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김영란-
dc.creator김영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5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6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special elementary school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 implementation. This research was done by a survey. The subjects were 123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nd 246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nationwide special elementary school.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meaning of curriculum formation about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does not reflect satisfactorily. In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the school system has more importance than th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cause designate beforehand time for offering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2. The recipient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have been selected without conducting assessments on individual needs while service areas and management system is fixed in advance. 3. The most frequently used formats of delivering therapeutic instruction by therapeutic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group and individual classes. In the case of individual class,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 provides individual instruction to a student with special needs while special educator offers therapeutic services to the other students. In this case,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were carried out based on individual assessment, information collection, and evaluation results. 4. There was lack of agreemen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sibilities and justification of taking charge of therapeutic education classes. Moreover, support for the therapeutic education is insufficient. 5. It is stressed that the meaning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has to be clarified with the problems that the current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have. In addition, systematic changes, insuring professionalism, providing teacher training, and efforts for collaboration were indicated as tasks in providing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e problem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he needs of the assessment to confirm for the each student's needs. In the basis of the each student's needs, the operation system has to be established and the number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is to be increased. Therefore, future researches need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the cooperative team assessment. A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for the practice of cooperative team services as "integrated therapy model";'교육의 질적 변화' 요구에 따라 특수학교 내 치료교육도 관심과 변화의 요구에 직면하였으나, 법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치료교육' 개념에 있어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치료교육의 근거가 되는 법적 규정에 있어서도, 교육대상의 접근성 부족, 교사 수의 부족, 교사의 자격과 전문성에 대한 쟁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에는 장애학생들의 교육 기회를 확보하고, 특수학교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치료교육활동이 별도의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학급수를 기준으로 한 치료교육교사의 배치, 정해진 시간 중심의 치료교육 제공처럼 학생들의 치료교육적 요구보다는 외부적인 조건이 강조되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과정 상 편제된 치료교육활동 시간을 치료교육교사와 담임특수교사가 함께 담당하게 되었고, 치료교육활동 운영체제의 규준화 및 학교 환경 내 치료교육교사 역할에 대한 규정의 부재 등 치료교육활동 시간을 운영하는데 있어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그 동안 이루어진 치료교육활동 관련 실태 연구들은 그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고 교육과정 운영 현황과 교사 배치, 교사 및 학부모와의 협력 정도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도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교육활동 시간의 주된 담당자인 치료교육교사와 담임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연구의 범위를 전국 특수학교 초등부로 확장하여 좀 더 구체적인 치료교육활동 실시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현재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되는 '치료교육활동'의 의미를 점검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특수학교 초등부 과정의 치료교육교사 123명과 저학년과 고학년을 담당하고 있는 담임특수교사 각각 123명씩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사전 연구들과 서울시 특수학교 교육계획서 26부의 치료교육활동 운영계획, 치료교육교사와 담임특수교사로 이루어진 협력자문단의 자문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빈도와 비율,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자유기술 문항에 대해 핵심의견을 파악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료교육활동의 전반적 실시 현황을 알아본 결과, 치료교육활동 시간 담당 교사 현황 및 치료교육교사의 치료교육 제공율을 확인함으로써, 교육기회 확보라는 치료교육활동 시간의 교육과정 편제 의도가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상 편제된 치료교육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운영함으로써 그 시간이 별도의 교과처럼 운영되고 있었으며, 치료교육교사가 특정 학생들을 담당하는 가운데 담임특수교사가 그 시간과 나머지 학생들을 담당하고 있었다. 각 학교의 치료교육교사들은 대부분 여러 전문영역을 하나로 통합한 치료교육 자격을 가지고 여러 과정을 함께 담당하거나 학급 담임, 치료교육이 아닌 다른 교과를 담당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러한 교사의 전공은 운영체제 결정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 아니었다. 또한 진단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교육시간과 형태, 내용 등을 결정하는 대신 각 영역에 따라 학생들을 선정하고 있어, 교사 간 수업시수 조정, 교사와 학생수 비율 조정, 영역별 학생수 조정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이 작용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학년별 지정된 영역으로 치료교육활동을 운영하거나, 정해진 치료교육활동 영역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하는 등 기관의 조직적인 측면들이 강조되고 있었다. 학생들의 장애특성을 반영하여 몇 가지 중점 치료교육활동 영역을 선정·운영되고 있었으나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장애영역 간 제한을 넘는 선택적 치료교육활동 취지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한된 학교에서 비공식적 치료교육활동을 통한 교육기회 확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교사 연수 및 학부모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학교가 많았다. 2. 치료교육교사가 실시하는 치료교육활동 현황을 알아 본 결과, 담임특수교사와의 상호협력 면에서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정보수집 내용 및 교육 평가에 있어 협력적이기 보다는 개별적인 시간 운영을 하고 있었다. 치료교육교사 중심의 진단평가 및 담임특수교사의 자문을 통한 정보 수집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담임특수교사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는 학생 수행 전반에 대한 특성을 중심으로 현재 학생에게 제공되는 교실 내 교육내용과 방법, 목표들이 치료교육교사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있었다. 담임특수교사가 담당하는 치료교육활동 시간을 위한 치료교육교사의 지원에 있어서도 그 형태는 공식적인 협의가 아닌 비공식적이고 소극적인 형태였다. 3. 담임특수교사가 실시하는 치료교육활동 실태를 알아본 결과, 담임특수교사는 치료교육활동 시간 운영을 위한 지원이 부족한 가운데 전반적으로 진단평가와 정보수집,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평가에 있어 개별적인 운영을 하고 있었다. 담임특수교사는 주당 1시간에서부터 4시간까지 치료교육활동 시간을 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하여 참고 자료나 지원이 부족한 가운데, 시간 담당을 위해 주로 치료교육교사의 비공식적 자문에 의존하고 있었고, 연수 기회와 지원이 매우 부족하였다. 치료교육활동 관련 연수에 있어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요구를 가장 많이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와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치료교육활동의 교육과정 편제 문제점, 치료교육의 접근성 증대와 질적 강화를 위한 노력, 담임특수교사가 담당하는 치료교육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우선, 현 교육과정 중심의 치료교육활동 운영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치료교육 제공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치료교육의 명확한 개념화와 치료교육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기반으로 양적 배치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 학생들의 치료교육적 요구에 대한 적절한 진단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전문성 있는 치료교육교사의 배치 방안과 적절한 운영체제를 구안하여 치료교육의 적합성 증대 및 질적 강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협력적 팀을 통한 적절한 진단 평가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나아가 동등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통합된 치료 모델(integrated therapy model)"로의 치료교육 제공을 위해 협력적 팀 접근법에 대한 이해와 수용, 상호간 협력적 역할에 대한 합의와 실천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특수교육분야에서 치료교육의 정의 = 6 B.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된 치료교육의 실제 = 9 1. 특수교육관련 법에 제시된 치료교육의 법적 근거와 쟁점 = 9 2. 제7차 교육과정과 치료교육활동 교육과정 = 13 3. 특수학교 치료교육활동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선행연구 = 16 C. 치료(교육) 서비스의 최선의 실제 = 19 1. 협력적 팀 접근 = 19 2. 협력적 팀 접근에서 교사와 치료사의 역할 = 22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연구 도구 = 29 C. 자료 수집 방법 및 연구 절차 = 32 D. 자료 처리 방법 = 35 Ⅳ. 연구 결과 = 36 A. 전국 특수학교 초등부 치료교육활동의 전반적 현황 = 36 B. 전국 특수학교 초등부에서 치료교육교사가 실시하는 치료교육활동 현황 = 51 C. 전국 특수학교 초등부에서 담임특수교사가 실시하는 치료교육활동 현황 = 61 Ⅴ. 논의 및 제언 = 72 A. 논의 = 73 B. 제한점 = 78 C. 제언 = 79 참고문헌 = 81 부록 = 88 Abstract =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28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전국 특수학교 초등부의 "치료교육활동" 실시 현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Nationwide Study on Special Elementary School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 Implementation-
dc.creator.othernameKim, Young Ran-
dc.format.pagexii,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