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6 Download: 0

학교교실 조명 현황에 관한 조사 연구

Title
학교교실 조명 현황에 관한 조사 연구
Authors
류수경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Keywords
학교교실조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서울의 한고등학교의 교실 환경에 대한 실태를 일반 교실에서 조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교실 조명 환경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교실 조명 환경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교실의 위치에 따른 책상 면의 조도 9점과 흑판면의 조도 4점을 택하여 측정하고 측정 자료를 통해 ① 시간에 따른 조도 분포 ② 맑은 날 커튼을 걷을 때와 내릴 때의 조도 분포 ③ 흐리거나 비오는 날 형광등의 소등과 점등에 따른 조도 분포 ④ 층별에 따른 조도 분포 ⑤ 계절에 따른 조도 분포를 표와 그래프를 그려 분석하고 ⑥ 설문지를 통해 조명 환경에 관련된 학생들의 심리를 살펴 보았다 측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주광의 교실에서 시간·계절·날씨에 따른 창측과 복도 측 조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시야내의 휘도 대비가 심하다. ② 창으로부터 과다한 햇빛이 책상 면에 입사되는 경우, 조도가 상당히 높아 학생들에게 극심한 눈의 피로를 가져온다. ③ 입지 조건상 교실 모두가 서향인 K고등학교는 오전 9시경에는 심한 조도 과소, 오후 16시경에는 심한 조도 과잉 현상이 나타난다. ④ 커튼은 차광제로 어느 정도 차광역활을 하고 있다. 측정 대상이 되었던 K고등학교는 교실 조명 설비가 어느 정도 개선이 된 학교이다. 이러한 교실의 조명 설비 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오전에 특히 흐리거나 비오는 날 조도 과소를 보이는 1층 교실은 등의 수를 대폭 늘리고, 오후에 조도 과잉을 보이는 교실에서는 커튼 이외에도 젖빛 유리 사용, 유리창의 썬팅부착을 함으로써 조도 분포의 균형을 가져오게 해야 한다. 주기적으로 등을 청소하고 보수해서 형광등의 밝기를 유지시키고, 학급당 학생수를 줄임으로써 책상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채광 설비를 사용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some plans for improvement for the lighting equipment of general classroom of high school, based on the data of the measurement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in 'K' high school, which is located in western seoul. The method of study, measures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on the surface of the desk and on the blackboard in the classroom, the desk was given 9 points and the blackboard was given 4 points. The Distributions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were analyzed with tables and graphs being drawn according to, (1) The distributions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according to time, (2) The distributions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When the curtain is opened or closed on a clear day, (3) The distributions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lighting when the fluorescent lights were on or off on a cloudy or rainy day, (4) The distributions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according to location (lst, 2nd, 3rd, and 4th floor) (5) The distributions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according to season (spring, summer, and fall) (6) Through questionnaires, the students' mental attitudes were also reviewed.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classroom in broad daylight, disparity of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measured between the side windows and the side corridor according to time, season and weather. (2) Since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on the surface of the desk beside the windows is too high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blackboard, the eye of the students who sat by the window got easily tired. (3) The classrooms of 'K' high scliool located in the western portion had scanty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at 9:00 clock A.M, however at 16:00 clock P.M,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in the same classroom had increased dramatically. (4) The curtain which was to be used as 'a shutter' peforms a role of preventing light from entering the room. The high school in the study improved classroom lighting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aspect and in the lighting equipments aspect. Conclusively, through the research, it is proven that such points at issue in the lighting facilities of the classroom will be resolved with the number of fluorescent light being drastically increased, with the double window being used, and with all lighting equipment being cleaned and changed often. Since there are so many students (about 55) in each classroom, the desks are not changed very often. So, the students by the window received more light, and the students by the hallway receive less light. Periodically changing (moving) the desks would reduce the affect of poor lighting on students because all students would experience a good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