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4 Download: 0

TV 프로그램에서 時間과 空間轉換의 知覺에 關한 硏究

Title
TV 프로그램에서 時間과 空間轉換의 知覺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TRANSITION IN TV PROGRAM
Authors
申英淑.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시청각교육분야
Keywords
TV프로그램시간공간전환지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V was the greatest invention since the printed material. Today many countries are using TV successfully for the educational purpose, and we are to use it as an apparatus to solve the urgent educational problems, such as large numbers of students, lack of competent teachers, and th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cities and rural in learning environment. In the using TV for the educational purpose, it is the most important to develop the program which is appropriate to the stud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basic principle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V program which is appropriate to the student. To put it concre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ual ability of time and space transition in TV program depending upon the student's grade, sex, and intelligenc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221 children from grade 2 to 5 who attend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y were randomly sampled. Two TV programs were used as a treatment and it was the ITV program on the moral education produc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After viewing the TV program, children were tested by a perceptual ability test and a memorial ability test, and then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computer using analysis of variance techniqu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hildren's perceptual ability of time and space transition in TV program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upon grades. Higher the grade, higher the ability and lower the grade, lower the ability. In addition to that desirable ability to perceive the time transition in TV program was found to be developed at 5th grade and the space transition at 4th grade. (2) Children's perceptual ability of time and space transition in TV program wa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children's sex differences. (3)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erceptual ability and intelligence.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ual ability of time transition and intelligence was Pearson's r=.2441(p<.05), and between the space transition and intelligence was r=.3527(p<.01). (4)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mory of the main story and the memory of background objects in the TV program(r=.2594, p<.01).;Ⅰ. 序論 오늘날 TV는 世界 여러 나라에서 敎育的인 目的으로 活用되고 있으며 그 效果도 입증되고 있다. 敎育人口의 增加와 有能한 敎師의 不足에 따른 敎育의 質低下, 도시와 僻村間의 심한 격차등의 敎育問題를 안고있는 우리나라에서도 TV體制를 敎育現場에 導入하는데 대한 期待는 사뭇크다. 敎育現場에 TV를 導入하는데 있어 그 效率性을 높이기 위해서는 學習者에게 適合한 프로그램의 開發과 바람직한 視聽環境의 造成, 그리고 敎室敎師의 適切한 役割등이 필요하다. 本 硏究는 學習者에게 適合한 프로그램의 開發을 위한 基本硏究로서 TV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時間과 空間의 轉換을 兒童의 學年, 性, 知能에 따라 어떻게 知覺하는가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Ⅱ. 硏究問題 本 硏究에서 다루고자하는 問題는 具體的으로 다음과 같다. 1. TV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時間과 空間의 轉換에 대해 知覺하는 정도는 兒童의 學年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2. TV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時間과 空間의 轉換에 대해 知覺하는 정도는 兒童의 性別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3. TV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時間과 空間의 轉換에 대해 知覺하는 정도는 兒童의 知能과 어떤 關係가 있는가? 4. TV프로그램에서 傳達하고자 하는 內容에 대한 記憶정도와 背景的 事物에 대한 記憶정도와는 어떤關係가 있는가? Ⅲ. 硏究方法 및 節次 A. 實驗對象 本 硏究의 對象으로는 서울 시내에 있는 Y國民學校의 5學年 72名과 S國民學校 2, 3, 4, 5, 學年 149名, 總 221名을 無作爲로 표집하였다. B. 道具 實驗道具로는 韓國敎育開發院에서 制作한 2편의 TV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檢査道具로는 知覺力 檢査, 記憶力 檢査, 知能檢査를 실시하였다. C. 實驗節次 Y國民學校에서는 1977年 5月 10日 15時~16時 30分까지 TV프로그램의 視聽과 知覺力檢査, 記憶力 檢査가 실시되었고 5月 11日 11時~12時사이에 知能檢査가 실시되었다. S國民學校에서는 1977年 5月 16日 10時 30分~12時까지 2, 3, 4, 5 學年에게 同時에 TV프로그램의 視聽과 知覺力 檢査, 記憶力 檢査가 실시되었다. D. 結果處理 實驗結果 知覺力 檢査와 記憶力 檢査 資料는 모두 Computer 處理하여 變量分析과 Pearson相關係數를 내었다. Ⅳ. 結果 1. TV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時間과 空間의 轉換에 대해 知覺하는 정도는 兒童의 學年이 올라감에 따라 현저히 增加하며 時間轉換에 對해서는 5學年부터, 空間轉換에 대해서는 4學年에서부터 만족할만한 정도의 知覺이 可能하다. 2. TV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時間과 空間의 轉換에 대해 知覺하는 정도는 兒童의 性別에 따라 意味있는 差가 없다. 3. TV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時間과 空間의 轉換에 대해 知覺하는 정도와 兒童의 知能과는 時間轉換에 대해 r=.2441(p<.05), 空間轉換에 대해 r=.3527(p<.01)로 낮은 正的相關을 보인다. 4. TV프로그램에서 傳達하고자 하는 內容에 대한 記憶정도와 背景的 事物에 대한 記憶정도와는 r=.2594로 낮은 正的相關을 보인다.(p<.0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시청각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