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아동의 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반응중심 시 창작 프로그램 개발

Title
아동의 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반응중심 시 창작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Teaching Program for the Response-based Poetry-Writing to Help in Writing Poetry
Authors
류별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시 교육은 아동의 미적 의식을 함양시키고 인간 내면을 이해하게 하고 성숙하게 하는 기능이 있으며, 아동들의 언어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고력의 신장이 가능하다. 특히 시 쓰기는 표현 능력뿐만 아니라 감상과 이해능력이 바탕이 되어야 하므로 꼭 필요하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도 문학의 창작을 강조하고 있으나 시 쓰기를 위한 구체적이고 자세한 교수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어 교사와 아동 모두에게 시 쓰기는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반영된 반응중심 이론은 아동의 능동성을 강조한다. 그래서 아동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문학을 음미하고 반응하여 심미적인 경험을 하도록 한다. 심미적인 경험을 통해 아동은 문학에 대해 깊이 있는 감상과 이해를 하게 되며, 감상과 이해능력의 신장은 표현능력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다. 본 연구는 반응중심 이론을 이용하여 시 창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서울 중랑구 D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2명에게 적용하여 실제 시 쓰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교사와 아동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반응중심 이론이 현행 교육과정에 반영된 정도와 시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현행 교육과정을 분석한 뒤 프로그램의 목표를 제시하고 그 아래 하위목표를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시에 대한 긍정적인 접근과 이해를 한 뒤 본격적으로 반응중심 시 창작 수업 모형을 적용하도록 조직하여 8주 동안 29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게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 쓰기 능력을 이미지, 시어, 운율, 유기적 관계로 나누어 3명의 채점자가 채점한 결과를 SPSS 12.0/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시 창작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사전·사후 비교에 있어서 시 쓰기 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시 쓰기 능력의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4가지 요소 중 이미지, 시어, 운율의 3가지 요소가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대체적으로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반응중심 시 창작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제시하여 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른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의 결과는 단시간에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의 아동들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는 동시는 제시될 때 어떠한 기준 없이 교과서에 제시된 것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또 시를 쓰는 전략에 대해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시 쓰기 능력 향상에 대한 종합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얻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다른 학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동시를 제시하고 다양한 시 쓰기 전략을 소개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eaching poetry helps a pupil improve an aesthetic sense and understand the internal aspects of human in relation to the advancement of the faculty of language and contemplation. In the process, essential is the poetry teaching, considering the value of co-effects of the poetry education based on the ability of appreciation and understating as well as expression. Likewise, the 7th governmental education curriculum put the stress on the literature education. Nevertheless both teachers and students still recognize poetry as a difficult subject because of the lack of more specific and empirical teaching methods. Response-based literature theory as presented on the 7th governmental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s the activity and subjectivity of pupils. Consequently it aims at the active appreciation and reac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children, in particular, through the aesthetic discernment. During the proces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children can have deep understandings of the literature. In addition, the progress in appreciation and comprehension also helps to develop the skills to express themselves. On the basis of the response-based literature theory, this research attempts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for poetry writing. At the same time, the efficiency of the new methods will be testified by the case, which was applied to 32 students of their 6th grade in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 could see the significant and practical effec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methods in poetry writing.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teachers and pupils, in order to understand to what extent response-based literature theory is being applied to the contemporary public education and how the poetry wring is recognised among those related in the sector. After the analytical study of the contemporary public education as a following step, there is suggested the primary purpose of programme and then established the supplementary goals. When it comes to the details of the plans, along with the positive approach and understanding of the poetry teaching, model class was set up to be applied focusing on the response-based composition induction and practiced for 8 weeks in 29 series. To see the effects of the response-based poetry-writing program, the group was given the test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n I analysed the results with the Pre-past paired t-test (t-verification) according to SPSS 12.0/WIN statistical program. In the preliminary and afterward estim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response-based poetry-writing program, the results showed quite meaningful dif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is program improved in image, poetic diction and rhythm section after the treatment. It means that the program was primarily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poetry writing. On the whole, the research suggest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for poetry writing and in practice lead to the actual improvement of the ability of pupils and, also, built the milestone for the further study. However, there still remains the limit of the range to which the program was applied, as it took its target of only one class of the 6th grade for the short term. In addition, the children's poems, which can be a major variable, were exclusively extracted from the textbook. Accordingly, I have to admit the circumscribed possibility for the synthetic generalization. Therefore, it also calls upon f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target group and other poems as a variation in the following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