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영혜-
dc.creator이영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6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6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2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678-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고유기질에 대한 보존성을 가지고 있고 그것을 지키고 확장시켜 나가고자 한다. 인간의 일차적 영역인 本質的인 갈망, 욕구, 욕망등은 태어날때부터 지니고 있는 형질이다. 이는 기호, 흥미, 태도등의 조정단계로 넘어가고, 그후 문화의 영향과 제약을 받는 단계에 이르른다. 여기서 인간은 자기 안전과 위안에 대한 보존 즉, 일종의 방어체계 (Defense Mechanism) 를 갖게 된다. 우리 민족의 삶은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억압과 환난의 역사로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조차도 수탈과 억압 속에서 굴종하고 타협하면서 그나름대로의 풍토와 역사에 적응한 문화체계를 이루어 왔다. 그러다가 문호의 개방을 맞아 서구의 풍요와 多量多産(Mass Production) 특성의 문물 및 문명이 밀려들어 오자 그 정치적 세력을 띤 경제력에 우리의 가치관은 크게 흔들리게 되었다. 그러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해오면서 오늘날 우리는 다량다산과 풍요에 대한 경제적 욕구도 본능적인 의식주 단계를 벗어나 안정기로 접어들었으며 문화 상위개념의 정신적 기틀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는 곧, 자기의 위안과 보존을 취할 방어적 체제를 갖출 시기가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신체구조의 활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제적 측면과 정신적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문화에 대한 심리반응의 고차원적 형태의 교환(Communication)은 필연적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연적 변화추세 양상을 문화의 예술, 종교, 삶의 共感帶인 象徵요소를 연구하고 이를 통하여 오늘의 정신적 교량으로서 기능촉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제 Ⅱ장에서는, 인간만의 특성인 일종의 자연적 특성으로서의 상징행위와 문화속성의 주된 영역으로서의 상징의 위치를 찾아 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우리 한국문화 속에 기반으로서의 신호가 갖는 의미와 그것에 부여된 상징을 분석하였고, 민간생활에 깊숙이 내재된 原型的 종교가 문화속에 반영된 의미를 찾아 보았다. 그러한 의식이 이어져 표현된 서민들의 조형물 속에 상징을 Carl G. Jung의 인간에 대한 집단무의식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종교, 예술, 신화의 쟝르에 대하여 이형동질의 구조를 찾기 위한 하나의 체계이론으로 Gestalt의 표현이론을 도입하여 문화의 전체화를 구조화 시키고 있다. 제 Ⅴ장에서는 현대기업의 경영원칙이 문화와 갖는 연관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과 경제활동의 수단이던 농업과 오늘날의 기업은 물질소득의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는 이형동질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업경영의 활동이 되는 정보와 제품을 판매한다는 과정에서, 인간 의식의 표현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한국적 의식을 띠고있는 심볼의 사용은 그 소통(커뮤니케이션)기능을 보다 효과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적 체계를 갖추지 못한 의식구조 위에 산업발달과 과학기술의 보급으로 매스 미디어의 무분별한 서구문명의 추종은 심리적 갈등과 괴리를 조장한다. 이러한 여건에서 이를 주도할 상위체계의 한국적 의식구조를 확립할 필요성이 절실하며, 이는 상징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로써 정립이 가능한 것이다. 제 Ⅳ장 결론에서는 더 좋은 상징 더 다양한 상징의 발견을 통하하여 문화를 발전시키며 이를 바탕으로한 커뮤니케이션의 효율화는 문화와 경제를 결속시켜 文明化를 보다 가능케 하고 고도의 문화적 사명감을 완수케 할 것이다.;The rapid and big economic growth that Korea has achiev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has brought forth changes in the cultural persuits: Just as the human needs move up from the lower, primary physiological needs to the higher stages of needs for safety, comfort, and to self-preservation, our cultural persuits should also evolve from the self-protective ones to the self-preserving ones . Today, Korean businesses, the nation's most essential and active body of economic activities, are making every effort for continued and consistent economic growth. But in their pursuits for economic growth, they should strive also for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onsciousness system of Korean culture. In other words a mental, high-level communication between economic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culture is essential for better results of the economic activ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find out the common symbolic elements that are embodied in such Korean cultural fields as shaman religion, myths, and folk art, and thereby (2) to contribute to facilitate the function of the symbols as media of mental, high-level communication. In Chapter Ⅱ, an attempt was made to give a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that is, culture as symbols is explained. Symbols and culture are regarded as essentially synonymous. In that man symbolizes his wishes through language, music, dance, and other forms of art, mathematics. smoke signals, gestures, facial expressions, clothing, bodily ornaments, and still many other ways, symbols are regarded as a clue to the nature of man. In Chapter Ⅲ, symbols and their meanings implied in shaman religion, myths, and folk art were studies. Myths, shaman religion. and folk art as the origins of our culture used symbols as a means of transmitting their meanings. The shaman religion has deeply permeated into people's life styles, and it has led people to desire for art, constituting a part of Korean culture. For example, the paintings of ten long-living animals symbolize strong human desires for long life, and these paintings mean the symbols of culture in which human consciousness is implied. An analysis, applying C. G. Jung's group unconscious theory, was made of the archetype thoughts of culture. In Chapter Ⅳ, the Gestalt's expression theory was applied as an organization law in order to seek "ISOMORPHISM" from the individual symbolic elements embodied in the cultural fields of shaman religion, myths, and folk art and then further to configurate the common symbolic elements in, these three cultural phase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see whether or not business trade symbol marks express the cultural consciousness(meaning) sturctures as well as the business principles upon which the companies run. In Chapter Ⅴ, the modern business principles wer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culture. Agriculture that was a means of economic activities in the old days and today's business have a common cultural element, "ISOMORPHISM," that they both satisfy man's desire for material possession. The use of Korean consciousness symbols as a transmission means of the meaning of human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business activities of making sales of information and products enables the communication more effective. Therefore, for better symbolic communication effect and for stronger appeals to the consumers, it is necessary for business to establish Korean consciousness structure. Otherwise, the rapid and big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 especially the mass media ) developments will cause indiscreet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and create conflict and estrangement. In Chapter Ⅵ,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concluded. To find out better and more accurate symbols is a very important task because it accelerates culture development. By using these symbolic media, the combination of business activities with culture is made possible: and this combination will lead to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will give impetus to civilization, and will enable to fulfill the cultural responsib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象徵과 文化 = 4 B. 문화와 인간심리 분석 = 7 Ⅲ. 문화의식에 나타난 상징의 의미 = 15 A. 신화의식체계에 나타난 상징의미 = 15 B. 민간종교와 문화를 통하여 본 상징적 의미 = 26 C. 예술문화속의 상징 = 37 Ⅳ. 문화적 게쉬탈트 체제 = 53 Ⅴ. 문화와 현대 기업 = 57 A. 현대기업과 문화의 커뮤니케이션 수단 = 57 B. 기업 사례 연구 = 60 Ⅵ. 결론 = 70 참고문헌 = 72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553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한국인-
dc.subject문화의식-
dc.subject상징성-
dc.subject신화-
dc.subject민간신앙-
dc.subject예술-
dc.title한국인의 문화의식으로서의 상징성(Symbolism)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신화, 민간신앙, 예술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ymbolism Embodied in Korean Culture Consciousness-
dc.format.page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