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일호-
dc.contributor.author박윤신-
dc.creator박윤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2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6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56-
dc.description.abstract과학의 발달에 따라 오늘날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영상 미디어가 차지 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TV, 비디오, 컴퓨터, 인터넷 등의 영상미디어의 증가와 비디오 아트, 인터랙티브 아트, 멀티미디어 아트, 인터넷 아트 등 새로운 개념들의 현대미술은 기존의 정보사회에서의 문자 메시지에 의한 정보 전달방식을 시각적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 흐름 속에서 청소년들은 끊임없이 쏟아지는 시각 정보를 올바르게 해독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이에 시각 예술을 다루는 영역인 미술영역에서의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은 영상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미술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의 일환인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에 대하여 알아보고,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의 방안으로서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미디어 아트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등학교 1학년은 자기 관점 형성과 감성 개발을 키워줄 수 있는 적절한 나이로써 시각적 미디어를 통한 미술교육을 하기에 적합한 시기이며, 학년별 미술교과서 중 미디어 아트에 관련된 단원을 가장 다양하게 다루고 있어 이를 중심으로 미디어 아트 교육의 필요성을 연구하였다. 미술교육적 관점에서 비주얼 리터러시는 다양한 시각적 미디어를 통한 그림이나 영상 또는 시각적인 진술들을 올바로 인지하고, 비평적으로 수용하며, 적절하게 활용하고 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능력들과 숙련된 기술들을 의미한다. 제 7차 교육과정 내용체계에서 비주얼 리터러시를 위한 미디어 아트의 교육적 의미는 미적체험 영역에서 청소년들이 미디어 아트의 다채로운 영상미를 접함으로써 시각적 인지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표현 영역에서 디지털 영상을 활용하여 미디어의 이미지를 직접 표현함으로써 창의적 조형능력, 활용능력, 제작능력의 교육을 도모할 수 있으며, 감상 영역에서 미디어 아트작품을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이해하고 분석함으로써 비판적 수용능력과 더불어 시각적 인지능력을 교육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적 의미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1학년 8종 미술교과서의 미디어 아트 단원의 내용, 구성, 도판 분석과, 서울지역의 인문·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187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아트 교육에 대한 관심도, 수업여부 및 요구사항,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하여 교육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필요성 제시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아트 단원의 분석한 결과는 교과서별로 ‘미적체험’, ‘표현’, ‘감상’에 제시된 교육과정상의 영역에 따라 인지, 비판, 활용, 제작, 조형 등 비주얼 리터러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목표의 불명확성과 평가의 미 제시, 도판위주, 작품 및 내용 설명의 부족, 쪽수 배당에 비해 많은 학습내용을 포함, 매체의 재료적 특성으로 교과서 자체로 미디어 아트를 감상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인식도 조사 결과는 영상매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에 비해 미디어 아트에 대한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생활 속에서 보여 지는 미디어 아트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미술시간의 부족 등으로 미디어 아트 수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이루어지더라도 이론 및 미술사 수업 시 미비하게 설명되어 지고 있다. 셋째, 제작 및 표현 하고 싶은 관심분야는 컴퓨터 아트, 디지털 아트, 레이저 아트, 비디오 아트 등으로 다양하였고, 수업에서 중점적으로 배우고 싶은 분야는 실제제작기술과 제작과정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미디어 아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학생 93.6%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였다. 현행 미술수업에 있어 미디어 아트 교육의 비중은 매우 작지만, 제 7차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의 미디어 아트 교육내용에 비주얼 리터러시의 구성요소가 존재하며,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다양한 요구 사항과 필요성에 대한 높은 인식은 미디어 아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육현황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체계적인 미디어 아트의 교육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미술수업의 표현영역에서 기존의 회화, 디자인, 조소에 주로 한정되었던 영역을 다양한 영상미디어 즉, 사진,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등의 교육내용으로 확장시켜야 할 것이다, 여기서 고려하여야 할 것은 지금까지의 ‘정영상’ 중심의 교육내용에서 ‘동영상’으로 확장하고, 그 미학적, 조형적 원리나 특성을 이해해서 서로 비교, 분석하게도 하는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의 개발을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수·학습내용과 방법들이 연구·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맞는 교육내용들을 선정하고, 교육내용을 수업의 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에 특성에 맞게 구성된 관련 단원의 활동을 통하여 비주얼 리터러시 능력이 신장될 수 있도록 기초와 심화 수준으로 나누어 영역별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그 지도방법을 논하였다. 셋째, 미디어 아트를 감상할 수 있는 CD-ROM타이틀, 비디오, 인터넷 자료 등 보완교재의 개발, 확충이 요구되며, 이러한 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려면 다양한 시각적 미디어들과 그와 관련된 기자재 및 장비들이 각 학교별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교사들은 미디어 아트 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지도능력의 배양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As the scientific areas have been highly advanced, a variety of visual media have assumed increasingly massive proportions in our daily life of today. The growth of visual media such as TV, video, computer, internet, etc., and the emergence of new-concept modern arts such as video art, interactive art, multimedia art, internet art, etc. have realized a innovative transition from text messages - which are used as a means of data communication in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societies - to convenient visual images or videos. These social and cultural currents require adolescents to have a ability to decode and use constantly overflowing visual information in correct manners, which lead to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ing visual literacy in a domain covering general visual arts, art field. Keeping pace with the visual information-oriented age,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closely the instructions of visual literacy as a part of media education in art education and suggesting the necessity for media art education focused on high-school first graders as a scheme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From the art-educational point of view, visual literacy is defined as a comprehensive term indicating collectively abilities and experienced skills to cognize correctly pictures, images or visual statements through diverse visual media; to accept them critically; to apply them properly; and to produce them actively and creatively (Hwang Yeon-ju, 2003). In the context of the 7th curriculum,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visual media art for visual literacy include to enable adolescents to experience a variety of aesthetic images from visual media art and develop their own visual cognitive abilities; to represent directly images of media with digital images in expression fields to promote the education of creative abilities to implement formativeness, utilization and production; an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media art works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veins throughout the appreciation field to develop visual cognitive abilities as well as critical acceptabilities. Based on such the education implication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pproach suggestion of the necessity for media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media art units contained in eight (8) kinds of art textbooks for high-school first-graders and surveying the recognition of media art education among 187 subjects who were first-graders at academic or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compositions and illustrations of media art units,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textbooks include the educational components of visual literacy such as cognition, criticism, application, production and formativeness depending upon the domains of educational courses represented in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nd have several problems for example, the general obscurity of objectives, non-presentation of evaluation, composition centered on illustrations, the lack of the descriptions on works, the excessively heavy contents of learning compared to the alloted number of pages, and difficulties in appreciating media art works with the textbook alone due to their material characteristics of media. In addition, the findings from surveying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current status of lessons for and the necessity for media art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interest in visual media was high, while the degree of interest in media art was relatively low. However, the subjects showed generally positive responses to the media arts found in daily life. Second, owing to insufficient art lessons, there were few lessons covering primarily media art and instead of that, it was briefly mentioned during lessons on the theories and history of art. Third, to the question about desired areas of interest to produce or express, different answers were given in the order of computer art, digital art, laser art and video art. For the desired areas to be primarily learned in art lessons, actual production skills and processes accounted for remarkably high proportions. Finally, for the necessity, 93.6% of the students gave the answer that media art education was required, which indicates the recognition of its necessity among students. For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although media art education assumes quite small proportions in art lessons, the 7th curriculum and the investigated art textbooks include the components of visual literacy in the contents for media art education. And, in the light of high interest in and recognition of necessity for the education among the students, it is keenly required to seek proper approaches to media art education. For systematic media art education, it is required to improve and complement the existing contents of media art units so that they contain more substantial and concrete descriptions, and at the same time, to conduct multidirectional researches on such the contents, organizations and data clearness. Additionally, integrated educational researches on understanding of media art,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instruction fields are required. In order to apply appropriate teaching techniques as mentioned above to the school fields, external conditions as well as educational processes themselves should be met. Thus, active investments should made in facilities for the instructions related to media art.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the milestone suggesting a desirable orientation of media art education in future art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와 미디어 아트(Media Art) = 5 A. 미디어 교육의 일환으로써 비주얼 리터러시 = 5 B. 미디어 아트 = 21 C. 비주얼 리터러시를 위한 미디어 아트의 교육적 가치 = 39 Ⅲ. 제 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 41 A. 제 7차 교육과정과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 41 B. 교과서의 미디어 아트 단원 분석 = 44 Ⅳ. 미디어 아트 교육의 인식도 조사 = 57 A. 연구 방법 = 57 B. 연구 내용 = 58 C. 연구 결과의 해석 및 분석 = 60 Ⅴ. 체계적인 미디어 아트 교육을 위한 방안 = 77 Ⅵ. 결론 = 82 참고문헌 = 87 부록 = 90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22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미디어 아트(Media Art)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cessity for Media Art Education - Focused on the Art Education for High School First-Graders --
dc.creator.othernamePark, Yun-shin-
dc.format.pageⅷ,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