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1 Download: 0

발달장애학생의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 분석

Title
발달장애학생의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between the Sensory Processing level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ir Performance level for School Function
Authors
김명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감각처리문제는 성장과 발달에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학교나 가정에서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고 수행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특수교육 관련서비스로서 작업치료가 치료교육활동의 하나로 치료교사가 전담하여 제공하므로써, 감각처리문제를 가진 학생에게 개별적인 특성에 맞는 적절한 감각통합중재가 실행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며 학교상황에 근거한 감각통합중재의 연구를 하기에는 제한적인 요소가 많다. 물론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성을 수행요소에 중점을 두어 알아본 연구들은 있지만 학교환경이나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는 많지 않다. 더욱이 감각처리문제를 가진 학생이 학교활동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나 참여정도를 알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반적인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을 파악하고,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정신지체 및 정서장애 특수학교 초등부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3학년인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부모와 담임교사에게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90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얻었다. 연구도구는 감각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Mclntosh, Miller, Shyu와 Dunn(1999)이 개발한 Short Sensory Profile에 대해 김미선(2001)이 보완한 것을 이용하였고,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Coster, Deeney, Haltiwanger와 Haley(1998)이 개발한 School Function Assessment를 토대로 연구자가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ㆍ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학생의 배경변인인 성별, 학년에 따라 전반적인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을 알아보고자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2, 3학년이 1학년에 비해 좀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연구대상자의 전반적인 감각처리능력은 문제가능성군에 속한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2, 3학년이 1학년에 비해 좀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 01, r=.38). 넷째, 감각처리능력의 하위영역중에서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영역은 촉각민감성(r=.381, p<.01), 움직임민감성(r=.243, p<.05), 과소반응/특정 자극을 찾는 행동(r=.311, p<.01), 청각여과하기(r=.239, p<.05), 활력부족/허약함(r=.256, p<.05)영역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를 수행능력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례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지만 연구결과를 통해 특수교육현장에서 발달장애학생이 특수교육으로부터 유익을 얻도록 적절한 작업치료를 제공하고 지원하는데 있어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the sensory process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ir performance level for school function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and to further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level to school function level.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the parents and teac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etween th first and third years of special elementary school for mental retardation and emotional disturbance, are located in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In total, the findings from ninet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get the results of the study. As the tools of the study, Short Sensory Profile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Kim Mi-Seon(2001) was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sensory processing, and School Function Assessment developed by Coster, Deeney, Haltiwanger, and Haley(1998) and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me to be suitable for the circumstances of Korea was us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degree for school function.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result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tilized to find the degree of sensory processing and performance level for school func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gender, school year which are their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Pearson's simple product moment was calc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sensory processing and performance degree for school fun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y showed more the mean of sensory processing score than the first grade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y. The second,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y showed more the mean of school function score than the first grade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y. The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level and performance level for school function(p<.01, r=.38). The fourth, school func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actile sensitivity area(r=.381, p<.01), movement sensitivity area(r=.243, p<.05), underresponsive/seeks sensation area(r=.311, p<.01), auditory filtering area (r=.239, p<.05) and low energy/weak area(r=.256, p<.05) among sensory processing areas. This study will be reference materials to supply and support appropriate occupational therapy so tha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an benefit from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