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7 Download: 0

도제 조명등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

Title
도제 조명등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ransparenct effect of the Ceramic Lamps
Authors
이하영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도제조명등디자인도제조명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조명(照明)이란 인간이 자연광원(自然光源)이나 인공광원(人間光源)인 빛을 목적에 의하여 적절하게 대상(對象)에 투사(投射)하여 효과를 얻는 행위이다. 그래서 조명은 빛에 따른 시각인지(視覺認知)로 존재와 공간(空間)을 인식하는 물리적 현상과 더불어 빛이 만들어 내는 감정과 정서로 정신적 영역까지 그 영향은 확산된다. 따라서 조명은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는 환경조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물론 초기에 조명은 주로 자연광원인 태양이 사라져 암흑에 쌓이는 밤의 공포에서 벗어나고, 어둠을 밝게 비추어 활동할 수 있으며, 자신을 보호하는 것 외에, 의식(儀式)이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인공광원인 불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인공광원의 재료가 개발되고, 특히 산업혁명과 전기의 용으로 인간의 생활과 환경이 변화하고 발달함에 따라 조명의 사용 재료와 용도에 의하여 조명등의 형태도 다양화 되기 시작하였다. 공간을 밝혀주어 인간의 생활을 편하게 만들어 주던 조명등에서, 빛의 밝기, 빛의 분위기에 의한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환경을 만들어 주는 조명등의 기능적, 장식적 효과를 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조명등의 역할을 인간의 취항이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 인간의 개성과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조명등의 기능적인 것과 함께 시각적인 디자인 문제가 중요하게 되었다. 이제 조명등은 단순히 조명에 그 역활이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생활환경을 밀도 있게 꾸미어, 기능적이고 아늑한 바람직한 생활공간을 창조하기 위한 조형물로서 유도되어야 한다. 이리한 의미에서 도제 조명등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흙을 소재로 하기 때문에 인간을 위한 최선의 조형물이라 할 수 있다. 피러나 기존의 도제 조명등은 유리와 같은 특명성이 없는 태토(胎土)의 특수성 때문에 투각(透刻)에 의하거나 광원의 부수적인 용기(容器)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도제 조명등에서 보여지는 소극적인 역활에서 탈피하여 도제 조명등으로서 만들어 별 수 있는 독특한 빛의 분위기와 질감과 형태를 투광성이 있는 태토(胎土)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입체 형태인 삼각뿔, 구, 육면체를 조형의 기본틀로 형태를 확장, 변형시켜 새로운 조형 형태를 만들었다. 그래서 도제 소재(素)가 나타낼 수 있는 조형적인 아름다움과 조명등의 기능을 극대화 시킴으로써 우리 생활공간속에서 조화되어 보다 인간을 위한 공간 창조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방법은 참고문헌과 관련자료에 의하여 도제 조명등을 중심으로 조명등의 변천과정을 조사하며, 조명등의 일반적인 고찰을 통한 이론적인 근거를 토대로, 현대 우리나라 조명등을 기능에 따른 조형적 형태로 분류하여 새로운 조형형태 창출에 접근하였다. 그리하여 일반적인 투각에 의한 도제 조명등에서 벗어나, 광원에 직접 작용하여 기하학적인 단순한 형태속에서 새어나오는 주장에 의한 빛의 효과로 공간속에서 기능과 미적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조형물로서의 형태적 가능성을 디자인한 시작품을 제시하였다.;Lighting is the act to get an effect from projecting natural or artificial light into the objects. And the influence of it spreads from the simple sight-recognition of thing and spaces to the spiritual shpere such as emotion and feeling. Accordingly lighing become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element to make men live as human beings. Of course the primitive man used the fire at an artificial light to drive our his fear of darkness, to protect himself from dangers, and to express the ritual and the authority as well. But the develpment of artificial lighting materials, and the changes of man's way of life and environments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result in many froms of lamps in accordance with their materials and usefulness. At present the role of lamp is changed form the mere instrument of lighting spaces to the functional decoration of life. The more divers man's taste and demands become, the more important the problem of functional and visual design of lamps become. In this respect lamp must not be regarded as a mere lighting medium but as the moulding form to created the functional and comforting living spaces. And the ceramic lamp is the best moulding form, because it is made of soil(Soil is man's best friend). But having no particularites of the transparent body like crystal, the existing ceramic lamp is used as mere open work decoration or the concomitant vessel of the source of light. Therefore in this thesis, using the transparent body which is the particular environment, quality and form of a ceramic lamp, I create a new plastic form by enlarging or transforming a triangular protrusion, a globe and a hexahedoron which can be called the geometric solid forms into the basis forms. And this can help us to create the space for man harmonious with our living space though the maximum of the moulding beauty and the function of lamp. And the methods to arrive at this thesis are as follows ;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ing course of lamp focusing on the ceramic lamp dependent on the reference books and the relative materials ; the classification of the lamps in this country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nd the creation of new moulding on the basis of this classification. By these methods, I suggest the visual works designed for realizing possibility to satisfy the esthetic demands and to perform spatial function as a moulding work which formalizes the effect of transparency derived form direct operating on the source of ligh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