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동섭-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2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6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27-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에는 다양한 가치인식을 통한 사회성 확립과 정보 활용 능력의 함양을 중요시 여기고 있는데 NIE는 이러한 21세기형 열린 교육에 적합한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 취지에도 불구하고 신문의 교재화 불편, 신문 제공 시스템 미비 등의 문제로 인하여 교사들이 NIE 학습을 진행하는 데 많은 애로를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교육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NIE 기반 교육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교사가 학습지도안을 만든 후 NIE 정보를 검색하여 유용한 기사 정보만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불필요한 정보나 유해한 정보를 사전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 학생들의 수업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어려운 시사 용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용어 검색 기능을 만들었다. 토론방에서는 실시간으로 과제에 대하여 서로의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완성된 결과물은 온라인으로 과제를 제출하여 평가받게 되며, 우수한 과제물에 대하여서는 다른 학습자들도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스스로를 평가하고, 학습 과제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게 하였다. 본 시스템은 교사 30명과 학생 90명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여 사용한 후 설문결과를 통하여 그 효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기사검색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검색 시간이 단축되고 보다 유용한 기사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준비 시간의 단축으로 보다 많은 노력과 시간을 수업에 더욱 집중시킴으로 단순히 스크랩만을 하던 수준에서 벗어나 과제의 완성도가 높아졌다. 더불어 창의력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In the 21 st century,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th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be a member of society through various value recognition. In spite of this educational purpose, a lot of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 the difficulty in making newspaper textbook, the difficulty in gathering newspaper. This paper presents the NIE based Educational Information System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and make on the best use of educational efficiency. In this system the teacher makes learning paper, searches Educational Information through NIE searching system and makes them into NIE Education Database. Using this method we can prevent students from accessing unnecessary or harmful information. This system also provides dictionary searching function to understand difficult words easily. Students can communicate their opinion using chatting function about homework, submit homework on this system. Then the teacher evaluate student's work in real time system. One student can view other student's work, especially a good score work and can make self-evaluating. 30 teachers and 90 students attend the class using this NIE based system and fill in the blanks on the question paper to emasure this system. They could gather more useful educational information in short time. And they could concentrate on the class by eliminating the time in searching newspaper information and obtaining newspaper. They could make their effort in doing their work efficiently. They could increase information searching ability, creativity and self-control learning 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NIE의 개념 = 4 B. 한국의 NIE 현황 = 9 C. 학교 NIE 실태 파악 및 연구 방향 = 12 Ⅲ. NIE 기반 교육정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15 A. 시스템 설명 = 15 B. 데이터베이스 설계 = 17 C. 설계 및 구현 = 19 Ⅳ. 설문 결과 및 고찰 = 33 Ⅴ. 결론 및 제언 = 36 참고문헌 = 39 ABSTRACT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807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NIE 기반 교육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Kim, Ji Young-
dc.format.pageⅳ, 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컴퓨터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