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reator이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3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5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54-
dc.description.abstract1995년에 정신보건법이 제정된 이래로 지역사회에서 정신보건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정신장애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있으나 그들의 심리적,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가족지원사업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정신장애인의 재활 및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가족의 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지원사업이 정신장애인의 정신상태와 가족의 부담감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H지역 정신보건센터에서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재활치료 및 가족지원을 받고 있는 정신장애인 및 그 가족 62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03년 8월1일-30일, 2004년 8월1일-30일 년 1회씩 2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정신장애인의 정신상태(GAF 및 BPRS로 측정)는 사례관리자가 정신장애인 등록당시부터 6개월마다 작성하였던 기록을 사용하였다. 정신장애인 가족의 우울감 측정도구는 15문항의 단축형 노인우울척도(GeriatricDepressionScale)를 사용하였고, 가족의 부담감은 강동호 등이 개발한 22문항의 부담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를 이용하여 분석 ·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장애인의 정신상태 중 전반적 기능수준(GAF)은 등록당시에 비해 매년 평균점수가 증가되어 기능이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등록당시와 2002년(t=-2.262 p=.031), 등록당시와 2003년(t=-4.465 p=.000), 등록당시와 2004년(t=-5.711 p=.000)간의 평균을 paired t-test로 분석한 결과 등록당시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기능수준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2002년과 2003년(t=-4.742 p=.000), 2003년과 2004년(t=-3.868 p=.001)의 평균을 paired t-test로 분석한 결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기능수준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과적 증상평가(BPRS) 측면에서도 매년 평균점수가 감소되어 증상이 호전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등록당시와 2002년(t=2.373 p=.024), 등록당시와 2003년(t=4.829p=.000), 등록당시와 2004년(t=5.227 p=.000)간의 평균을 paired t-test로 분석한 결과 유의하게 증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02년과 2003년(t=5.227 p=.000)간의 평균도 paired t-test로 분석한 결과 유의하게 증상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2003년과 2004년(t=1.392 p=.174)간의 평균을 paired t-test로 분석한 결과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정신장애인 가족의 우울감은 2003년 평균이 8.06, 2004년 9.03으로 경한 우울감을 나타내었고, 2004년에는 우울감이 더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나, paired t-test 분석한 결과 유의하지는 않았다(t=-1.200 p=.239). 문항별로 보면 우울감이 가장 높은 항목은 2003년은‘몸과 마음이 가뿐하지 않다’, ‘기운이 없다’, ‘기억력이 많이 약해졌다’로 나타났고, 2004년은 ‘기운이 없다’, ‘사는 게 허전하다’, ‘몸과 마음이 가뿐하지 않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감이 가장 낮은 문항은 2003년과 2004년이 동일하게 나타났는데, ‘밖에 나가기 보다는 집에 있으려 한다’, ‘지금 내가 처한 사항이 절망스럽다’로 나타났다. 즉, 오랜 기간 정신장애인을 돌보면서 형성된 가족의 우울감은 단기적인 사업으로 호전되는 것이 어려운 본질적인 감정으로 가족지원사업과 함께 지속적으로 가족의 우울감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은 2003년 평점이 63.75, 2004년 62.93으로 중간정도의 부담감을 가지고 있고, 2004년에는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paired t-test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305 p=.762). 부담감의 수준을 문항별로 보았을 때, 부담감의 점수가 가장 높은 항목은 ‘나는 환자를 보면 불쌍하다는 생각이 든다’,‘내가 죽고 나면 누가 환자를 돌봐 줄 것인지 걱정 된다’ 순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2003년과 2004년에서 동일하였는데, 이로 보아 환자에 대한 연민과 사후에 대한 부담감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담감 점수가 가장 낮은 항목은 ‘치료를 위한 약물복용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다’,‘나는 환자가 길 밖에서 법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나는 환자가 혹시나 가족을 해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03년과 2004년이 동일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가족을 지원하는 사업이 환자가 약물복용에 대한 적극성을 갖게 했으며 가족이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이 없어지고 신뢰성이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가족지원사업은 정신장애인의 기능수준을 증가시키고 정신과 증상을 감소시켜 정신상태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가족에게는 환자에 대한 편견이 감소하고 신뢰성이 회복되어 약물치료에 적극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족지원사업은 단기간에 효과성을 보기보다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방향으로 가족의 욕구에 맞게 실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족지원사업은 가족의 사후에 대한 부담감과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거시설 확충과 정책적인 범위에서 경제적인 지원이 확대 · 실시되어야 하고 그 효과성을 지속적으로 측정해 볼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As various projects for mental health have been performed actively in local communities since the law of mental health was established in 1995, nowadays, people's point of view about the families that have mental illness has changed. However the family support systems are not enough to relieve their psychological and financial burdens. Therefore, more systematic efforts to reduce the burden would be required in order to rehabilitate the patients effectively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community to develop programs for family support systems by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family support systems on the mental state of mental patients, depression and burden of their family.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from the 1st to the 30th in August in 2003 and 2004 respectiv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62 mental-disordered people and their family that were provided the rehabilitation program and family support systems for more than 2 years. The used data of this study was the report about mental state recorded by the case manager every 6 months since the registration. Geriatric Depression Scale with 15 items was used to measure depression scale of their family, 22 items developed by Kang Dongho were used to measure burden scale of them.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t-test with the SPSS Win10.0 program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GAF score of the mental-disordered people showed the improvement of the annual average marks every year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time when they were registrated. As a result of paired t-test, Functional standard was improved based upon the analysis of GAF score of outcome between in registration time and in 2002(t=-2.262, p=.031), in registration time and in 2003(t=-4.465, p=.000) and 2004(t=-5.711, p=.000). Also,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in 2002 and 2003(t=-4.742, p=.000), in 2003 and 2004(t=-3.868, p=.000) by paired t-tes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GAF score was improved BPRS score of the mental status also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every year was reduced and the symptom was improved. BPRS score of mental status between in registration time and in 2002(t=2.373, p=.024), between in registration time and in 2003(t=4.829, p=.000), 2004(t=5.227, p=.000) was different and the symptoms was improved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paired t-test. The average between in 2002 and 2003(t=4.101, p=.000)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 2003 and 2004(t=1.392, p=.174). 2. Depression of their family was reported in low level of average 8.06 of 2003, 9.03 of 2004 , and higher in 2004, but difference wasn't significant according to analysis of paired t-test between in 2003 and 2004. The items in 2003 between the highest score was ‘feel like the body and mind were not light’, ‘feel tired’, ‘memory ability was weaken’ and in 2004 was ‘feel tired’, ‘feel depressed’, ‘feel like the body and mind were not light’. the items of the lowest score in 2003 and 2004 were similar like ‘feel like staying at home rather than going out’ and ‘feel like desperate’. Therefore, depression of family formed since they had took care of the patients for a long time. It showed that family support system needs for their depression care in the long run. 3. Burden their family that was reported at 63.75(2003), 62.93(2004), indicated mild burden, the mark was less in 2004, but had no difference according to analysis of paired t-test between in 2003 and 2004. The items in 2003 between the highest score and the lowest one about burden is similar to that in 2004. The highest burden score in items was reported that 'I think of the patients with sympathy' the follow items, 'I am worried who will take care of my patients after my death'. The lowest burden score in items was reported 'medication treatment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 follow items, 'I am concerned about whether my patients commit any illegal crime outside of home', 'I am worried that my patients would kill my family'. Therefore, the family support system made the patients active and their family decrease prejudice against mental illness and recovered their trust. Seen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 active action of family support systems is required to improve the mental state of mental illness. Also, this study showed that depression and burden of their family did not decrease in significant level, however the prejudice against mental illness reduced and their trust was recovered. Therefore family support system should be performed for the family continuously. Also, I propose the government and community should develope financial and institutionalized support systems according to needs of their family the community and measure the eff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D. 연구의 제한점 6 Ⅱ. 문헌고찰 7 A. 정신장애인 및 가족 7 B. 지역사회 가족지원사업 10 C. 정신장애인 정신상태 17 D. 가족부담감 및 우울감 18 Ⅲ. 연구방법 21 A. 연구 설계 21 B. 연구대상 21 C. 연구도구 21 D. 자료수집 및 절차 23 E.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23 Ⅳ. 연구결과 25 A.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5 B. 연구대상자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8 C. 연구대상자의 정신상태 평가 32 D. 연구대상자 가족의 우울감 평가 36 E. 연구대상자 가족의 부담감 평가 39 Ⅴ. 결론 및 제언 43 A. 결론 43 B. 제언 46 참고문헌 47 부록 설문지 53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75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臨床保健科學大學院-
dc.subjectfamily support systems-
dc.subjectmental state-
dc.subjectfamily's depression and burden-
dc.title가족지원사업이 정신장애인의 정신상태와 가족의 우울감 및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systems on the mental state of the mentally ills, and on depression & burden of the key family caregiver-
dc.creator.othernameLee, Hyun-Ju-
dc.format.pageⅸ,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