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희-
dc.contributor.author김영경-
dc.creator김영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5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재량활동으로 환경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서울 소재 중학교를 중심으로 환경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중 교과재량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13개교,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27개교의 지도계획서를 분석하여 선택학교 현황, 담당교사 현황, 지도 내용, 교수-학습 방법, 수행평가 방법, 사용 교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6차 교육과정부터 환경교과는 독립과목으로 신설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 편제상 필수 교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어 현재 교과재량활동의 선택과목으로 환경교과를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서울 소재 중학교는 전체 362개의 학교 가운데 15개 학교에 불과하였고, 창의적 재량활동을 통하여 환경교육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학교에서조차도 이에 대한 시간배당은 3년간 17.1시간에 불과하여 그 선택율과 시간배당에 있어서 학과 개설의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성공적인 재량활동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전문성이 전제되어야 하나 현재 교과재량활동의 환경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경우 대부분의 학교에서 유사 전공의 교사나 수업시수가 적은 교사가 단기 연수를 통해 수업을 진행하거나 수업 시수가 적은 비전공 교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재량활동의 범교과 학습을 통한 환경교육 담당교사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업시수가 적은 교사를 중심으로 수업이 운영되고 있어서 이러한 전문성의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조사 결과 교과재량활동의 지도 내용은 환경문제와 그 대책, 인간과 환경, 환경보전의 순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재량활동의 지도 내용은 환경오염, 환경보전과 대책, 자연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경교육의 내용을 선정함에 있어서 자연에 대한 윤리적 태도의 전환과 생활양식, 사회구조의 변화와 같은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인식을 하기보다는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산업화, 보전과 대책이라는 다소 자연과학적인 영역을 중시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넷째, 환경교육은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가치관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생활 속에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으로 연결되는 체험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법이 전개되어야 하나, 본 연구의 조사결과 교과재량활동의 교수-학습 방법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강의학습과 매체이용학습, 토의·토론학습을 활용하고 있었고, 창의적 재량활동의 교수-학습 방법은 시간배당에 따라 환경교육에 적은 시간이 배당되어 있는 학교에서는 주로 일회성 현장학습을 활용하고, 시간이 많이 배당되어 있는 학교는 강의학습, 토의·토론학습, 매체이용학습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체험과 실천 중심이 아닌 강의 지향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환경교과에 대한 평가는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가치관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생활 속에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을 강화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학생의 가치관의 변화를 지향하고 격려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또한 교수-학습의 전 과정에 걸쳐 다양한 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과 도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증거를 포함할 수 있도록 실시되어야 하나, 현재 환경교과의 평가방법으로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개인기록/보고서(84.6%)나 작문/일기(84.6%), 체크리스트(53.8%) 등에만 의존하여 학생들에 대한 평가가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복합적인 평가보다는 편리성에 의존한 평가 중심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여섯째, 창의적 재량활동은 내신 성적과 직접 관련이 없기 때문에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 다양한 학습교재가 개발되어야 하나, 현재 창의적 재량활동을 통한 환경교육의 학습 자료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자료에 의존하여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교사 인력은 각 교과 중심으로 양성되어 왔기 때문에 단위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학습 자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by grasping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located in Seoul where environmental education is operated through discretionary activity. For this study, education plans of the selected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investigated, Chosen schools were basically two different groups. One is a group of thirteen schools where environmental education is implemented by subject discretion and the other group of twenty-seven schools offers environmental study through creative discretion. Analysis was made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se schools' education plans, Collected data include current status of teacher in charge, course hours, offering year, teaching contents, methods of teaching-learning,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extbooks. The conclusion reached by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course of environmental study has been newly adopted as a single-subject sinc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his course is programmed not as a required subject but as an optional subject. Therefore, schools which programmed environmental study through subject discretionary activity and offers it as an optional subject were only fifteen out of the whole 362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Even at school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me and offering it through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course apportion time was given only 17.1· hours in total during the three-year period. The actual condition makes it hard to realize true meaning of adoption of this subject in that low rate of percentage in students' selection of the course and course apportion time. Second, as for establishing basis for successful discretionary activity, teachers' professionalism above all has to be the prerequisite condition. Yet, as for current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nvironmental study which is offered through the subject discretionary activity are either specialized in similar fields or assigned relatively few teaching hours per week. These teachers having only short-term training were in charge of management of the course. Or else, the course was taught by the teacher who are with few teaching hours per week and majored in rather irrelevant field. Cas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is offered as a pan-subject learning through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showed that the course, in most schools, was primarily managed by teachers with rather few teaching classes per week. Thereupon brings problem of inability to reach expectations of expertise in this field. Third, this study's research found that the teaching contents of subject discretionary activity appeared in order of environmental issues and their countermeasures and followed by environmental conservation. Contents of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were much about environment pollution and next to it was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its measures, then followed nature environment. However, in choosing such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the focus is rather emphasized on natural science field whereas it highly needs to be placed upon fundamental and structural recognition such as reorientation of moral attitude towards nature and change of living style and social system. This is recognized as its limitation. Fourth,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hrough teaching-learning methods centered on not only mere knowledge but also experiential learning. As for experiential learning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action toward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real life and to reach social compromise about values. However, according to this research,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subject discretionary activity in many cases were using methods of learning utilizing lectures, media use, and discussion & debate. As for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varied according to its given course hours. Schools with little apportion time were applying one time field trip whereas schools with much time available used lectures, debates & discussions, and media use in learning. These lecture-oriented methods show limitation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highly needs to center on experiential learning and practice. Fifth, evaluation for environmental study should play a role of not only conveying knowledge but strengthening practice of solving environmental issues in real life and reaching social compromise about values. Hence, the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 way of encouraging and directing changes of students' values. It should include many evidences, as well, focusing on areas of various objectives, using different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Currently, in most schools, student evaluation for environmental study is conducted depending on student's individual report (84.6%), writing assignment (84.6%) or check list (53.8%). This evaluation relies on convenience exposing its own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conclude multiple assessment. Sixth,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is not directly related to academic grades therefore, various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s. Existing teaching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appear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individually by each schools in most of the cases. However, current teachers in schools have been trained primarily to be specialized in each subject, therefore, there exists limitation as to using only each schools' own materials developed individually in school uni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재량활동의 이해 = 4 1. 재량활동 신설의 배경 = 4 2. 재량활동의 교육적 의의 = 5 3. 재량활동의 편성·운영 = 5 4. 재량활동의 내용 = 9 5. 재량활동의 평가 = 12 B. 재량활동을 통한 환경교육 = 14 1.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 = 14 2. 환경교과의 내용 = 15 3. 환경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 17 4. 환경교과에 대한 평가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 18 C. 선행 연구 = 22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4 A. 연구 대상 = 24 B. 연구 절차 = 26 C. 자료의 분석방법 = 2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8 A. 교과재량활동을 통한 환경교육 현황 및 분석 = 28 1. 선택학교 = 28 2. 담당교사 = 30 3. 시간 배당 = 33 4. 지도 내용 = 35 5. 교수-학습방법 = 38 6. 수행평가 = 41 B. 창의적 재량활동을 통한 환경교육 현황 및 분석 = 45 1. 담당 교사 = 45 2. 시간 배당 = 47 3. 지도 내용 = 49 4. 교수-학습 방법 = 52 5. 사용교재 = 55 Ⅴ. 결론 및 제언 = 58 A. 결론 = 58 B. 제언 = 60 참고문헌 = 61 Abstract = 67 부록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22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재량활동 분석을 통한 환경교육 현황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discretionary activity -with special emphasis on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dc.creator.othernameKim, Young Kyung-
dc.format.pageⅷ,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