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7 Download: 0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과 대처유형

Title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과 대처유형
Other Titles
The Burnout and Coping type of ICU Nurses and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Ward
Authors
오미숙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校 臨床保健科學大學院
Degree
Maste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investigate the burnout and coping type of ICU nurses and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ward. These subjects were 110 ICU nurses and 130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ward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in located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9 to November 16, 2004.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Burnout scale developed by Pines(1981) and translated by Pick(1983), and a Coping type scale developed by Folkman & Lazarus(1983) and revised by Han and Oh(1990). The reliability of instruments were Cronbach's α=.87 for burnout and Cronbach's α=.74 for coping type. Data were analysed by SPSS 10.0 version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average scores of the coping types of ICU nurses and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were 2.66 and 2.62,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n affirmative point of view between ICU nurses and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ward. The average score of an affirmative point of view in the ICU nurses was 2.92 and that in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 was 2.81. 2. For ICU nur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urnout level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religion, duration of working, and a posi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urnout level were showed i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duration of working, and a position for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ward. 3.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coping type of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both two groups. 4. For ICU nurses, the coping type that focused the problem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levels of physical burnout, emotional burnout, mental burnout, and the total score of burnout, a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 unconcern and the total score of burnout.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in the search for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burnout, and an affirmative point of view and mental burnout. 5. For correlations of burnout and the coping type in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ward, the coping type that focused the problem and an affirmative point of view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levels of physical burnout, emotional burnout, mental burnout, and the total score of burnout. And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 solution and physical burnout. Also total score of burnout shows the negative relationships of mental burnout and total score of burnou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eded the program development using the coping type in accordance with personal inclination to relief burnout of nurses.;최근 의료소비자들의 권리 의식이 고조됨에 따라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신체적 피로뿐만 아니라 압박감, 정신적 갈등 및 사회적 스트레스원에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소진정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대처유형을 파악하여 소진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처방안을 모색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2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중환자실과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소진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Pines(1981) 등이 개발한 소진척도를 픽은희(1983)가 번역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대처유형 측정도구는 Lazarus와 Folkman(1984)이 개발한 것을 한정석·오가실이 번역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은 평균 2.86점, 일반병동 간호사는 평균 2.93점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대처 영역에 대한 두 집단 간 비교는 전체평균이 중환자실 간호사 2.66점, 일반병동 간호사 2.62점이고, 영역별로는 중환자실 간호사는 문제중심 대처 2.94점, 긍정적 관점 2.92점, 사회적 지지탐색 2.69점, 무관심 2.45점, 희망적 관점 2.30점, 긴장해소 2.27점 순으로 나타났고 일반병동 간호사는 문제중심 대처가 2.90점, 긍정적 관점 2.81점, 사회적지지 탐색 2.70점, 무관심 2.45점, 긴장 해소 2.26점, 희망적 관점 2.23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관점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정도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우 연령(F=10.63, p=.000), 결혼상태(F=5.44, p=.000), 종교(F=2.97, p=.035), 현 근무지 경력(F=7.27, p=.000), 직위(F=15.36,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병동 간호사의 경우, 연령(F=11.02, p=.000), 결혼상태(F=5.01, p=.000), 최종학력(F=5.27, p=.002), 현 근무지 경력(F=6.54, p=.000), 직위(F=15.27,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과 대처유형의 상관관계를 보면 정서적 소진(r=-.277, p=.017), 정신적 소진(r=-.329, p=.000), 소진 총점(r=-.252, p=.008)이 높을수록 문제중심 대처 정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정신적 소진(r=.218, p=.022), 소진 총점(r=.201, p=.035)이 높을수록 무관심 대처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정서적 소진(r=-.196, p=.040)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탐색 정도는 낮아지고 정신적 소진(r=-.288, p=.002)이 높을수록 긍정적 관점 대처는 낮아졌다. 일반병동 간호사의 경우 신체적 소진(r=-.188, p=.033), 정서적 소진(r=-.209, p=.017), 정신적 소진(r=-.264, p=.002), 소진 총점(r=-.252, p=.004)이 높을수록 문제 중심 대처가 낮았고 신체적 소진(r=-.327, p=.000), 정서적 소진(r=-.332, p=.000), 정신적 소진(r=-.329, p=.000), 소진 총점(r=-.375, p=.000)이 높을수록 긍정적 관점 대처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소진(r=-.188, p=.033)정도가 높을수록 긴장해소 대처 정도는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 두 집단간 간호사의 소진 경험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두 집단에서 모두 소진을 해결하기 위한 영역으로 문제중심 영역, 긍정적 관점 영역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소진 정도를 낮추는 데는 아직도 미흡한 것으로 보여 이를 예방하기 위해 소진 원인을 분석하고 적절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소진을 완화시킬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