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변혜원 .-
dc.creator변혜원 .-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8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1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889-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외국문화와 폭넓게 접목시켜 우리 풍토에 맞게 재창조하여 민족의 정서가 깃들어 있는 독창적인 문화로 발전시키는 세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민족 구성원 모두가 고유문화에 대한 이해와 긍지를 바탕으로 외국문화의 장점을 선별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문화 창조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여야 한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전성기를 누렸던 나전칠기는 우리의 고유한 전통생활공예로서 높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에 맞는 지속적인 발전의 부족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전칠기의 수공예적 전통기법과 문양 그리고 기능을 재해석하여 현대생활에 효용성이 높은 핸드백 제작에 응용하기 위해 과거 생활용품의 단아한 형태적 특징과 나전칠기의 장식적인 문양을 기하학적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핸드백 디자인에 도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나전칠기 기법을 예술적 가치를 지닌 패션상품의 기능성과 조형성에 조화시켜,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독창적인 핸드백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며, 나아가 나전칠기를 이용한 작품의 영역을 확대시켜 나전칠기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고취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아. 이론적 배경을 위해 문헌을 고찰하고 작품사례 및 실증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전통단절의 원인, 전통계승의 필요성 및 문제점, 그리고 전통계승의 성공적인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나전칠기에 대해서는 기원, 발달과정에 따른 기법과 조형적 변화, 골격이 되는 바탕의 종류, 문양 제작기법, 제작과정 그리고 조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백(bag)에 대해서는 기원, 역사적 배경, 시대적 변천과정에 따른 소재 ·형태 ·기능의 변화, 용도·착용방법·형태·소재에 따른 백의 종류, 현대 핸드백 디자인의 경향, 그리고 핸드백 제품의 실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전통적인 나전칠기의 제작기법인 끊음질, 줄음질, 할패법, 타찰법에 의한 문양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입체적 장식을 모티브로 하였다. 과거 생활용품들의 형태적 특징을 조형적으로 재구성하여 작품은 총 10점을 디자인하였으며 그 중 8점을 실물 제작하였다. 소재는 옻, 칠가루, 목재, 자개, 은, 자석을 사용하였으며 색상은 자개의 색채와 광택을 가장 잘 돋보이게 하는 검정색을 기본 주조색으로 주칠의 붉은색과 자개의 여러 가지 천연색들을 이용하였다. 칠기를 이용한 백은 소재의 특성상 충격에 약하므로 사용과 보관상 큰 주의가 필요하며 제작 공정상 고난도의 수공예 기법을 요구하는 희소성의 가치가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에 사용되는 백으로 그 용도를 파티용이나 정장용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우리는 한국 고유의 정신과 문화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지 못해 전통 단절의 위기를 겪음으로써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전통의 계승과 발전은 오랜 시간의 노력 끝에 얻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우리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 더 많은 전통문화의 발굴, 보존, 홍보 그리고 재해석을 통한 독창적인 문화 창조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나전칠기는 소재의 특성상 유연성이 없고 평면적인 표면구조를 지니며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우아한 광택과 독특한 표면효과는 고부가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특별한 용도의 백에 적합하였다. 셋째 빛의 간섭현상에 의한 다양한 색채변화, 고명도의 영롱함, 아름다운 광택을 지닌 자개의 화려하고 우아한 이미지는 검정색으로 대비시킴으로써 강조될 수 있었고 칠가루를 뿌려 실용성을 높인 오톨도톨한 옻칠 면의 촉각적 질감은 자개의 시각적 질감과 대비시켜 독특하게 표현될 수 있었다. 넷째, 전통적인 격자문, 햇살문, 직선문은 크기와 나전칠기의 표현기법으로 변화를 주되 최소성에 입각하여 단순화시키고, 옛 물건의 형태적 특징은 조형원리에 의한 확대, 반복, 분해, 단순화 등으로 재구성함으로써 현대적 감각의 명쾌함과 기하학적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었다. 전통문화의 분야별로 거듭된 연구는 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축적시키고 이를 통해 높은 문화적인 역량을 키워 현대 디자인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국제적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전통문화의 현대화와 상품화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디자인 분야의 주체들은 한국적인 것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핸드백 디자인 분야는 예술적 가치를 지닌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나전칠기 기법을 접목시킴으로써 새로운 한국적 양식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나전칠기와 패션의 접목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길 바란다.;The twenty first century should be the century when we convert imported foreign cultures to our domestic cultures implanted with our people's emo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creation. In order to inherit and improve our traditional culture, we have to continuously try to accept the advantageous aspects of foreign cultures and create a new cultur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and pride in our original culture.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 which prospered during Korea and Chosun dynasties, was not well inherited to the present time even though it has a high quality value as our traditional art. In this work I applied the methodology and technique of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 to the modeling of hand bags popular and useful in modern lives. I restructured graceful characteristics in the shape of our old commodities and decorative representation techniques and patterns of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 into geometric images, and introduced these images to the design of bags.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hreefold. First, I harmonize our traditional techniques of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 with functional and modal properties of fashion products with artistic values. Second, I develop original bag designs to create high additional values. And finally, I expand the application area of our mother-of-pearl and lacquer techniques to inspire a new understanding of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work are as follows. First, I read several references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llected and analyzed photographs and examples. And then, I observed difficulties in and necessities of the inherit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es and some successful cases of inheritance. Concerning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 I surveyed the origin, the change of technique and modeling through the elapse of time, various kinds of frames, various techniques producing patterns and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Concerning bags, I surveyed the origin, their historic background, the change of materials, shapes and functions through the elapse of time, the classification of bags according to the usages, the way to carry, shapes and materials, various kinds of design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hand bag brand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I designed ten handbags utilizing traditional techniques of mother-of-pearl and lacquer and I made eight bags. The materials for them include lacquer, wood, shells, silver and magnets. I used mainly black colour lacquer in order to emphasize the brightness of shell colours and a little bit of red colour lacquer. For bags made by the technique of mother-of-pearl and lacquer, being rigid fragile to the external impact, require a very high level skill and should be dealt with special care, they are suitable for special usages such as parties and formal meetings. Through this work I go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past we experienced social, cultural and financial difficulties coming from the crisis of termination of our traditions as a result of ignoring high values permeated in Korean native spirits and cultures. I realized that it takes a long time and a great deal of labor to inherit and improve the traditions. I also realized that we have to continue our efforts to create new native cultures through the discovery, preservation, advertising and reinterpretation of our traditional cultures. Second,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 is rigid and has planar surface structures owing to its characteristic properties. Therefore it has a drawback of being fragile to external impacts. However, this drawback is overwhelmed by the brilliant, graceful, extraordinary and mysterious looking decoration technique and therefore the technique of mother-of-pearl and lacquer is very suitable for the bags with special usages. Third, the mother-of-pearl has a various dynamic luminosity owing to the interference phenomena. By using black colour for the background, it was possible to emphasize this shiny colour. And also by spreading powder of lacquer over the surface, it was possible to achieve special effects by contrasting the visual feeling of the mother-of-pearl with the tactile feeling of granulated lacquer surface. Fourth, it was possible to create the brightness of modernized sensation and geometric images by simplifying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reorganizing characteristics of old necessaries through the process of magnification, repetition, analysis and simplification. The continuous research on each field of our traditional culture will give us a useful knowledge which will be actively applied to the modern design area. This knowledge will also make possible the modern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our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Those who work in design area in Korea should do their best to continue deep research on our traditional things. From the above results I conclude that the field of bag design can be extended to the area with artistic values and furthermore this field can be developed and improved as our own traditional culture by the combination with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 techniques. I hope that efforts, combining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 and the current fashions, continue forev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xi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2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2. 이론적 배경 = 4 2.1. 나전칠기의 일반적 고찰 = 4 2.1.1. 나전칠기의 기원 및 역사 = 4 2.1.2. 나전칠기 재료의 종류 = 11 2.1.3. 문양 제작기법의 종류 및 제작과정 = 17 2.1.4. 나전칠기의 조형성 = 22 2.2 백의 일반적 고찰 = 28 2.2.1. 백의 기원 및 역사 = 28 2.2.2. 백의 종류 및 기능 = 39 2.2.3. 핸드백 제품의 실태 분석 = 57 2.2.4. 현대 핸드백 디자인 경향 = 65 3. 작품 제작 = 78 3.1. 제작의도 및 방법 = 78 3.2. 작품 및 해설 = 81 4. 결론 및 제언 = 122 참고문헌 = 124 ABSTRACT =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973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나전칠기-
dc.subject핸드백-
dc.subject디자인-
dc.subject의상디자인-
dc.title나전칠기를 이용한 핸드백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BAG DESIGN WITH THE TECHNIQUE OF MOTHER-0F-PEARL AND LACQUER-
dc.format.page129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