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4 Download: 0

도시 지하 보행공간의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 지하 보행공간의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the Underground Pedstrian Space in the City
Authors
이정아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도시지하보행공간환경디자인실내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의 현대 도시는 도시화 그 자체가 인간에게 주는 대기오염이나 소음, 인구 과밀화에 의한 환경파괴의 막대한 피해를 인간에게 가져다 줌으로써 생태계 뿐만 아니라 환경도 균형을 잃고, 도시내의 토지 부족으로 녹지는 점차 사라져 가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현대의 도시는 점차 병들어 가고 있다. 특히 국토 면적이 좁은 우리나라의 경우 쾌적하고 생활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도시 환경의 제공이 더욱 어려운 문제고 대두되고 있다. 지하공간의 이용은 현대의 도시가 안고 있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한 방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함에 따라 지하공간의 개념과 이해, 지하공간 이용에 따르는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현대의 지하공간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하 보행공간의 계획을 위한 관련 영역을 살펴봄으로서 지하보행공간 환경개선시의 지침이 되고자 한다. 지하 공간 환경 개선의 접근방식으로는 기존의 도시가로,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하보행광장의 형태로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연구 과정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방법을 기술한다. 2. 도시 지하보행자 공간의 출현 도시 중심업무지구의 인구집중으로 인한 교통문제 해결책과 보행자를 위협하는 높은 자동차 사고 발생률의 해결을 위한 방편으로 입체보차분리가 발생하였고 지하도는 이러한 방법의 하나로 발전되어 왔다. 또한 보다 적극적인 지하공간 활용을 위해 지하상가나 지하광장이 개발되었고 도심부의 지하 공간은 서로가 연결되기도 하며 주변의 지상 공간과도 연계되어 도심의 활동에서 중요한 보행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3. 지하 공간의 고찰 지상공간의 공급부족, 자연 환경 및 조경 보전, 에너지 절약, 방위 목적등의 이유로 지하공간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지하공간을 개발하는데 있어 지상과는 다른 조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하여 계획을 하여야 한다. -채광문제 -환기문제 -동적인 이미지 조성문제 -생리적인 문제 -심리적인 문제 4. 지하 보행 공간의 행태분석 지하 보행 공간에서의 인간의 행태는 보행과 휴식의 2가지로 구분된다. 그것은 동적(보행)인 공간과 정적(휴식)공간으로 구별되는데 이 두 공간은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지하 보행 공간 이용자의 행태를 고찰하여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5. 지하 보행 광장으로의 접근 방법 1) 지하보행광장의 1차적 요소 지하보행광장의 기본적인 틀을 이루는 바닥, 벽면, 천정등을 1차적 요소라 한다. 이러한 요소를 만들기 위하여 지하보행자 공간에는 지상의 보행공간과는 다른 특수한 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2) 지하보행광장의 2차적 요소 지하 보행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인간의 행위를 조절하고 보조하기 위한 가로 시설물로서 2차적 요소는 도시의 환경 미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 행위의 도구로써 편의성, 위생성, 전달성등의 기능적 측면을 고려한다. 지하보행공간에 필요한 가로 시설물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가. 자연요소-물, 수목 나. 예술요소-슈퍼그래픽, 환경조각 다. 가로시설물-휴식시설, 위생시설, 정보시설, 식재시설 6. 공간디자인 과정 지하공간 이용의 이론적 배경과 보행 공간에 필요한 각종 시설물의 기능적인 접근 방법의 틀을 바탕으로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을지로 입구의 만남의 광장'을 설정하고 설정된 대상지를 통하여 도시민에게 다양한 경험을 갖도록 하며 쾌적한 지하 보행 광장으로 표현되는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지하공간의 가로를 이용하는 보행인을 위한 휴식공간으로서의 접근을 시도 하였다.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여러 기능을 감안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각종 시설물들은 이미지를 통일하여 전체 가로 광장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전 과정을 종합 평가하여 그 적합성을 검토하였다.;One of the severest problems modern cities present to human beings is the destruction of environment due to air contamination, noises, and overpopulation, which results in the lose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balance. The increasing reduction of green belts in the city also accelerates the unfavorable living conditions in them. Therefore, upon this context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is to solve the matters, present in modern cities, by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a reform measure as shape of underground minor plazas, maintaining already system of street in city, in order to develop underground space environment. And the procedure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utline of the purpose and extend of research, and description of them 2. Appearance of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Underground pedestrian street appeared as solution of heavy traffic due to the cityward tendency of the population and as method of the division of footpathes and carriage-ways for decreasing the high traffic accidental rate which had threatened pedestrians. And for the purpose of mor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underground space,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nd underground minor plaza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underground space in the city has played a important role of pedestrian space, connected with one another, with the near ground space. 3. Investigation on underground spa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underground spaces because of shortage of ground spaces, natural surroundings, preservation of facilities, economy of energy, purpose for defense and as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s is different from that of ground spaces, the plans must be made as following. 1. lighting 2. ventilation 3. making of dynamic images 4. physiological factor 5. phychological factor 4. The analysis of behaviors of underground pedestrians In the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it is devided into walking and rest. although it is divided into dynamic (walking) and static (rest) space by which of the two is principal, these two spaces are connected each other organically, and various spaces which have continuity and connection are needed. And underground space is decided by formative factor as well as by behaviors of people. 5. Structural factor of underground pedestrian minor plazas 1. Primary factor of underground pedestrian minor plazas. Bottoms, walls, celings which compose basic structure of underground pedestrian minor plazas are primary factor. Differently from the ground pedestrian spaces, special facilities are demanded to make these factors in underground pedestrian spaces. 2. Secondary factor of underground pedestrian minor plazas. Street furnitures, secondary factor, to control and assist the behavior of underground pedestrian plays a important role in beautification of urban environment, hence functional aspect convenience, sanitation, transmittion as the instrument of behavior must be considered. The classification of street furnitures for the underground pedestrian spaces, is as following. a. natural factor - water, trees b. artistic factor - supergraphic, sculptures c. street furnitures - resting places, drainage arrangements, information boothes, planting places. 6. The process of spacial design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s and the functional apporoaches of all facilities for pedestrian space "the meeting plaza of Ulchiro - 1 ga" has been selected as a model to suggest certain design plans for expressing the agreeable underground space and giving citizens various experiences. -The approach to the resting places for underground pedestrians has been carried out. -The approach to the national spaces with various functions, which meets the many requests of pedestrians, has been carried out. -The harmony of various facilities with total places of plaza by means of unification of images has been carried out. -The suitability, as total estimation of all courses, has been examin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