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貞姬.-
dc.creator朴貞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6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3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8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x the status of children's playthings by social classes, thus contributing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children's playthings for the education institution or the parental education. Criteria to be analyz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ifference in kinds and quantities of playthings by social classes. 2. Difference in selection and method and attitude to procure playthings by social classes. 3. Difference in parental care and participation for children's play by social classes. 4. Difference in environments of children's plays by social classes. Bibliographic studies and questionair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questionairs were sent to 600 mothers classified each 200 mothers in 3 different classes, upper, middle and lower class by social classification standard.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es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playthings 74% of upper class families, 27.5% of middle class families and 14% of lower families possess over 40 playthings of 96 listed in questionaire. Upper class families do not feel lack of playthings, while 52% of middle class and 68% lower, class feel lack of playthings. All over three classes are found to possess playthings necessary for actual living more than any other kinds, but lower class families are especially lack of sensual playthings and variable books. 2. Method and attitude to procure plaything Playthings are selected by parents in upper and middle class families but by children in lower class families, and playthings are procured when children ask for in all classes. 21.1% of upper class, 19.7% of middle class and 17.1% of lower class families procure playthings according to predetermined schedule. High percentage of all class families purchase playthings when children ask for and parents feel necessary, but in case of not purchasing them it appears to be due to parental discretion for their children's development in upper class families, but due to high price in middle and lower class families. In selecting plaything, upper class families care much of intellectual development considering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stages while middle and lower class care much of emotional development by purchasing those children like. 50% of children selects playthings by their sex and 25% do not. Most parents in upper and middle class families are generous ous to children's playthings and let children play themselves with them, while 45% of lower class families give restriction to children with playthings and most parents in lower class give full explanation on playthings to their children. 3. Parental care and participation for play Parents in all classes plays with their children when children want (66.5%, 64.5%, 43%), and higher percentage of parents in lower class families tend to let children go out of home by themselves when they want outside play. High percentage of middle class families usually make playthings at home or supply used things. Upper class families share highest. percentage in supplying books and music for children, and parents in all classes let their have children opportunities to contact with nature and to make friends. 4. Environment of play Partners of play of upper and middle class children are brothers and parent of these classes think natual things as water, sand and earth most important. Partners of play of lower class are neiqhborhood friend and they play in a road. Parents in this class think purchased playthings most necessary. Accordings to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As the children in lower class families have less kinds and quantities of plaything, and get less parental care for both play and plaything, it seems hard to expect regular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stage. To improve this situation, parents in this class should be so encouraged that they could understand children's play with positive attitude and more care and participation for play and by observing children's play, could catch what childrens need, and let children satisfied with themselves to be grown to perfect maturity, and also try to provide enough time and place to play freely, safely for more experience. Specially, society on the whole should try to find out proper measure to improve the lack of parental thinking about play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lower class.;幼兒期에 빼 놓을 수 없는 重要한 生活은 놀이生活이며, 이 때 幼兒가 만지고 操作하는 놀이감은 幼兒의 놀이를 풍부하게 하고 어떤 놀이감을 갖고 노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經驗을 하게 되며 發達과 成長에 영향을 주므로 사회계층에 따른 幼兒 놀이감을 조사 分析하여 幼兒를 지도하는 단체나 父母敎育의 資料로 삼고자 함이 目的이다. 본 硏究에서 밝히고자 하는 問題는 다음과 같다. 1. 社會階層에 따라 놀이감의 種類와 量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社會階層에 따라 놀이감 選擇基準과 提供方法 및 態度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社會階層에 따라 놀이에 대한 父母의 關心과 참여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4. 社會階層에 따라 幼兒 놀이 環境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를 밝히기 위해 文獻硏究와 質問紙法을 通하여 사회계층 分類基準에 의한 上·中·下集團에 속하는 각각 200명의 서울 市內 어머니를 對象으로 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幼兒가 가진 놀이감 現況 40개 이상 所有한 家庭이 사회계층의 上集團은 74%이고 中은 27.5%이며 下集團은 14%로서 반응하였고, 上集團은 놀이감 量의 부족을 느끼고 있지 않은 것에 비해 中集團은 52%가 부족을 느끼고 下集團은 68%가 부족을 느끼고 있다. 놀이감 種類別 비교는 上·中·下集團 모두 生活玩具를 가장 많이 갖고 있으나 下集團은 특히 感覺玩具와 책의 數가 부족하다. 2. 놀이감을 提供하는 態度와 方法 上·中集團은 놀이감을 父母가 提供하나 下集團은 自身이 선택하며 놀이감을 提供하는 기회는 上集團은 특별한 날에(31.5%) 中·下集團은 어린이가 조를 때(中 33.1%, 下 33.6%) 가장 많이 購入하나 평소 계획대로 購入하는 경우는 上(21.1%) 中(19.7%) 下(17.1%) 順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원하는 놀이감은 필요하면 사주는 경우가 세 집단 모두 높았으나 上集團은 子女의 發達 段階에 맞지 않아서 구입해 주지 않고 中·下集團은 子女의 發達 段階에 맞지 않아서 구입해 주지 않고 中·下集團은 값이 비싸서 購入해 주지 못하고 있다. 놀이감 선택기준을 보면, 上集團은 子女의 成長과 發達 段階를 고려하며 知的 發達을 重要視하고 있으나, 中·下集團은 子女가 좋아하는 것을 구입해 주고 情緖的 發達에 중점을 두고 있다. 性에 따른 區分은 세 집단 모두 幼兒 自身이(50%)區分하고 區分하지 않는 것은 25%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上·中集團의 父母는 놀이감 活用에 대해 관용적인 態度를 보이고 혼자 놀이감을 活用해 보게 하는데 비해 下集團은 45%정도가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새로 購入한 玩具에 대해서는 세 集團 모두 시범을 보이거나 使用方法을 說明해 주는 것이 혼자 해 보게 내버려 두는 경우보다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3. 어머니의 참여와 關心度 幼兒가 같이 놀기 원할 때 놀아주는 반응은 上·中·下集團(上 66.5%, 中 64.5%, 下43%) 順으로 나타났고 바깥 놀이를 할 때 幼兒를 혼자 내보내는 경향은 下集團이 가장 높았으며 놀이감을 만들거나 폐품을 提供하는 정도는 中集團이 높았다. 책과 幼兒를 위한 音樂을 提供하는 것은 上集團의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 세 集團 모두 自然과 접촉할 機會가 많았고 또래 兒童과 사귈 機會는 上·中·下集團 順으로 나타났다.(上97%, 中90.5%, 下84%) 4. 놀이 環境 놀이 對象者는 上·中集團은 형제이고 自然的(물·모래·흙)이 幼兒에게 가장 重要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下集團은 길거리에서 친구와 가장 많이 놀고 있고, 購買하는 놀이감이 幼兒에게 가장 必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下集團은 다른 集團에 비해 놀이감의 量과 다양한 種類가 부족하고 부모의 關心과 참여도 뿐 아니라 놀이 價値에 대한 認識도 낮아 幼兒 成長과 發達이 조화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부모들은 幼兒의 놀이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그들의 놀이를 理解해 주어야 하겠으며, 幼兒 놀이活動을 관찰함으로써 慾求를 알아내어 不安을 해소시켜 주어 원만한 人間으로 成長하게 하고 多樣한 經驗을 하도록 놀이를 유도하고 자극하며, 충분한 놀이감과 安全하고 유익한 놀이 장소, 자유롭게 놀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提供해 주어야 하겠다. 특히 下集團 가정에서의 物質 環境의 不足과 父母의 認識 不足은 地域社會에서도 關心을 갖고 제도적으로 그 부족함을 解決할 수 있는 方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緖論 = 1 A. 硏究의 趣旨 및 目的 = 1 B. 硏究問題 = 2 C. 用語의 定義 = 3 Ⅱ. 理論的 背景 = 5 A. 놀이의 槪念 및 價値 = 5 B. 놀이와 놀이감 = 10 C. 社會階層과 敎育 = 16 Ⅲ. 硏究의 方法 = 21 A. 硏究方法과 對象 = 21 B. 硏究의 制限点 = 23 Ⅳ. 結果 및 論議 = 24 A. 幼兒가 가진 놀이감 現況 = 24 B. 幼兒에게 놀이감을 提供하는 方法과 態度 = 33 C. 놀이감 活用에 對한 態度 = 42 D.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참여와 關心度 = 44 E. 놀이 環境 = 53 Ⅴ. 結論 = 59 參考文獻 = 63 附錄 = 66 英文抄錄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44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dc.title社會階層에 따른 幼兒놀이감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학령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