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변영순-
dc.contributor.author김효진-
dc.creator김효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3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5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46-
dc.description.abstract선진 간호 이론 및 기술습득을 위하여 전쟁 중인 1952. 3. 24일 미 간호 고문관의 제안과 도움으로 실시된 주특기 교육은 1980년도부터 군병원 특성 및 요구도를 반영하여 국군수도병원에서 분야별로 중환자, 수술, 마취, 정신, 재활, 인공신장 주특기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나 교육장교의 자격, 교육 과정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나 규정이 없이 각 주특기 분야에서 자체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군병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간호 장교를 대상으로 한 주특기 교육과정을 마친 간호장교를 대상으로 Stufflebeam의 CIPP평가 모형에 의거한 교육과정 평가 도구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분야별 주특기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각 분야별 만족도를 확인하여 금후의 주특기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주특기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측정도구는 Stufflebeam의 CIPP평가 모형에 근거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이다. 설문지 내용은 간호학 지도교수 1인, 국군 간호 사관학교 교관 2인, 주특기 교육 담당자 5인, 주특기 소유 간호장교 12인을 통해 내용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근거로 수정한 후 최종 설문지는 상황평가 문항 4문항, 투입평가 문항 6문항, 과정평가 문항 5문항, 산출평가 문항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3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주특기 분야별 교육과정 평가, 만족도는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주특기 분야별로 교육과정 평가, 만족도에 대하여 t-test, ANOVA 그리고 Dunnet C 로 검증하였다. 교육과정 평가와 만족도의 관계는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특기 분야별 교육과정 평가 주특기 분야별 교육과정 평가는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F=4.792, p=.001), 평균점수는 3.61점으로 주특기 분야별로 평균을 살펴보면 ‘중환자’ 3.70점 , ‘수술’ 3.48 , ‘마취’ 3.78점 , ‘정신’ 3.92점, ‘재활’ 3.38점이었다. 이를 Dunnet C방법으로 사후 검정한 결과 ‘재활 ’과 ‘정신’ , ‘마취’ , '중환자‘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특기 분야별로 교육과정평가를 상황, 투입, 과정, 산출부분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상황평가부분 평균 3.68점, 투입평가부분 평균 3.55점, 과정평가부분 평균 3.44점, 산출평가부분 평균 3.70점으로 나타났다. 2. 주특기 분야별 만족도 주특기 분야별 만족도의 평균점수는 3.62점으로 나타났다. 주특기 분야별로 평균을 살펴보면 ‘중환자’ 3.46점 , ‘수술’ 3.80점 , ‘마취’ 3.51점 , ‘정신’ 4.05점, ‘재활’ 3.13점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 주특기 분야별로 교육과정 평가는 주특기 분야별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F=4.792, p=.001), 그 밖에 현 계급, 교육받은 계급, 근무 경력, 교육을 받은 후 근무경력, 학력, 종교, 근무병원에 따른 교육과정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주특기 분야별 교육과정평가와 만족도의 관계 주특기 분야별 교육과정 평가와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신’(r=.81, p=.00), ‘중환자’(r=.61, p=.00), ‘수술’(r=.46, p=.00)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마취’와 ‘재활’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만족도에서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재활’ 분야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낮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 개선이 요구된다. 창의적인 사고와 의사 소통술은 신속하고 정확한 임상적 판단과 의사결정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므로 이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주특기 분야별 교육과정 평가 중 가장 평균점수가 낮은 과정평가 부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주특기 교육을 담당하는 교관은 교육 과정 설계시 활발한 토론과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주특기 교육 담당자에게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여 최신수업 전략을 이용한 교육과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how the military officer nurses with a special ability would assess their special area-wise curriculum and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urriculum and thereupon,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assessment of the curriculum and satisfaction with it. For this purpose, 127 army officer nurses working for the military hospitals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via mail from November 24 through December 6, 2004. In order to survey how the officer nurses would assess their special area-wise curriculum,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Stufflebeam's CIPP mode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items about conditional assessment, 6 items about input assessment, 5 items about process assessment and 10 items about output assess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for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Dunnet C,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fficer nurses' assessments of their curriculum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special areas (F=4.821, p=.001); The average scores were 3.92 for 'psychiatry', 3.78 for 'anesthesia', 3.70 for 'intensive care', 3.48 for 'surgery' and 3.38 for 'rehabilitation'. As a result of post-testing the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of 'intensive care'/'rehabilitation' or among three groups of 'psychiatry'/'surgery'/ 'rehabilitation'. 2.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officer nurses' assessment of the curriculum by dividing it into condition, input, process and output, it was found that their assessment of condition scored 3.68 on average, their assessment of input 3.55, their assessment of process 3.44 and their assessment of output scored 3.70 on average. Namely, officer nurses assessed that the process of the curriculum was poor, while its output was good. 3. Officer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special curriculum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pecial areas (F=7.483, p=.00). The average scores were 4.04 for 'psychiatry', 3.80 for 'surgery', 3.51 for 'anesthesia', 3.46 for 'intensive care', and 3.13 for 'rehabilitation'. As a result of post-testing them with Dunnet C,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mong the groups of 'psychiatry'/'intensive care'/'rehabilitation' or between the groups of 'rehabilitation/'surgery'. 4. However, there wer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officer nurses' assessment depending on such demographic variables of theirs as current rank, the rank at which they had been educated, total career length, the career length after education, academic background, religion. Their assessment onl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special area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F=4.821, p=.001). 5. The correlations between officer nurses' assessmen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ch areas as 'psychiatry' (r=.81, p=.00), 'intensive care' (r=.61, p=.00) and 'surgery' (r=.46, p=.00), but not significant in the areas of 'anesthesia' and 'rehabilitation'. Summing up, officer nurses in charge of 'psychiatry' assessed their curriculum most positively (3.92 on average), while those in charge of 'rehabilitation' assessed it least positively (3.38 on aver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assessment of curriculum details or condition, input, process and output, officer nurses' assessment of process was lowest or 3.44 on average, while their assessment of output was highest or 3.69 on average. On the other hand, officer nurses specialized in 'psychiatry'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special curriculum (4.04), while those specialized in 'rehabilitation' were least satisfied with their curriculum (3.13). The correlations between assessment and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ch areas as 'psychiatry', 'intensive care' and 'surge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목적 2 C. 용어 정의 3 Ⅱ. 문헌고찰 4 A. 교육평가 4 B. 평가 모형 6 1. Tyler의 목표성취 모형 7 2. Scriven의 판단모형 9 3. Stufflebeam의 CIPP평가모형 11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 설계 15 B. 연구 참여자 선정 15 C. 연구도구 15 D. 자료수집방법 16 E. 자료 분석방법 1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8 A. 일반적 특성 18 B. 주특기 분야별 교육과정 평가 20 C. 주특기 분야별 만족도 조사 27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 30 D. 주특기 분야별 교육과정평가와 만족도 관계 32 E. 연구의 제한점 33 Ⅴ. 결론 및 제언 34 A. 결론 34 B. 제언 39 참고문헌 41 부록 44 부록 1 교육과정 평가 설문지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38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臨床保健科學大學院-
dc.title간호장교 주특기 교육과정의 평가와 만족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ilitary Officer Nurses' Self-Assessment of heir Special Area-wise Curriculum and Their Satisfaction-
dc.creator.othernameKim , Hyo Jin-
dc.format.pageⅸ,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