 참여와 발달을 향상시킬 수 없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합 환경에서 또래와 함께 하는 활동과 일과 안에서 장애 유아의 참여와 발달을 촉진시키는 중재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통합교육 현장에서는 유치원의 하루 일과에 따라서 진행 중인 활동들에 교수활동을 삽입하여 장애 유아의 교수목표가 성취되도록 하는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의 필요성과 더불어 학급중심 교수 상황에서의 실행 가능성이 같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를 촉진시키는 것은 통합된 장애유아의 활동 참여와 발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이며 실행 가능한 통합교육의 실제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 유아들을 대상으로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가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 유치원 3, 4, 5세반에 통합되어 재원 중인 장애 유아 30명이다. 중재를 교수 받은 실험집단과 중재를 교수 받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3, 4, 5세반 각각 2학급 중에 1학급씩 무선 배치되었다. 중재의 내용은 교사 훈련, 개별화교육목표 구안, 활동-중심 삽입교수로 구성되었다. 중재기간은 9주에 걸쳐서 실시되었으며, 중재빈도는 주 5회로 전체 45회기이며, 1회 중재시간은 3시간동안 이루어졌다. 중재가 활동 참여율과 발달 점수에 미친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간의 차이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활동별 참여율과 발달영역별 점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위해 Pearson γ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계획된 활동, 자유선택 활동, 일상적인 활동에 더 빈번하게 참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중재가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율에 효과적이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대근육 운동, 소근육, 언어, 사회성의 발달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인지와 신변자립의 발달 수준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중재가 대근육 운동, 소근육, 언어,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실험집단의 경우, 활동별 참여율과 발달영역별 점수 간에는 하위 요소별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유선택 활동의 참여율과 소근육 운동, 인지, 언어, 신변자립, 사회성의 발달 점수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계획된 활동, 자유선택 활동, 일상적인 활동의 참여율과 언어, 신변자립, 사회성의 발달 점수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대근육 운동의 발달 점수 간에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소근육 운동과 인지의 발달 점수는 자유선택 활동의 참여율과는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계획된 활동, 일상적인 활동의 참여율 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를 촉진함으로써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율과 발달 수준을 향상시키고, 활동별 참여율이 영역별 발달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이라는 실제적이고 자연스러운 맥락에서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의 영향을 입증한 실험 연구로서 통합된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와 발달을 위한 교수의 실제가 부족한 현재의 통합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의 틀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applied collaboration model among teachers had effect on the engagement in activities and o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ty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ed this intervention program. These thirty children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5 children ea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ased on the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but the control group was no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mposed of teaching teachers, establish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 and the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training was conducted 5 times a week for 9 weeks. Each session was 3-hour long. To prove the effects of the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pre-test and post-test for control group was designed.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10.0 program. And Pearson γ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the engagement in each activity and marks by developmental domains. The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engagement participated in planned activities, child-initiated activities, routine activities more frequently than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proved that this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 the ratio of engagement in the activiti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 level of development in the gross-motor, fine-motor, language, and social competence domains. However, the level of development in cognitive performance, self-help skills domains were not improved. This result showed that this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gross-motor, fine-motor, language, and social competence. Last,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ratio of the engagement in the center time activities and the marks of development of these domains: fine-motor, language, cognitive performance, self-help skills and social skill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the participation in the planned activities, child-selected play activities, and daily activities and the marks of development of language, self-help skills, social competence, not development of gross-motor.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fine-motor and cognitive performance and child-initiated activities, not planned activities and routine activities. In conclusion, not only ca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the Activity Based Embedded Intervention applied collaboration model among teachers facilitat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engagement in activities and increases their developmental level, but the ratio of the engagement by each activity also can positively affect the developmental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