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숙-
dc.contributor.author배진일-
dc.creator배진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6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8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into the understanding of tempting, emotional and recognizant field in dancing depending on the dance experience's existence and type and sex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nforms the value of dance training and affirmative understanding of it in middle school by providing with basic data of the necessity of dance teaching and student's motivation in the future. It used questioning method of self-recording with the subj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city, 2004. It used 420 copies among questionnaire of the total distributed 450 copies for final analysis. It used the collected data for analysis such as frequency, basic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examin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WIN 10.0 packag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led by this study method and process. First, for dance goal understanding by sex, it showed that girl students have higher understanding than boy students(p<.05). Secondly, for dance goal understanding by dance experience's existence, it showed that the dance-experienced students have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dance-inexperienced students. Thirdly, for dance understanding by dance experience's type (art dance, entertainment dance), it showed that the entertainment dance-experienced students (M=3.55) have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art dance-experienced students (M=3.28). Fourth, for dance understanding by dance experience's degree (period, frequency, time) it show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ce. Fifth, for the necessity of dance teaching and joining mind in the future by dance understanding field (tempting, emotional, recognizant) emotional field have a highest significant level among the three fields when understanding increase one un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voluntarily and understand the true necessity of dance education, diverse programs must be created and developed to motivate;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별과 무용경험 유무와 경험 유형에 따른 무용의 심동적·정의적·인지적 영역에서의 인식을 통해 그에 따른 무용수업의 필요성 및 향후 참여의사를 조사함으로써 학교교육에서 무용교육의 가치 실현과 긍정적인 인식 함양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4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중 임의로 선정한 6개교의 중학생이며 연구방법은 자기기입식의 설문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배부된 설문지 총 450부 중 42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 분산 분석, 독립 이표본 t-검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무용목표 인식은 통계적으로 세 영역(심동적·인지적·정의적)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05). 둘째, 중학생의 무용경험 유무에 따른 무용목표 인식은 통계적으로 심동적 영역(p<.05)과 정의적 영역(p<.05)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인지적 영역(p>.05)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무용경험이 있는 중학생이 무용경험이 없는 중학생보다 무용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무용경험 유형(예술무용, 오락무용)에 따른 무용목표 인식은 세 영역(심동적·인지적·정의적)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p<.05) 특히, 정의적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높은 유의확률이 나타났다(p-value= 0.003). 집단 간 무용목표 인식은 오락무용 경험자(M=3.55)가 예술무용 경험자(M=3.2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무용경험 정도(기간, 빈도, 시간)에 따른 무용목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생의 무용목표 인식에 따른 무용수업의 필요성과 향후 참여의사는 무용에 대한 전체적 인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목표 인식의 세 영역(심동적·정의적·인지적)을 비교하면 인식 1단위 증가 시 무용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할 확률과 향후 무용에 참여할 확률은 정의적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이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무용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용의 심동적·인지적·정의적 영역이 조화를 이루는 교육내용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전공자 위주의 움직임 교육에 치우치기보다는 학습자의 개성 표현이 가능한 융통성 있는 무용형식 개발도 요구된다. 즉, 중학생의 무용에 대한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표 목차 = ⅲ 그림 목차 = ⅳ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무용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5 B. 무용목표 인식의 개념 및 분류 = 12 C. 중학교 무용교육 = 15 Ⅲ. 연구 방법 = 24 A. 연구 대상 = 24 B. 연구 도구 = 24 C.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 27 Ⅳ. 결과 및 고찰 = 29 A.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무용목표 인식 = 29 B. 중학생의 무용경험 유무에 따른 무용목표 인식 = 31 C. 중학생의 무용경험 유형에 따른 무용목표 인식 = 37 D. 중학생의 무용경험 정도에 따른 무용목표 인식 = 39 E. 무용목표 인식에 따른 무용수업 필요성 및 향후 참여의사 = 45 Ⅴ. 결론 및 제언 = 54 A. 결론 = 54 B. 제언 = 56 참고문헌 = 58 ABSTRACT = 61 부록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44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무용경험에 따른 무용목표 인식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Dance Experience on the Goal Cognition of Dance Focused on Middle School Student-
dc.creator.othernameBae, Jin Il-
dc.format.pageⅵ,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