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옥준-
dc.creator조옥준-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8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0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888-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산업사회는 기계문명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정신기능을 약화시키고 대중화로 이끌어 감으로써 인간적 개성을 소외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은 인간성 상실과 소외라는 심각한 문제를 낳게 되고, 우리 본질에 대한 의미, 주체성마저도 상실시키고 있다. 이러한 산업주의적 특성에 반기를 들면서 사회 일각에서는 인간의 개성과 감성을 존중하고, 다양함을 추구하는 등의 새로운 변화가 대두되고, 한편으로는 우리의 정신적 주체성을 찾기 위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서 패션계에 있어서도 한국적인 전통 표현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전통미를 현대 복식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미 즉, 우리 민족의 정서와 미감이 반영된 대표적 유물인 장승의 일반적 특성을 고찰하고 조형적 특성을 규명해, 장승이 갖는 독특한 감각과 그 속에서 표출되는 미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이를 현대 의상 조형에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예술적 표현영역을 확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전통의 개념과 한국의 전통미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의 전통미가 표현된 현대 의상디자인의 작품을 수집하여 정리, 분석하였다. 둘째, 장승의 개념과 기원 등을 문헌 자료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장승에 나타나는 전통미와 조형성을 선, 형태, 질감을 통해 살펴보았고, 장승이 현대 디자인에 응용된 예를 살펴보았다. 셋째, 장승에 나타나는 조형적 요소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염색기법 중 크랙염과 묘염 기법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기법들이 현대 디자인에 적용된 예를 살펴보았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장승의 긴 얼굴에서 느껴지는 수직감과 장승의 외곽선을 의상의 직선적인 H실루엣으로 표현하여 의상에서의 선을 강조하였으며, 장승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 또는 생략, 과장 등의 단순화 과정을 거쳐 의상에 장식성이 배제된 절제된 선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러한 장승의 조형미를 크랙염 및 묘염 기법과 함께 적용시킴으로서, 장승이 갖는 꾸밈없는 소박한 형태와 표면이 갖는 거칠고 갈라지는 느낌을 표현해 주었다. 크랙염에 있어서는 파라핀을 납으로 한 손으로 부시는 기법을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크랙선을 유도하였고, 묘염에 있어서는 장승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음각의 뚜렷한 선과 장승의 얼굴에서 느껴지는 요철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서 뻑뻑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붓놀림이 가능한 콩즙을 호료로 사용하였다. 소재로는 공단 실크, 쉬폰 실크, 양피 등의 천연 소재를 사용하여 장승이 가지는 단순, 소박한 자연미를 표현해 주었으며, 색상은 장승의 재료인 나무자체가 갖는 자연색인 브라운과 자연을 상징하는 색인 그린, 카키 등을 대부분 사용하였고, 예외적으로, 장승의 몸체에 원색으로 채색된 장승에서 모티브를 응용하여 원색계열을 부분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승에는 한국 고유의 전통미와 조형짙 감각이 담겨져 있으며, 이러한 장승은 과거의 유물로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아이디어와 모티브를 제공해 주는 귀중한 자료로 재평가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장승은 한국적이면서 동시에 현대적 감각이 표출될 수 있는 디자인 모티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디자인 요소에 있어서 변화와 재조합, 과장 또는 축소에 의한 단순화 과정은 의상디자인의 중요한 과정이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장승의 단순성과 추상성을 디자인에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디자인 요소에 있어서의 선은 작품제작에 있어서 실루엣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장승에 나타난 독특한 선은 직선적인 외곽선이나 코의 수직적인 선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장승의 외곽선에서 보여지는 이러한 수직적인 선의 특성은 의상의 실루엣을 설정하기에 적절하였다. 넷째, 크랙염에 있어서 손으로 부시는 기법은 의도하는 굵고, 자연스러운 크랙선 연출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장승의 표면이 갖는 거칠면서 갈라진 결을 표현하기에 적절하였다. 다섯째, 묘염의 호료로 사용된 콩즙은 뻑뻑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붓놀림을 가능하게 하여 장승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음각의 뚜렷한 선과 장승의 얼굴에서 느껴지는 요철을 자연스럽게 묘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승의 미적가치와 장승이 가지는 디자인 모티브로서의 무한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이에 맞는 소재와 기법의 개발을 통해 의상디자인에 있어서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였다. 앞으로도 전통미에 대한 끊임없는 고찰과 표현기법 개발을 통해 현대화된 복식디자인의 독창적인 개발이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Modern industrial society has been diminishing human beings' individuality by deforming spiritual function and leading people to average generalization. Resent situation of this age not only brought serious crisis such as dehumanization and alienization, but also depriving even the meaning of essence and independence. In a corner of this industrial society, new change of respecting human individuality and sensitivity have been rosen, and in another,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gaining attention as a path to restoring spiritual independence. A number of fashion designers also have been presenting their works based on our Korean traditional expressions. And these effort of applying traditional aesthetics to modern costume is continuing. Therefore,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ter to apply and develope Korean traditional aesthetic traits into modern sense in upcoming fashion designing. In this line of thought, I'd like to represent the possibility of new designing by adapting the motif of Changsu˘ng, which is a Korean traditional formative creature. carrying our emotion and aesthetic sen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itially, I will review the concept of tradition and the Korean traditional aesthetics, and collect and analyze modern dress works which showing Korean traditional aesthetics. Secondly, I will review the origin and concept of Changsu˘ng with written record and the formatic characteristics of Changsu˘ng. Thirdly, I will explain dyeing techniques used in this dress work, especially crack-dying and depictive dying. And, I also will look over the dress work examples in modern fashion. Regarding the dresses-making in this study, I applied both representing method & simplificating method by omitting, reducing, and amplifying. I tried to express the verticality felt from long face of Changsu˘ng to dresses' silhouette. And I also tried to emancipating the descriptivity of shaping and the texture of Changsu˘ng by applying crack-dying and depictive dying on thick plain silk, chinese plain silk, chiffon, and sheepskin. The colors chosenare variations of brown, which represents the color of wood, tile main material of Changsu˘ng, and variations of green, which represents nature. Through this study, I acquired conclusions as follows. Initially, Changsu˘ng shows Korean original traditional aesthetics and formative values. Thus Changsu˘ng should be reevaluated as a precious sources, which provides with innovative ideas and movif, not being treated as just old remainings belonging to the past. Secondly, simplifying process through transformation, reorganization, exaggeration or diminishing functions as a important factor in designing. And the motif thrown from Changsu˘ng transformed through this process was aproprate for expressing more creative formative senses. Thirdly, line as a design factor operated a Important function, which decides sihluettes in dress works, and vertical straight linear shiluette of Changsu˘ng was suitable for applying H-shiluette on the dresses. Futhermore, this outerline of Changsu˘ng made it enable to shows humorous images. Fourthly, the depictive dying and crack-dyeing technique used in the dress-making was suitable method to express the unique formativity such as the shape or texture of Changsu˘ng. And the natural materials such as chinese silk, shiffon, and sheepskin are adequate for representing this motif of Changsu˘ng. Through all above conclusions, I was able to grope the aesthetic value of Changsu˘ng and the unlimited possibility as motif which Changsu˘ng potentially be delivered as. And through developing the material and technique suitable to this, I also was able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re-creative manifesting. In future study, I hope to be continued the creative developing of modernized costume disign based on their own origina formative senses through incessant introspection of our traditional aesthtic beauty in representing traditional motif onto modern costu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3 2.1 전통과 한국의 전통미 = 3 2.1.1 전통의 개념 = 3 2.1.2 한국의 전통미 = 5 2.1.3 한국 전통미를 응용한 의상 디자인 = 6 2.2 장승 = 13 2.2.1 장승의 개념 및 기원 = 13 2.2.2 장승에 나타난 전통미와 조형성 = 16 2.2.3 장승과 현대 디자인 = 32 3. 크랙염 및 묘염 = 36 3.1 크랙염 = 36 3.2 묘염 = 41 3.3 크랙염 및 묘염을 응용한 현대디자인 = 46 4. 작품제작 및 해설 = 55 4.1 제작 의도 및 제작 기법 = 55 4.2 작품 및 해설 = 62 5. 결론 및 제언 = 113 참고문헌 = 115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2719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장승-
dc.subject조형성-
dc.subject의상디자인-
dc.subject크랙염 기법-
dc.subject묘염 기법-
dc.title장승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크랙염 및 묘염 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shion Design by Application of Aesthetic Features of Changsung-
dc.format.pagexi, 118 p. : 삽도, 도판(일부색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