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2 Download: 0

일반 고등학교에서의 '좋은 친구 프로그램'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Title
일반 고등학교에서의 '좋은 친구 프로그램'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Good Friend Program' on the Friendship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t High School.
Authors
양은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통합교육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에서 성공적인 통합의 주요한 단서로 또래와의 성공적인 관계, 친구관계 형성을 이야기 하고 있다(권원영, 1998; 김수연, 1996; 박승희, 1994; 박승희, 1996; 오선영, 2000; 정선화, 1993; Forest, 1987; Strully, 1987; York & Vandercook, 1988). 장애학생에게 친구관계 형성은 학업, 사회·정서 발달에 중요할 뿐 아니라(Salend, 1990),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박승희, 2000). 그러나 불행하게도 일반 고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학생들 대부분은 일반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없이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Sawyer, McLaughlin, & Winglee, 1994). 그러므로 장애학생의 친구관계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구조적인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해 실시한 ‘좋은 친구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좋은 친구 프로그램은 일반 고등학교에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친구관계를 형성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직접적인 프로그램이며,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활동을 계획하고 자연스러운 학급 및 학교 장면에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친구관계를 훈련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친구관계를 촉진하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몇 가지 공통요소를 추출하여 연령에 적절하게 구성하였다. 좋은 친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에 참여한 학생 중 실험집단은 서울시에 소재한 인문계 S고등학교의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각각 15명씩이며, 통제집단은 서울시에 소재한 인문계 C고등학교의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각각 15명씩이다.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은 같은 반 학생으로서 서로 짝이 되어 실험에 참여하게 되며, 실험에 참여하는 두 집단의 일반학생들에게는 봉사점수가 부여된다.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친구관계의 질’은 Mendelson과 Aboud(1999)의 McGill 친구관계 질문지를 이은해와 고윤주(1999b)가 번안하여 연구한 것을 Likert식으로 바꿔 사용한 홍주영(2002)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 평균값의 차이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 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친구 프로그램 실시 후 장애학생이 지각한 일반학생과의 친구관계에서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친구의 기능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부정적 감정 점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좋은 친구 프로그램 실시 후 일반학생이 지각한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에서 친구의 기능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 고등학교에서 실시한 좋은 친구 프로그램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의 기능에서의 유의한 변화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서로 사회 정서적 지원 및 도구적 지원을 받고 있다는 뜻으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친한 친구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에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형성이 가능하고 친밀한 친구로서 기능함을 보여주었고, 무엇보다도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매우 적은 시점에 친구관계의 질적 측면을 통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Many studies on integrated education suggest that successful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he establishment of friendship are the major evidences of successful integration (Kwon, 1998; Kim, 1996; Park, 1994; Park, 1996; Oh, 2000; Jeong, 1993; Forest, 1987; Strully, 1987; York & Vandercook, 1988).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establishment of friendship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Salend, 1990), but also affects the quality of their lives (Park, 2000). Unfortunately, however, most of disabled students under integrated education at high school have no particular interact with regular student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et up some special program for supporting disabled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which should be based upon structural interaction through direct contact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Good Friend Program affects the friendship between regular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ded in general high school classrooms. The Good Friend Program(GFP) was designed to directly contribute for the promotion of the friendship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program was constructed appropriate for students' age, using several common factors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on how to facilitate friendship development between the two groups. Two subject group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15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15 regular students enrolled at S High School, Seoul; th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30 students (15 each) from C High School, Seoul. All the subjects took part in the experiment in pairs: 1 student with disability and 1 regular student from the same class. 15 hours of volunteer activity would be allotted to all the regular student participants. As for the 'qualities of friendship' to measure the friendship between the two groups, Hong, Joo-young's scale (2002) was used; it is a Likert scale, which was modified from Lee, Eun-ha & Kho, Yoon-joo's (1999b) interpreted study of McGill Friendship Questionnaires (Mendelson & Aboud, 1999).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pre-post t-test was used with the SPSS 10.0 program; in addition to statistic analysis, qualitative evaluation on the participants' report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riendship between th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disabl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ositive feelings about friends and the functions of friend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gular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actice of the Good Friend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negative feelings about friend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regular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unctions of friend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isabled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actice of the progra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bout friends. The research results prove that the Good Friend Program practiced at high school was effective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friendship between th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particular,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groups' conceptions about the functions of friends indicate that they are functioning as good friends, meaning they are supporting each other in social, emotional and instrumental aspects.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friendship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that they could function as good friends. Most of all, it provided concrete information about how the friendship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s expressed, while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if any, available for this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