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장지원-
dc.creator장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2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6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nges of teachers and patents through the process (plann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for improving communic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based on partnership.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subject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problem recognized by teachers and patents on the communications between them? 2. What is the way to build partnership and improve mutual understanding? 3. How are parents and teachers changed through the activity of parent involvement for building partnership and improving mutual understanding? For this, the research performed a survey of 2 teachers and 30 mothers having children attending Haeun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 26, 2004 to Nov. 12, 2004. During those days the research had done as follows: 1. Doing paper inquiries and 1 to 1 interviews to checked up the communic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2. Planning and executing practice as the check-up results. 3. Gathering mothers' and teachers' reaction on practice, and evaluating it, then feeding it back. 4. Having mothers do the role of teachers for one day. 5. Evaluating daily teaching involvement. The data aggregation had done from the research starting day on Aug. 26 to the ending day on Nov. 12, through video and sound recording, observation, interviews and record keeping.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that was composed of interviewed data, observed data, video taped data, and the result of practice. In the data analysis, it was mainly used the results of 2 times mothers conference and video taped data. Additionally enhancing the analysis, phone data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and teachers' daily notes used. Thu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babl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communication has reacted as to parents' attitude to them by analyzing 1 to 1 interviews data and teachers' daily notes. When teachers feel uneasy on parents, they are ape to communicate in passive and negative manners, except chosen interview time and parents' asking. It comes from the perception parents devaluate teachers working in private kindergarten and the different opinion between them on the teaching point. The interviews and paper inquiries reveals that parents believe the main problem arise from the systemic problems of the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educational systems don't stimulate periodically the communications with parents on the young children's in-house social life. So, it is very hard for the parents to know their children's development and emotional changes. The only chance to get the information is by parents' asking. Second, study process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s planed as follows: 1. Finding out the communicational problem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2. Analyzing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the communicational problem between them. 3. Planning and evaluating the activity for solving the problem, and reorganize it. 4. Practicing the reorganized activity and evaluation it. The researcher found out the communicational problem and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al path between them. To analyze recognition of the problem,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parents were taken and paper inquires to parents were executed. Considering Haeun kindergarten's curriculum, parents' peculiarity, and teachers' burden on duty, it was done consulting over the phone, e-mailing the pictures carrying children's activities, and sending the correspondence letter. But during 8 days those activities showed negative results. So, the researcher adjusted the activity plan to improve the communications. That was two times parent-teacher conferences and 11th daily teaching involvement. Third, this process brought out 5 positive changes from parents. First, they understand more teachers' duties. Second, they get more knowledge on children. Third, they know more the process of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Fourth, they generate the communications in the family related with the class. Fifth, they build self-confidence. Teachers also showed 2 positive changes through this process. The positives were reconsideration of their perception on parents and increasing the adaptability to accept the variety that affected their views on parents. That is, this research showed positive changes on the understanding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hrough endless communications, mutual understanding and trust was built. Under a matter of common interest for children, they worked together and cooperated. That is deemed as they molded partnership.;본 연구는 하은 유치원 만4세 소망반에서 동반자적 관계에 기초한 부모-교사간의 의사소통을 증진하고, 이를 통해 부모-교사의 상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며, 그 과정에서 교사의 변화, 부모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교사의 의사소통에서 교사와 부모가 인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2. 부모-교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3. 부모-교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부모참여 활동을 통하여 부모와 교사는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하은 유치원의 소망반 어머니 30명 및 연구자, 교사 2명이다. 연구 기간은 2004년 8월 26일부터 2004년 11월 12일까지로 이 기간 동안 부모설문지 실시 및 1:1 면담을 통한 부모-교사의 의사소통 점검, 점검된 문제점에 따른 의사소통 방안 실시, 면담을 통한 부모·교사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방안 실시에 대한 반응 평가 및 피드백, 어머니 일일 교사 참여활동 실시, 어머니 일일교사 참여 활동 평가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연구가 시작된 8월 26일 부터 연구가 끝나는 11월 12일까지 기간 동안 녹화와 녹음 및 교사와 연구자의 저널쓰기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 외에 여러 가지 문서자료와 사진 촬영 등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하는 동안 교사 면담, 부모 면담, 부모-교사의 전화 상담 내용, 캠코더 녹화 내용을 정리하고 교사 저널, 개별 부모의 평가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부모-교사의 개별 의사소통 녹음 내용, 교사 평가 녹음내용, 부모 평가 녹음 내용, 2차례 집단 협의회를 통한 부모 설문자료 및 녹화된 협의회 과정 정리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추가로 교사 저널과 부모와 어머니의 의사소통 관찰 기록을 보며 내용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1 면담과 교사 저널 쓰기 실시를 통해 나타난 소망반 교사의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예의를 갖춘 태도로, 교사의 이야기에 수긍하는 태도를 지니고, 교사를 교사로서 인정해주는 부모는 편안한 의사소통의 대상자이며, 반대로 교사를 존중하지 않고 무시하는 부모와 교사의 견해를 불신하는 부모는 불편한 의사소통의 대상자로 인식하였다. 부모를 불편한 대상자로 보는 부정적 인식은 교사로 하여금, 문제 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정해진 면담의 시간, 부모가 먼저 요구할 경우 등, 최소한의 필요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소극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교사가 부모의 태도에 따른 수동적인 의사소통을 실시하는 인식의 저변에는 사립유치원 교사에 대한 부모들의 사회적 인식이 낮다는 생각과 교사들이 중점을 두고 있는 교육의 부분과 부모가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달라 서로가 견해 차이를 가지고 있다는 부모에 대한 두 가지 인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부모 설문지 조사와 개별 면담실시를 통해 소망반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부모-교사의 의사소통에 대해 부모가 인식한 문제점은 그 내용에 있어 기관 생활에서 발생된 문제점에만 편중되어 유아의 기관 생활이나 발달과 학습에 대한 정보 제공이 미흡하며, 부모가 먼저 요구할 경우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져 기관이나 교사가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시도하고 있지 않고, 정기적이며 지속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아의 발달 상황이나 변화를 주기적으로 알기 어렵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사의 의사소통을 증진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의 부모-교사 의사소통에 대한 문제 인식,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부모-교사 의사소통 점검, 문제점 파악에 따른 의사소통 증진 방안실시, 평가를 통한 2차 방안 재구성, 2차 방안실시 및 평가하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현재 하은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부모-교사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한 후 부모-교사간의 공식, 비공식적 의사소통의 경로를 파악하였다. 교사와의 면담 및 학부모 설문과 학부모 면담을 통해 교사와 부모가 서로 인식하고 있는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하은 유치원의 교육과정과 소망반 부모의 특성, 교사의 부담 요인 등을 고려하여 부모-교사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개별 전화 상담, 전자 메일을 이용한 유아 활동 사진전송, 가정 통신문 발송을 방안으로 계획하여 실시하였다. 8일 동안의 실시 과정을 평가한 결과가 부정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부모-교사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방안을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방안은 부모의 직접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하은 유치원의 교육과정과 교사의 업무 부담 요인을 고려한 부모의 대그룹 모임 3회와 어머니 일일 교사 참여 활동 11회이다. 셋째, 부모-교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방안의 실행 과정에서 부모의 긍정적인 면의 변화는 교사의 업무를 이해하는 면, 유아에 대한 이해가 증진된 면,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활동의 계획 과정과 진행과정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면, 가정과 연계된 의사소통이 실시되었던 면, 부모의 자신감 형성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모-교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방안의 실행 과정에서 교사의 긍정적인 측면의 변화는 부모에 대한 교사 자신의 편견을 재고해보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융통성이 조장되어 부모를 바라보는 긍정적인 시각에 영향을 미친 점이다. 즉, 부모와 교사는 서로를 이해는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끊임없이 지속되는 의사소통을 통해 서로에 대한 상호 이해 및 신뢰를 형성하고, 유아를 위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같은 일을 한다는 생각 아래 서로 협력한다는 동반자적 관계에 접근한 변화라고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자 배경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부모-교사 관계 = 7 B. 부모-교사의 의사소통 = 12 C. 부모참여의 필요성과 유형 = 15 Ⅲ. 연구방법 = 23 A. 실행 연구 (Action Research) = 23 B. 연구 대상 = 24 C. 연구 절차 = 29 D. 자료 분석 = 32 Ⅳ. 연구결과 = 33 A. 부모-교사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과정 = 33 B. 부모-교사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실행과정에서 어머니의 변화 = 74 C. 부모-교사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실행과정에서 교사의 변화 = 83 Ⅴ. 논의 및 결론 = 92 A. 논의 = 92 B. 결론 및 제언 = 98 참고문헌 = 101 부록 = 104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50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부모-교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및 상호이해를 위한 부모참여 활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arent Involvement for Building Partnership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dc.creator.othernameChang, Ji Won-
dc.format.pageⅷ,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