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情緖 不適應兒判別에 關한 一硏究

Title
情緖 不適應兒判別에 關한 一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Authors
金仁子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Prevalence of the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in the regular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is study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early identification of the emotional disorder in the school-Children and the importance of early identification which would make grounds for the educational plan and guidance. These two emphasized points were based on the thoughts by Bower. 1. Emotional disturbance is the result of a progressively developing condition visible and susceptible to evalution early in a person's life. 2. The child who is identified early in life emotionally disturbed can be helped with less trouble to himself and the community than would be the case at a later period in his lif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6 classes of the 6th glade -3 classes in city and agricurtural district respectively- were selected as a sample which was consisted of 356 children and 6 teachers. And they were offered "Behavior rating of pupils" "A class play" "Thinking about youilself" in "Bower-Lambart scales" Analyzing the data from this survey, this study showed the results as follows. 1. About 11.5%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were identified emotionally disturbed, which exceeded 10% in Bower study on American children. 2. Between city and agricultural a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the emotional disturbed children on the 5% level. But the data, showed the tendencies of having more children of emotionally disturbed in agricultural area than city area. 3. Between boys and gir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emotional disturbed children, on the 5% level. 4. Teacher's rating and children's rating of each other were very highly correlated. This study showed that .66, .69, .65, .79, .77, .69 in A, B, C, D, F, classes, respectively.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ating and children's rating was more highly correlated in the agricultural district than in city. The correlation of the later was .80 and that of the former was .96. Through the test of significance in correlation, they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5% level. 5. Self rating and self-perception(teacher and peers perceive him) of each other were inconsistently correlated. This study showed that .31, -.11, .55-.23, .38, .55 in A, B, C, D, E, F, classes, respectively with no sighificant difference on 5% level.;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학교 일반학급내에 존재하는 정서 부적응아의 분포비율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학교에서 정서 부적응아를 조기 판별할 수 있으며, 조기 판별이 정서 부적응아를 위한 교육적 계획, 지도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것임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조기판별의 가능성과 중요성은 Bower에 의해서 밝혀졌는데, 1. 情緖不適應이란 어린시절에 나타나는, 判別할 수 있도록 눈에 보이고 느낄 수 있는, 점차적으로 발달하는 상황의 결과이므로 학교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매일 매일의 행동안에선 效果的으로 알아 낼 수 있다. 2. 조기에 정서장애로 判別된 아동은 뒤늦게 判別된 아동보다 그 자신과 사회생활에서 덜 고통을 느끼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서울과 농촌지역에서 3개 학급씩, 6개 학급의 6명의 교사와 356명의 아동에게 "Bower-Lambart Scales"인 "교사평정", "동급생 평정", "자기 평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결과 국민학교 일반학급내에는 약 11.5%의 정서 부적응아가 존재하고 있으며, Bower의 연구결과인 lo%보다 높은 비율임이 밝혀졌다. 2. 지역別 정서 부적응아 분포사이에는 5%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각 학급의 분포비율을 자세히 보면, 농촌지역의 분포비율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인다. 3. 남자와 여자사이의 분포비율을 비교해 보면, 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교사평정과 동급생평정과의 상관도는 A반이 .66, B반이 .69, C반이 .65, D반이 .79, E반이 .77, F반이 .69로 아주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대도시 지역과 농촌지역의 교사 평정과 동급생 평정과의 상관도는 각각 대도시가 .80, 농촌지역이 .96으로 상관계수의 차의 검증 결과 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농촌지역의 교사 평정과 동급생 평정과의 상관이 대도시의 교사평정과 동급생 평정과의 상관보다 높다. 5. 자기평정과 교사나 동급생에게 투영된 자기에 대한 인식과의 상관도는 A반이 .31, B반이 -.11, C반이 .55, D반이 -.23, E반이 .38, F반이 .55로 불규칙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이것역시 대도시가 .24, 농촌지역이 .30으로 상관계수의 차의 검증결과 5% 수준에서 유의있는 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