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그림에 나타난 어린이의 공간 知覺力에 관한 연구

Title
그림에 나타난 어린이의 공간 知覺力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space perceptibilit being expressed in the children's picture : Mainly from 6 to 8 years old
Authors
최수연.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어린이그림공간표현공간지각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Picture by children must be considered not only article dimension but also educational points that related to process of growing. So, to the picture pointing process of development appeared in accordance with age like the physical growing intellec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Substantially, six to eight years old childrens who are the object of this study express themselves to the schematically that are located between the Descriptive Symbolism and the Descriptive Realism. The space of children's picture at this stage of life is the field related to the conception formated from the matter organically. This means poverty between the sky and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here, up to this age, fragmentary descripted matters related each other. For the purpose of selection of the space expression, gathered and analysed the six to eight years old children's pictures which was given to 441 childrens from three primary schools in Seoul area without preferable age with same subject "Our Classroom". Specially analysed the degree of the understanding of space phenomenon, subject of expression and technics of expressions. 1. For the sake of the understanding the space phenomenon that expressed on picture, classify the picture in totally and partially, in stopping and movement, in general and special class-room. 2. For the understanding the expression of subject, classify the picture with each subject in harmony of figure and object, figure, front of class-room, expression of the whole class-room, desk, chair and others far from the given subject. 3. Analysis of technics of expression, refered to The Element of Expression in Picture Making in The Meaning of Aesthetic Criteria written by Victor Lowenfield for divided 4 parts of Shape, Colour, Composition and Technics. After this refered again to the power of observation, knowledge, comprehensive faculty and ability of expression in the Object and Field of Picture Evaluation by Je Eun, Kim. Synthesis the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e above appeared in the process of study; 1. Substantially six to eight years old children understood the given subject which was space expression "Our Classroom" exactly. 2. They expressed what they know about space in the picture and the most childrens expressed subject were the figure, harmony of object and whole class-room. 3. The most of used technics of expression is the schematical expression but to the age of 8, there were some difference then before, as it is, under the age of 8, their subjective matter was colour and over the age of 8, their expression was objective to the matter and the most of expression of space was schemetical mixed plan with side place. The understanding of the space phenomina and selection of subject are attained without difference of age or school. But the expression was some wha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This approached to the Herbert Read's classification among the classification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picture. For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re were many difficult restrictions, for the lack of sufficient theory and preeperiences. And felt that there must be more studies in this area and expect that this small case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children's art education.;어린이 그림은 어른의 그림과는 달라서 예술적 차원에서 보다는 성장과정과 관련지어진 교육학적 측면에서 하나의 지각형태로 받아들여져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육체적인 성장이나 지적·정서적 발달과 같이 그림 그리기 역시 연령에 따라 발달과정이 나타난다. 본 연구의 대상인 「6∼8세 어린이는 발달과정에 의하면, 서술적 상징주의와 서술적 사실주의에 걸쳐있는 시기로 도식적인 표현을 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어린이 그림에 있어서의 공간이란 하늘과 땅사이의 빈 곳을 의미하는 단순한 과정에서 (사물에 대하여 형성된 개념을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이제까지 단편적으로 묘사되던 물체들이 서로 관련을 맺게 된다.」 본 연구는 그림에 나타나는 어린이 공간지각력을 살펴보므로써 실질적으로 일선 교사들의 어린이 그림에 대한 이해내지를 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며, 궁극적으로는 어린이가 그림을 통하여 공간을 지각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연구방법은 6∼8세 어린이의 그림을 모아 분석하였는데, 표본은 서울시내 3개 초등학교 어린이 4백41명에게 연령에 관계없이 동일한 주제 '우리 교실'을 주어 표집하였다. 분석은 주제가 한정하고 있는 공간을 어떻게 지각하고, 무엇을 소재로 하여 표현하였는지를 중점적으로 하였다. 1. 공간을 어떻게 지각하였나를 살펴보기 위하여 그림을 전체적 교실의 표현, 교실의 부분적인 표현으로 대별하고, 그것을 다시 정지된 것, 움직임이 있는 것, 일반적인 교실의 부분, 특별한 부분이나 상태로 세분, 분석하였다. 2. 그림의 소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물과 기물의 표현, 인물중심의 표현, 교실 정면의 표현, 교실의 전체적 표현, 책상·의자의 표현, 기타 주제 밖의 소재 등으로 나누었다. 3. 표현기법의 분석은 V.Lowenfield의 '미술 평가 기준의 의미' 중에서 '그림을 구성하는 요소'를 참조하여 형, 색, 구성, 기교의 4부분으로 나누어 분류한 후, 金在恩의 '그림 평가의 대상과 분야'중에서 관찰력, 지식 이해력, 표현의 능력만을 참조하여 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1. 6∼8세 어린이 그림의 주제로 준 우리 교실이라는 공간 현상을 대체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2. 지각된 공간을 그림으로 표현하는데 가장 많이 소재가 된 것은 인물과 기물의 조화, 교실의 전체적인 표현이었다. 3. 표현의 기법은 형의 표현의 경우 도식적인 표현이 주류를 이루지만 8세에 이르러서는 도식에서 탈피하기 시작하였으며, 색의 표현에 있어서도 역시 8세에 이르러서는 주관적 표현에서 물체와의 객관적인 관계를 이루었다. 그림의 전체적인 표현은 평면 측면 혼합의 도식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즉 주제가 준 공간 현상의 지각력이나, 그것을 표현하는 소재의 선정은 연령이나 학교의 차이 없이 잘 이루어지지만, 그것을 표혀하는데 있어서는 연령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생긴다.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실험연구들이 시대적으로 퍽 오래 전에 이루어진 것들이어서 요즈음 어린이들의 성장속도에 맞지 않았던 점과 자료의 표집에 있어서 주제를 주어 일정한 공간으로 한정시키므로해서 자유로운 표현을 제한한 결과가 된 점, 그림의 분류에 있어 신뢰롭고, 객관적으로 하려고 노력은 하였으나, 부분적으로 주관적이 되지 않았나 하는 우려 등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