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高麗俗謠 指導의 方向에 관한 硏究

Title
高麗俗謠 指導의 方向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The) Teaching method of Koryo Folk Songs
Authors
李柚知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고려속요고려시가고전시국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고전시가 교육의 개념을 살펴 보고 고려속요의 효과적인 수업지도방법을 모색하려는 데 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교사의 입장에서 고려 속요의 수업지도시 문제가 될 수 있는 항목들을 뽑아 그 항목들을 논의하여 바람직한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논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고전시가'의 개념을 살펴 보고 고전시가 문학교육의 의의를 규명하여 보았다. 또한 고전시가 교육에서의 감상과 수용의 문제를 학생, 교사, 작품의 세가지 면에서 다루고 이 때 교사의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Ⅲ장에서는 고려속요가 지닌 문학교육상의 위치에 대해 살펴 보았다. 고려속요는 국문학적으로 가치가 높기 때문에 문학교육상의 위치도 높다고 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 문학의 주체를 중심으로 교육적 위치를 규정하였다. 고려속요의 실제 수업 지도시에 파생될 수 있는 중점적인 지도사항이 되고 있는 스키마, 해석의 다양성, 恨의 정서, 현대작품과의 연계문제, 性 문제, 상상력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Ⅳ장에서는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풀어 나갔는데 스키마와 상상력의 문제는 실제 수업지도의 모형을 통해 구체적인 작품을 대상으로 살펴 보고 나머지 해석의 다양성, 恨의 정서, 현대작품의 연계문제, 性문제에 대해서는 그것들이 지니는 교육적 의의를 규명하였다. 본고에서는 고전시가 교육의 지도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실제 수업 시에 교사들이 느끼는 애매한 부분들을 요목으로 정하여 그것의 성격을 규명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장르별 문학수업지도가 고전시가에도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The object of this paper is studying concept of education for classic poem folksong & effective teaching guide for Koryo folksong. As a view of teacher, I studied desirable approching method after selecting & discussing the process of discussion is as below. In chapter Ⅱ, I studied concept of classic poem folking & stipulated literary & educational meaning of classic poem folking, Also I treated the issue of appreciation and acceptance in education of classic poem folking with 3 points of view such as student, teacher & art and studied the role of teacher at this moment. In chapter Ⅲ, I studied literary & educational position of Koryo poem folksong and have stipulated educational position with the focus of high value in korean literature & the subject in that literature. Also I selected stressed-recognition articles which may derive from the the lessons of feeling of grudge, connection of modern arts, sex & imagenation. In chapter Ⅳ, I treated the issue of chapter Ⅲ more concretely, as issue of schema & imagenation, I studied it in arts with actual pattern of educational guide and stipulated educational meaning of diversity in understanding, feeling of grudge, connection of modem arts & sex. In this paper, I stipulated the character of unclarified parts article by article which teachers May recognize it in actual lessens and I spreaded discussion in the status of no such studying materials for educational guide of classic poem folksongs. This paper has a meaning in frying educational guide of literature genre by genre to classic poem folkso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