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령.-
dc.creator박미령.-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3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31-
dc.description.abstract남한에 分布하는 화강암류의 약600개 화학분석자료를 암석화학적 암석성 인론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120개의 쥬라기 대보화강암류와 340개의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류의 norm값에 의하면 모두 화강섬록암과 화강암에 해당된다. 대부분 calc-alkaline 화강암류에 속하는 남한의 화강암류는 한반도의 남동에서 북서로 감에 따라 calc-alkalic에서 alkali-calcic으로 점이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Calc-alkaline 화강암류를 구별하기 위한 ACF도와 다른 화학변수들(1,2,25)에 의하면 대보화강암류와 불국사화강암류는 모두 대체로 I-type에 속함이 밝혀졌다. Sr동위원소와 S동위원소가 이 결론을 지지해 주고 있다. 낮은 ^(87)Sr/^(86)Sr 초생비를 나타내는 불국사화강암류는 맨틀기원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대보화강암류의 높은 ^(87)Sr/^(86)Sr 초생비는 대륙지각의 부분용융의 산물이거나, 또는 조산운동동안 지각물질의 혼화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어 진다.;About 600 chemical analysis data of granitoids in South Korea are examined in the light of petrochemical and petrogenetical aspects. All Jurassic Daebo and Cretaceous Bulgugsa granitoids are plotted in granodiorite-granite field by normative compositions of 120 Daebo and 340 Bulgugsa granitoids. The granitoids belong mostly to calc-alkaline granitoids, showing compositional changes from calc-alkalic to alkali-calcic toward northwest of the Peninaula. Daebo and Bulgugsa granitoids are largely composed of the I-type in terms of the several new schemes for distingusing the calc-alkalic granitoids (White and Chappell, 1974, 1977). This conclusion is strongly supported by strontium and sulfur istope data. Bulgugsa granitoids characterized by low initial ^(87)Sr/^(86)Sr ratios possibly indicate the mantle source of magma. However, high initial ^(87)Sr/^(86)Sr ratios of Daebo granitoids are the products of partial melting of continental crusts or contamination of crustal materials during Daebo orogen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남한의 화강암류의 분포와 산출상태 = 3 Ⅲ. 화강암류의 암석화학적 고찰 = 7 A. CIPW norm에 의한 암석형 분류 = 7 B. Lime/alkali index에 의한 암석형분류 = 11 C. Alkali-lime index에 의한 암석형분류 = 13 D. 화강암류의 I-S형 분류 = 13 Ⅳ. 화강암류의 동위원소성분(I^(87) Sr/^(86) Sr) = 27 Ⅴ. 논의 = 35 Ⅵ. 결론 = 38 참고문헌 = 40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95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원소성분-
dc.subject암석화학특성-
dc.subject화강암류 원소성분-
dc.title남한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암석화학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etrochemical review of the granitoids in south korea-
dc.format.pagevi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지구과학교육분야-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