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허광옥-
dc.creator허광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3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5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암 병동 간호사의 보완대체요법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봄으로써 간호영역에서 보완대체요법의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암 전문병원에 근무하는 병동 간호사로서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에 동의한 15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예비조사를 포함한 자료수집은 경기도에 소재하는 암 전문병원에서 2004년 10월 29일부터 11월 5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고은정(2000), 구정희(2002)의 설문지에 간호학과 교수 1인의 지도를 받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한 측정도구와 신경림(1999)의 보완대체요법의 6가지 유형(신체치료법, 식이와 약초요법, 외부 에너지 요법, 감각요법, 전통치유요법, 마음치료법)을 이용하여 인식과 경험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1.0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인식, 경험은 서술적 통계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과 경험의 차이는 Fisher's exact test, Chi 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한 후 집단 간의 비교는 Duncan방법으로 사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 병동 간호사는 보완대체요법을 증상완화와 심리적 안정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임상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활용 가능 보다는 활용 불가능 이라는 인식이 더 많았으며, 활용 가능한 근거는 심리적 효과, 활용 불가능한 근거는 과학적 근거의 미비로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과학적 증거 부족이었고, 개선점은 공식기관의 인증으로 나타났다. 암 병동 간호사의 보완대체요법 권유 경험은 마음치료법(명상)이 가장 많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 인식과 경험의 차이를 보면, 근무기간과 사용이유, 연령과 필요성, 연령과 문제점, 학력과 개선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 병동 간호사는 치료의 근본 원칙은 과학적 검증이 된 병원치료에 두고 보완대체요법은 보조적 수단으로서 증상완화와 심리적 안정으로 인식하며, 임상에서 직접적인 방법보다는 마음치료법(명상) 등의 간접적인 방법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intended to offer the basic data which will help apply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in nursing area by analyzing nurses' perception and experience on the alternative therapies in cancer war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elected from a specialized hospital for cancer and total 150 nurs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collection of data including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pecialized hospital for cancer, located in Kyunggi-do from 29th, October to 5th, November in 2004. The research instrument was modified by the researcher through reviews of questionnaires of (Ko, 2000), (Ku, 2002) under instruction from one professor of nursing department and measured perception and experience using (Shin, 1999) 6 types(Body work, Dietary and herbal remedies, External energy forces, The senses, Traditional healing techniques, Using the min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Data was analyzed and computerized through SPSS 11.0 WIN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ubjec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Chi 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OVA. Finally, post hoc test was done by Duncan method for group comparison. The result is as follows. Subjects perceiv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mitigating symptoms and psychological therapies. The respondents who perceive them inapplicable dominated those who perceived them applicable. The base for possible clinical use is psychological effect, and the base for impossible clinical use is insufficient scientific approach. The biggest problem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is lacking scientific evidence, while the improvement is required in the area of the certification from an official agency. Recommending experience of clinical use showed the highest point in mind treatment. As for the differenc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notabl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appeared in working experience and reasons, age and need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mprovements, age and satisfaction. I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subjects base basic principles on hospital treatment which is scientifically verified. They perceiv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as subsidiary means to hospital treatment for mitigation of symptom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ey make use of indirect method such as using the mind(meditation) rather than direct clinical u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3 Ⅱ. 문헌고찰 5 A. 보완대체요법 5 B. 보완대체요법과 간호 7 Ⅲ. 연구방법 11 A. 연구설계 11 B. 연구대상 11 C. 자료수집 11 D. 연구도구 12 E. 자료분석 13 F. 연구의 제한점 1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4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B. 보완대체요법의 인식 15 C. 보완대체요법의 경험 23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 인식의 차이 25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미의 차이 25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용 이유의 차이 25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 활용 가능성의 차이 26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 활용 가능한 근거의 차이 27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 활용 불가능한 근거의 차이 27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필요성의 차이 34 7.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점의 차이 34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선점의 차이 34 E.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 경험의 차이 39 V. 결론 및 제언 41 A. 결론 41 B. 제언 42 참고문헌 44 부록 48 부록 1 연구도구 48 부록 2 보완대체요법의 국내외 분류 - 6가지 유형 54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17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臨床保健科學大學院-
dc.title암 병동 간호사의 보완대체요법 인식과 경험에 관한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erception and Experience of Nurses in Cancer Ward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dc.creator.othernameHur, Kwang Ok-
dc.format.pageⅹ,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