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韓國美論과 宗敎哲學

Title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韓國美論과 宗敎哲學
Other Titles
(The) theory of the art of Korea and the Philosophy of religion in Muneyoshi Yanagh(柳宗悅)
Authors
泉千春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야나기무네요시유종열한국미론종교철학한국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는 일제시대에 한국에 관한 글을 남긴 사람으로 지금도 한국인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일본인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미술사학자나 미학자는 아니었으나 종교철학자로서 한국과 그 예술에 관해 연구를 하여 많은 글을 남긴 사람이었다. 본 논고는 야나기의 한국미론에 대해 좀더 깊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서 그의 종교철학과 미학적 배경을 통한 한국미론의 검토를 시도한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에서의 야나기 한국미론에 대한 연구는 그의 사상적 배경을 충분히 파악하지 않고 단지 한국에 관계된 글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그의 사상적 배경을 성장과정, 종교적 본질과 미적 본질의 탐구로 세분해서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그러한 사상적 배경을 통해서 성립된 야나기의 종교철학과 이를 토대로 전개된 미론을 밝혔다. 그의 종교철학은 直觀知를 근본으로 하는 神秘道 宗敎哲學으로, 그의 미론은 直觀을 통해서 보는 것이 기본이 되어 美와 神을 같은 차원에서 이해한 것으로 初期의 神秘道美論(1915-199), 移行期의 工藝美論(1904-1948), 成熟期의 佛敎美學(1949-1961)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그의 종교철학과 그의 미론을 토대로 Ⅳ장에서는 그의 한국미론의 실제를 그가 한국에 관해 쓴 글 중 미술에 관해서 쓴 것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규명하였다. 그의 한국에 관한 글은 초기에는 시사적 성격을 겸하는 것이 많아 종교철학적, 심리학적 미학의 입장에서 언급되는 경향이 크다. 그러나 이행기 이후에는 대부분 미술 자체에 관한 글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어 내용도 工藝美論과 佛敎美學의 입장에서 민중공예를 언급한 것이 대부분이다. 거기서 표현된 한국미의 특징은 新羅時代는 佛敎美術이 극치를 이루는 시대로 그 美는 莊嚴하고 優美하고 調和롭다. 高麗時代는 佛敎美術의 時代이며 貴族的이고 優雅하고 纖細하고 부드러운 女性的인 性格을 지녔으며, 朝鮮時代는 땅의 宗敎인 儒敎時代로 그 美는 自然스럽고 健康하고 單純하고 無事하다. 그리고 거기에는 無技巧의 技巧, 不合理의 合理, 無有好醜 등 不二美가 있다고 하였다. 그 밖에도 초기에는 悲哀의 美를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주로 심리학적 미학의 입장에서 언급된 것으로 神性과 통하는 승화된 미를 나타낸 것이다. 또 한국미술을 중국미술의 모방이며 조선시대 미술을 衰退期로 본 일제 관학자들의 미술사관과 달리 한국미술을 독자성과 조선시대 미술의 우수성을 확신하고 있어 한국예술을 다양하고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고찰을 통하여 종래 야나기의 한국미론을 '悲哀의 美'論 一邊倒인 것처럼 규정하거나 그의 미론을 부정적으로만 해석하거나 또는 意圖的인 면에서도 관학자들과 같은 차원으로 취급하였으나 실제로는 한국예술을 시대 따라 다양한 변화와 독자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조선시대에는 동양미의 극치인 '不二美'가 여실히 나타난 것으로 높이 평가하였다. 이것은 일제관학자들과는 의도면에서도 내용면에 있어서도 구분되는 한국예술의 우수성을 그 종교철학적, 미학적 입장에서 독자적으로 밝혀 낸 것이었다.;Muneyoshi Yanagj(柳宗悅 1889-1961) was one if Japanese who left the essays about the art of Korea in the period of Japanese-Imperialism and has been still uttered in Korean's mouthes. He was not a historian of art neither an esthetician. But he studied Korea and its art and left a lot of essay on it as a Philosopher of the Religion. This treatise tried to reassess the thee of art of Korea through his background of the Philosophy of religion and the esthetics for the more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theory of beauty of Korea in Yanagi. Yet the study of the theory of beauty in Korea in Yanagie has been dealt with only the essay that concerned with Korean without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ought. In Chapter Ⅱ, The background of thought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the process of the growth, the Second, the essence of the religion and the third, the essence of the beauty. Chapter Ⅲ illustrated the Philosophy of religion that has accomplished through the background of the thought and the theory of art tha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it. His Philosophy of religion was the Philosophy of religion having the character of a musticism(神秘道). His Theory of art had a basic rule to see art-craft by the power of intuition and understood the beauty and the god in equal dimension. It has a process of the development, the early period, the theory of art in mysticism(神秘道美論期, 1915-1923) the transitional period, the theory of art in folk craft(工藝美論期, 1924-1948), and The period of maturity, the esthetics of Buddism(佛敎美學期, 1949-1961). Looking over the essay that had written about the art of Korea, Chapter Ⅳ illustrated his reality of the theory of the beauty on the basis of his Philosophy of religion and the theory of the beauty. His essays on Korea in early times had shown the alluding character and had a tendency to utter the art of Korea in view of the Philosophy of the religion and the Psychological esthetics. After the period of the transition most of essays were composed of art itself and furthermore uttered the folk-craft from the view point of the theory of the folk craft and the esthetics of Buddism. He regul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Beauty as follows below. The period of The unified Shilla(統-新羅時代, 654-935) performed the ultimate art of Buddism. The Beauty of that times was majestic, elegant and hamonic. The period of Koyao(高麗時代, 918-1392) was the period of Art of Buddism. The art of that times was aristocratic, elegant, detail, soft and have a female character. Yanagi was certain of tile originality of the Korean-art and the predominance of the art of the period of Chosen(朝鮮時代, 1392-1910) and evaluated the Korean-art highly. The period of chosen was the period of confucianism, the religion of the earth. Yanagi said that the beauty of that times was natural, sound, pure, simple and peaceful. It had 'the art of artless(無技巧의 技巧)' 'the rationality of irrationality(不合理의 合理)' and 'none dualistic beauty(不二美)' and 'beautyness and of even transcend(無有好醜의 美)' and so on. In addition, In early period, he emphasized 'the beauty of sorrow(悲哀의 美)', It has been uttered in psychological esthetic and exphessed the beauty of sublimation. Unlike the historical view of official scholar regared the art of Korea as a immitation of the art of china and the art of the period of chosen as a period of decline, Yanagie was certain of the originality of the art of Korea and the prediominance of art of the period of chosen and evlauated the Art of Korea highly. Consequently, Yanagi thought that the art of Korea had a various originality as times goes by. Especially he evaluated the art of chosen to be expressed 'none dualistic beauty(不二美)', the ultimate of the Beauty of the orient. Unlike the official scholar, not having the intention to distort the art of Korea, he illustrated the predominance and the originality of the Korean-art in view of the Philosophy of religion and the esthe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