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On Jespersen's nexus

Title
On Jespersen's nexus
Authors
고영희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Jespersennexusinfinitival nexus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Ewha Women University
Degree
Master
Abstract
Chomsky는 傳統文法에서 追求하고있는 言語技術의 目表가 變形文法의 目標와 여러가지 面에서 一致한다고 指適하고 있다. 傳統文法은 言語의 使用者에게 自己 言語의 文章을 理解하고 그 文章을 適切하게 使用할 수 있는 能力을 附與하는 것을 그 目表로 하고있다. 그러나 傳統文法은 이와같은 目標를 達成하기 爲하여 具體的인 文法規則 보다 많은 例文과 文法的 現象에 對한 暗示를 提示하고 있을 따름이다 . 傳統文法에서 特히 文章構造에 對한 硏究는 特定한 例文을 羅烈하고 있는 文法現象에 對한 分類段階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主張할 수 있으나, 傳統文法에서 追求되었던 文章構造의 分析方法이 基本的으로 옳다는 것은 明確한 事實이다. 本 論文의 目標는 Jespersen의 文法槪念에서 重要한 位置를 차지하고 있는 Nexus를 說明하는데 있다. Nexus란 主語와 述語의 文法的 關係를 內包하고 있는 文法的 構造를 가리키고 있다. 例를 들어 I found the cage empty라는 文章에서 the cage와 empty의 文法的 關係는 the cage was empty와 같은 Nexus關係 卽 主語와 述語의 關係를 갖고있다. 따라서 Jespersen은 이 文章을 SVO(S₂P)와 같이 分析하고 있다. 다시 말하여 Jespersen은 위文章이 表面的으로 主語, 動詞 그리고 目的語로 構成되어 있으나, 內面的으로는 目的語가 主語와 述語로 構成되어있는 Nexus임을 보여주고있다. Jespersen의 Nexus는 變形文法에서 使用되고있는 形式體系인 反復裝置(recursive device)의 一種임에 틀림없다. Dependent Nexus는 變形文法의 內包文章(embedded sentence)과 같은 槪念이다. 그러나 Jespersen이 Dependent Nexus를 Sentence라고 부르지 않은 것은 傳統文法에서 Sentence란 언제나 獨立된 完全한 意味體로 看故 되었기 때문에 意味的으로 獨立할 수 없는 Dependent Nexus를 Embedded Sentence라고 부를 수가 없었다. 따라서 Jespersen을 Nexus란 槪念을 使用하여 獨立된 文章과 同一한 文法的 關係를 보여주는 言語構造를 說明하고 있다. 本 論文에서는 Jespersen의 Nexus 構造를 體系的으로 檢討하려는 것이 아니라, 變形文法은 傳統文法에 含蓄된 文法的인 資質을 形式化한 것이며, 그러므로 傳統文法을 體系化되지 않은 變形生成文法이라고 말하는 Chomsky의 主張을 具體的인 例를 들어 뒷바침하고자한다. 더 나아가서, 變形文法學者들이 처음 發見하였다고 主張하는 상당 數의 文法的 事實이 이미 半世紀前에 Jespersen에 의하여 論議되었으며 特히 英語의 Nominalization 硏究에 미친 그의 影響은 大端하다. Jespersen을 文章의 文法關係를 例를들어 說明하는 데 그쳤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그의 著書 Analytic Syntax 등에서 그가 使用하고있는 Formalism과 이를 使用하여 英語의 여러가지 文法的 關係를 說明하고있는 것은 後에 變形生成文法理論이 發達하는 데 많은 貢獻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The goal of traditional grammar, as Chomsky claims, is to provide the reader with the ability to understand sentences of his language and to use them appropriately. Unlike transformational grammar, however, traditional grammar attempts to achieve this goal by giving a great number of appropriate examples and hints rather than a set of explicit grammatical rules. It is evident, particularly in syntax, that traditional grammars are not able to overcome the stage of classification of relevant examples. However, there seems to be no doubt that the kind of structural information that traditional grammarians ask about the structure of language is fundamentally corre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iscuss Jespersen's important grammatical concept called Nexus in terms of the generative-transformational framework. A nexus may be defined as a construction consisting of a subject and a predicate. For example, Jespersen claims that the underlying relation between the cage and empty in the sentence I found the-cage empty is-the nexus the cage was empty. He analyzes the sentence as S V O (S₂P) : that is, although the sentence consists of a subject, a verb and an object in its surface form, the object contains a second subject and a predicate in its underlying form. In this sense, the nexus is a kind of formal device by which we can carry out the 'recursive' description of well-formed sentences in a natural language, since Jespersen's dependent nexus construction is equivalent to the 'embedded' sentences in a transformational grammar. It must be made clear, however, that the present study does not attempt to deal with Jespersen's nexus constructions in a systematic way, but to discuss several relevant examples which show Jespersen's contributions, especially, to the study of English nominalizations. Furthermore, the present paper will show that a number of grammatical processes which have been discussed recently in the literature of transformational grammar was already dealt with by Jespersen half a century ag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