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車英順.-
dc.creator車英順.-
dc.date.accessioned2016-08-25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3:08:05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4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4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442-
dc.description.abstract美術鑑賞指導의 改善 方案을 연구함에 있어서 서론에서는 금세기 후반에 들어서 미술교육의 연구가 지금까지 맹목적으로 믿어온 여러가지 중요한 原理들을 修整해 가며 변화, 발전하게 되었음을 서술하였다. 이것은 곧 美術敎育을 통해 지도되는 表現과 鑑賞指導에 있어서, 鑑賞敎育의 體系化 및 科學化로의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 많은 學者들이 藝術敎育을 美的 感賞의 敎育의 방향으로 이해하면서 감상지도의 測面을 중요시하고 학생들의 미술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를 높여주므로써 미술감상을 통한 정서교육을 고취시키고 美意識을 성취시킬 수 있는 실제 지도방법의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理論的으로 감상교육이 갖는 美術的 意義가 큰것으로서 결과적으로 그것이 바람직한 인격형성에 기초가 되는 것으로 중요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런 관점에서 미술감상교육의 기본 개념을 정리하고, 그 지도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探索的인 연구를 통하여 美術鑑賞指導의 改善 方案을 提示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 Ⅰ장에서는 中·高等學校를 중심으로한 學校'美術'에 있어서 造形的 感賞을 예민하게 하고 미술의 知的 관련을 이해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창의적인 美術鑑賞을 探索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또한 미술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人格形成을 연구의 필요성으로 다루었으며,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1) 미술감상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고, 2) 미술감상의 개념 규정과 3) 미술감상교육의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4) 미술감상지도의 과정을 고안하며, 5) 미술감상수업의 유형제시와 6) 미술감상의 평가방안 등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Stanly S.Madeja를 비롯한 미술교육가들의 선행연구와 韓國敎育開發院이 연구한 '美術鑑賞指導課程模型' 등을 토대로 감상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았고 미술감상교육의 특성인 情緖的 反應과 知的 反應의 두가지 성격을 연구하였다. 또한 본장에서는 이제까지의 감상개념을 재정의 하였으며 미국과 우리 나라의 감상교육의 변천을 통해 미술감상교육의 조직적이며 체계적인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감상지도의 방법에 있어서 미술감상수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할 여러 미술교육가들이 제시한 目標들과, 학생들에게 어떤 활동을 제시하여야 하는지의 내용면에 입각한, 감상내용에 대한 여러 미술교유가들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목적과 내용으로 감상수업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감상학습의 원리와 교사의 역할 및 감상학습의 조건이 되는 시간적, 공간적, 심리적, 물질적 조건을 다루었다. 또한 교육학 이론에서 도입한 학생 중심의 탐구수업을 위주로 전개되는 발견학습으로서의 감상수업을 정리하였고, 미술감상의 과정이 되는 감수→반응→가치화→조직화의 단계를 설명하였으며, 미술감상지도 과정의 모형을 토대로 감상수업의 유형을 토론법, 작품관찰법, 모의미술관법, 제작법, 문필법 등으로 설계한 후 평가방법을 통해 감상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설정하였다. 결론에서는 美術鑑賞指導가 교사 중심의 주입식 교육보다는 학생 중심의 創意的이고 能動的인 探究的 授業形態가 미술감상수업의 기본적인 개선점이 됨을 확인하였다. 서양의 미술감상교육과 우리 나라의 경우를 비교해 볼 때 시청각자료 등의 부족으로 인해 우리 나라의 감상 수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명화나 원화를 거의 접할 수 없고, 질이 나쁜 미술작품의 인쇄물들의 이용으로인해 미술감상이 옳바로 이루어지지 않는 제약성을 벗어나기위해 발전하는 현대 과학문명의 산물인 시청각 기재들을 수용하는 일과 이들의 이용 및 미술박물관이나 역사박물관 등의 직접적인 현장 견학 등을 통하여 명화 및 원화들과 접하는 산교육이 된다면 좀더 역동적인 감상활동을 이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改善 方案을 토대로 미술감상지도계획을 수립한다면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미술교육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지닌 문화적 국민의 자질을 함양하리라 본다.;For the research of improving the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I stated in the preface that in the late of this century, a study of arts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with revising various important principles on which had been relied blindly until then. This shows that art education became systematized and scientified on its guidance for expression and direction on art appreciation. Recently many scholars understand art education as an education of artistic sense, emphasize on the direction for appreciation of arts, and take efforts to research the practical teaching methods which encourage th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and participate in art lesson. This means theoretically that aesthetic and artistic significance involved in education of art apreciation are very important and actually they make basis for an advisable formation of personality. In this point of view, I would like to reorganize the basic concept of art education for appreciation and present the improved measure for leading the art appreciation through the investigating research. For this object, the Chapter I is purposed to study the systematic and creative art appreciation which enabl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to sharpen their formative sensitivies. This research also purposes to discuss the formation with this obje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concept, and the changes in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devises the curriculum for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suggests the models of lecture for art appreciation; and indicates the pro-blems in measure of appraisal of art appreciation. In Chapter Ⅱ, Ⅰ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precedent studies of art educators including Stanley S. Madeja and the Model on Process of the Learning of Art Appreciation made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 also discussed the two characters of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emotional response and intellectual response. In addition, I reorganized the concepts of art appreciation made until now; and explained the process of organized and systematic changes through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educations of art appreciation in West and in Korea. Regarding the methodology of teaching art appreciation, Chapter Ⅲ presented some art educators' objects which would be utilized for designing the art appreciation class. I also presented in this chapter, some art educators' theories what should be taught to students regarding the contents of art appreciation. I discussed the principles of art appreciation class, the roles of teachers and conditions of time, space, psychology and material which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lecture of art appreciation with these objects and contents. In addition, I reorganized the art appreciation class as an inventive class of students-centered which is induced from the theory of education. Regarding the process of art appreciation, I explained the acceptance-response-valuation-systematization and classified the type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as discussion, observation, imitated art museum, production, writing and, also designed the meausres of appraisal. In conclusion I confirmed that the basic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is creative, active and inquistive teaching method withstrudents-centered class rather than cramming education of teacher-centered class. I learned that the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in Korea could not be achieved effectively due to the lack of audio-vidual equipment comparing with that of the Western countries. In order to get out the restrictions such as the fact we cannot touch the famous or original paintings and the bad quality of art printing, I suggested that more energetic appreciation activities be made through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audio-vidual equipment and other scientific facilities and personal visit to the art and history museum. I think that students can have better cultural talent and view point of art education by inducing their interests and active participating if we design the improved curriculum. based on the forego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必要性 = 1 B. 硏究의 目的 = 3 C. 硏究問題 = 3 D. 硏究方法 = 4 Ⅱ. 鑑賞敎育의 槪觀 = 5 A. 鑑賞敎育의 重要性 = 5 B. 鑑賞敎育의의 性格 = 8 C. 美術鑑賞의 槪念 = 12 D. 鑑賞敎育의 變遷 = 16 Ⅲ. 鑑賞指導의 方法 = 31 A. 鑑賞指導의 目的과 內容 = 31 B. 鑑賞授業의 過程 = 38 C. 鑑賞授業의 類型 = 60 D. 鑑賞能力의 評價 = 78 Ⅳ. 結論 및 提言 = 94 參考文獻 = 97 英文抄錄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821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미술감상-
dc.subject지도-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美術鑑賞 指導의 改善 方案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中·高等學校 美術敎育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the improvement methodology for the learning of art appreciation-
dc.format.pagevii, 103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