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선숙-
dc.contributor.author洪榮美-
dc.creator洪榮美-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2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6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55-
dc.description.abstractOne of the objectives of the Seventh Curriculum revision for mathematics was to emphasize the practicality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One of the major reasons why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school is important was that it enables to solve problems in actual daily lives by acquiring mathematic knowledge and mastering its function, and to actively apply it onto other subjects.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emphasizes the ability for students to comprehend mathematic conceptions and principles on their own, and to apply them to external and internal problem situations of the mathematics. These were related to mathematic connection and it refers to relations among mathematical fields, relations among mathematic conceptions within the mathematical fields, relations of mathematics with other subjects, and relations of mathematics with the daily lives. To summarize the studies of the mentioned documents, it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n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to focus on the practicality of mathematic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daily lives and other subjects in school. It aims to equip students with a recognition of the value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with the ability to utilize it. Moreover, there is increasing attention given to the connection of mathematics in middle schools with other subjects. Instead of applying the mathematics to other subjects first, the mathematics can be learned in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in a stage of mathematics education itself so that it would become easier to comprehend mathematic conceptions, principles and rules, and to facilitate the practicality of the mathematics. This study examined the connection of mathematics with other subjects based on the suggestions of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Sixth Curriculum and of 8-Ga, Na Stage of the Seventh Curriculum for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s. Prior to the textbook analysis, the mathematics education of the developmental theor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and Freudenthal's mathematization teaching theory and mathematical connection was also examined. Furthermore, Written Problem in linguistic expressions of mathematical situations and daily lives were selected and the materials thereof connected to other subjects were examined and analyzed. By comparing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um textbooks, it was investigated wether there were meaningful changes that correspond to the objectives of the Seventh Curriculum revision.;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중의 하나는 수학의 실용성을 강조하는 수학 교육이다. 학교에서 수학을 학습하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로 수학적 지식의 습득과 기능의 숙달을 통하여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거나 다른 교과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고 하였다(교육부, 1999). 현재의 수학교육은 학생들이 스스로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것을 수학 내·외적 문제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연계성의 개념과 이어지는 것으로서 수학적 연계성이란 수학 영역 간의 관련성, 수학 영역 내에서의 수학적 개념들 간의 관련성, 수학과 타 교과 간의 관련성, 수학과 생활 간의 관련성을 말한다(NCTM, 1989). 이와 같이 현재의 수학교육에서는 일상생활이나 다른 학문에 응용되는 수학의 유용성을 강조하는 추세이며,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고, 적용능력을 기르게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중등학교의 수학교육에서도 타 교과와의 연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학을 다른 학문에서 유용하게 활용하기에 앞서 수학을 배울 때 다른 학문과 연계하여 수학을 학습한다면 수학적인 개념, 원리, 법칙들을 이해하는 데에 용이할 것이며 그 유용성을 증가시키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연계성이 강조되는 현 수학교육의 흐름을 우리나라 중등 교육과정에서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그 중에서 특히 외적 연계성을 나타내는 수학과 타 교과와의 연계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6차 교육과정 교과서별 문장제에서 타 교과와 연계된 소재의 실태는 어떠하며, 타 교과별·각 단원별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의 실태는 어떠한가? 2. 7차 교육과정 교과서별 문장제에서 타 교과와 연계된 소재의 실태는 어떠하며, 타 교과별·각 단원별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의 실태는 어떠한가? 그리고, 6, 7차 교육과정 교과서 문장제의 타 교과와의 연계성 실태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7차 교육과정 수학 8-가, 8-나 단계의 교과서 15종 전체와 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2학년 교과서 5종을 선택하고, 20종 교과서의 도입부분, 예제, 문제, 연습문제, 종합문제, 수행평가 문제로 제시된 문장제 문제 모두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타 교과목으로는 현재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에서 진행 중인 교과목으로 국어, 도덕, 국어,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기술·가정, 영어와 선택 교과인 한문 등 10개 교과목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10개 교과의 내용 체계를 조사하여 수학 교과와 타 교과와의 연계성의 근거를 마련한 뒤, 각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 문제들의 타 교과와의 연계성 실태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 7차 교육과정의 타 교과별 문장제, 7차 교과서의 단원별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 실태를 조사한 뒤, 6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도 같은 분석을 실시하여 6차와 7차 교육과정 교과서 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6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 조사 결과 두 교육과정 모두 각 교과별로 연계성이 많고 적음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교과별 특성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그 특성의 차이에 비해 제시된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의 수는 더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성향을 가지고 있는 학생 개개인에게 다양한 교과와 연계된 문제들은 각각의 흥미를 유발하며 수학의 유용성을 좀더 많이 인식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어, 본 연구 결과로 수학과 연계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 교과와 관련한 다양한 적용 문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6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보다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의 비율이 증가한 것은 수학의 실용성을 강조하는 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도 일치하는 유의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타 교과와 연계하여 학습함으로써 수학적인 개념, 원리, 법칙들을 이해하는 데에 용이할 것이며 더 나아가 그 유용성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생각된다. 각 교과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단원에 따라서도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 수의 많고 적음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보면 6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하여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그 수가 많이 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아직도 몇몇 단원에서는 다양한 문제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단원별로 타 교과와 연계된 다양한 문제의 개발을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제한점을 통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나타난 타 교과와 연계된 문제들 중에서는 과학의 원리나 체육의 점수계산, 가정의 칼로리 계산과 같이 수학적 계산방법, 내용이 직접 관련된 경우가 있었고,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 타 교과의 소재만 빌려온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구분은 하지 않았으나, 세부적인 연계 유형 구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의 교과서 분석에 있어서 연구자 한 사람에 의한 연구이었으므로 객관성과 타당성 검증에 한계가 있었다. 객관성과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여러 연구자의 공동 연구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을 하고, 모호한 항목은 적절한 협의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를 개발·지도하는 데에 다양한 관점을 보기 위해서는 8-가, 8-나 단계 이외의 단계 수학교과서와 외국 수학교과서에서의 타 교과의 연계성에 대한 분석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수학적 연결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수학교육의 흐름을 실제적으로 1-10단계의 다른 단계와 다른 국가들에서는 어떻게 적용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문헌연구 = 5 A. 이론적 배경 = 5 1. 발생론적 수학교육과 프로이덴탈의 수학화 = 5 2. 수학적 연계성 = 8 가. 용어의 정의 = 8 나. 수학적 연계성 = 8 B. 문제와 문장제 = 12 1. 문제와 문장 = 12 2. 문장제 = 12 C.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의 비교 = 15 D. 타 교과와의 연계성에 대한 선행연구 = 1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3 A. 교과서 선정 및 분석 = 23 1. 교과서의 선정 = 23 2. 문장제 선정 = 24 가. 수를 소재로 하는 문장제 = 25 나.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 = 26 다. 기타의 문장제 = 26 B. 분석 절차 및 방법 = 27 1. 문장제의 분석 기준 = 27 가. 연계성의 정의 = 27 나. 문장제의 분석 기준 = 28 다. 타 교과와의 연계 분석 기준 = 29 2. 분석 방법 = 34 Ⅳ. 결과 및 논의 = 36 A. 문장제 선정 및 분석 결과 = 36 1. 문장제 선정 결과 = 36 2.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 분석 결과 = 37 B. 6차 교과서별 분석 = 42 C. 7차 교과서별 분석 = 46 D. 6, 7차 교과서 비교 분석 = 52 Ⅴ. 결론 및 제언 = 55 <부록 1> 6차 교육과정 교과서별 분석 = 66 <부록 2> 7차 교육과정 교과서별 분석 = 69 <부록 3> 타 교과와 연계된 문장제 분석의 예 = 77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94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문장제의 소재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of Written Problem of Mathe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Focused on in 8-Ga, Na Stage-
dc.creator.othernameHong, Young-Mee-
dc.format.pageⅸ,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