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상숙-
dc.creator유상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6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3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2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381-
dc.description.abstractSince the time of his emergence, mankind has always made creative efforts to understand and improve more favourately his surrounding environments. Especially in modern times, with the meeting of arts and environment, a lot of people have given new attention to the social function of arts. In that milieu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new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ceramic in contemporary ceramic art have opened and a number of works have done in that field.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potential of ceramic-wall which combine geometrically formed ceramic, which comprises one of the prominnent approaches in 20th century environmental ceramic, and light for interior wall design. Geometrical form that had expressed the abstract oriented inclination of mankind from the prehistoric era has become a way of presenting human ideal in 20th century. It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it can give clear and intellectual image and by constructing various forms it can express vivid beauty and the spirit of times. Since the prehistoric era light has also existed not only as the condition of human perception but also as the material for symbolizing men's mental world. As the development of lighting technology a lot of artists have used the light to produce the dramatic image. In this study, I briefly trac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two elements and with relating photographs showed some ways of expression using them in modern arts. For designing the works, I pursued the optically impressive and clear image based on the transformation and the combination of the basic forms of circle, triangle, and rectangular. I also introduced the light to emphasize the works' decorative character. In making works, I combined the method of slip casting and plate making method which are useful to make geometrically clear line and angle and to control unit repetition. For clay I used porcelain clay and 20% chamotte added clay. Firing was first done at 900℃ for 8 hours and second at 1245℃ for 10 hours with oxidization. Through this study I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light, which has optically appealing force and can open the possibility of making characteristic and aesthetic space on the wall, could strengthen the expression effect. The proper harmony of ceramic and light would open various possibilities in decorative expressions.;인간이 자신의 주변환경을 파악하고 이해하여 좀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창조적인 노력은 인류가 시작된 이후 계속되어 오고 있다. 특히 현대에 와서 미술과 환경의 만남은 이러한 요구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미술은 이제 그것이 갖는 사회적 기능이라는 면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 분위기 속에서 현대도예 또한 과학과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환경도자로서의 여러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으며 많은 관심 속에서 다양한 작업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환경도예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방법의 하나로 20세기에 와서 그 어느 때보다도 활발한 표현을 보이고 있는 기하학적 형태의 도자조형물에 빛을 결합하여 실내벽면을 위한 陶壁의 또다른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선사시대 이래로 인간의 추상성향을 표현해 온 기하학적 형태는 20세기 들어 인간의 이상을 표현하는 한 양식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명쾌하고 지적인 인상을 주고 형태의 다양한 구성에 의해 신선한 美와 시대정신을 표현할 수 있어 여러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빛은 사물을 비추어 현상을 지각할 수 있게 해주는 물질적 차원에서 뿐 아니라 선사시대이래 인간의 정신세계를 상징하는 표현요소로서 나타나고 있으며 조명기술의 발달과 함께 극적 이미지 연출의 많은 가능성을 담고 여러 예술가들에 의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두 요소의 역사적 배경과 함께 현대에 와서 어떠한 표현방법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가를 사진자료와 함께 제시하였다. 작품을 디자인함에 있어서는 원, 삼각형, 사각형 등의 기하학적 기본형에 바탕을 두고 이것을 변형, 결합하여 시각적으로 강렬하고 명쾌한 이미지를 추구하였으며 빛을 도입하여 작품의 장식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강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기하학적인 깨끗한 선과 각의 표현과 단위반복에 유리한 이장주입성형과 판성형을 병행하였다. 태토는 자기질 점토와 샤모트가 20% 가량 첨가된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1차소성은 900℃까지 8시간 소성하였다. 시유는 기하학적인 단순하면서도 강한 이미지와 명쾌한 선의 윤곽을 고려하면서 주로 안료를 이용한 색슬립을 분무기로 뿌린 후 투명유로 다시 한번 시유하였다. 사용된 안료는 M-600 yellow, T-600 brown, M-450 pink, M-700 black, M-470 blue, M-415 green, M-1350 turquoise blue이다. 작품에 따라서는 동과 코발트가 함유된 색유를 사용한 경우도 있다. 2차소성은 1245℃까지 10시간 산화소성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실내벽면에 개성있는 미적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방안으로 시각적으로 강한 호소력을 갖는 빛의 도입은 표현효과를 한층 고조시킬 수 있으며 도자조형물과 빛의 적절한 조화는 다양하고 장식적인 표현에 있어서 많은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1 Ⅱ.실내벽면의 기하학적 표현 = 3 A. 기하학적 표현양식 = 3 1. 개념 및 특징 = 3 2. 기하학적 표현양식의 전개 = 3 B. 실내벽면의 특성과 기하학적 표현 = 6 Ⅲ. 빛의 표현 = 12 A. 빛의 본성과 시지각적 특성 = 12 B. 빛의 의미와 표현양식의 변모 = 14 C. 빛을 활용한 조형물 = 17 Ⅳ. 작품제작 및 해석 = 24 A. 디자인 과정 = 24 B. 작품제작과정 = 30 원문누락 = 31 Ⅴ. 결론 = 51 참고문헌 = 53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042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
dc.subject실내벽장식-
dc.subject도자조형물-
dc.title빛을 이용한 실내 벽장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기하학적 도자조형물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ERAMIC INTERIOR WALL SCULPTURE USING LIGHT : by concentrating on geometrical form-
dc.format.pagevi, 55p. : 도판(일부색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