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인체의 이미지를 이용한 도자식기연구

Title
인체의 이미지를 이용한 도자식기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ermic Tableware Applied by the Image of A Human Body
Authors
김소영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인체이미지도자식기도자기식기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도자기는 유사이래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다양한 변화를 보이며 발전해 왔다. 현대에 이르러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미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졌고, 아울러 식기디자인연구에 대한 미적감각의 향상 및 대중속으로의 저변확대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디자인의 과제는 단지 디자이너의 창의성 뿐만 아니라 실용적 가치가 결합된 필연성을 가져야 하며 겉모양이 아름다운것만이 아니라 디자인에 있어서의 기능과 미의 적절한 조화라는 필요조건이 만족되어야 하는 것이다.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속의 수많은 디자인 소재중에서 인체는 인간이 조형감각을 갖고 무엇인가 창조하기 시작했던 원시시대부터 오늘날까지 끊임없는 창작대상이 되어왔다. 인체는 그 오묘한 조형미로 말미암아 많은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인체를 모티브로 한 식기디자인으로 일상생활용품에 대한 미적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인체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함께 해부학적 고찰을 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기본 골격을 이해하여 인체의 구조와 조형성을 파악한뒤 이러한 조형적 배경을 바탕으로 식기디자인에 있어서 인체의 예술적 표현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재창조로 이어지는 조형화 작업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제작방법으로는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을 하였으며. 점토는 백색도가 좋은 고려도토를 사용하였고 식기의 기능을 고려하여 투명유, 백매트유를 담금법으로 시유하고 흰색을 기본색상으로 yellow, Red안료를 사용하여 변화를 추구하였다. 0.5㎥가마에서 1차소성후 2차소성은 마침 온도 1,240℃까지 9시간 산화소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인체의 이미지를 이용한 새로운 식기디자인의 소재를 제공하여 작업에 임하는 자세와 함께 앞으로 더욱 다양한 디자인연구의 방향을 모색함으로 해서 산업도자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의 생활도 한층 풍부하게 발전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Ceramic ware has had a close relation with human life since the dawn of history and developed itself in variety with the growth of human senses and the transition of lifestyle according to the usefulness of economical development and social environment. In modern times, by virtue of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social interest in beauty has been heightened, with the aesthetic sense on the researches into the design of tableware improved as well as the entension of the public base achieved at the same time. A task of modern design requires not only an initiative spirit but also the necessity of practical values, thereby giving another meaning to the words, 'Good Design', that is to be not only beautiful in a look but also to have a proper harmony of the function and beauty even in design. With that in mind, in the resent study this reseach intends to add aesthtic values to the daily supplies with the design of tableware having a motif of a human body. The human body suggests and implicates the potential of various expression because of its abstruse plastic beauty. The human body means to be a part of God, Himself, and the exitement that nature gives to man becomes the matrix of precious, artistic life. In the present study, with a human body made into a motif, it is intended to review several works by some artists who has represented their pure formative intention to express their own free, creative subjectivity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ms of a human body, and based on such a formative context, it is intended to artistically express the human body through the design of tableware, thereby re-creating new forms of beauty. As a theoretical context by anatomically reviewing the human body, at the same time with a historical review of the human body, it i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asic structure and bon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then grasp the formativeness of the human body, then understand the formative world of the human body through several works by some artists whose subject matters(motif) were the human body, and re-create beauty in relation with this reseacher's sensitivity. As a method of production, a method of solid casting has been utilized using the gypsum mold, and as mouldng methods, both 'injection' and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have been majorly utilized. Considering the functions of tableware, transparent glaze and Mat glaze are employed or coated by a dipping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