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영실-
dc.creator이영실-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1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1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0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103-
dc.description.abstractThe dolls made by ceramics with the meaterial of clay are shown to have been extending the higher rate of growth for export year after year by making their debut as export item for ornamental use in our country since 1971. However, this particular phenomenon is limited up to such an extent that most of them are relied upon the sample orders from foreign countries, and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the products developed by ourselves have been appeared to have literally none of them. Furthermore, it is the actual fact that the clay dolls for domestic demand are also on sales through utilizing the existing items for export as they are. In this thesi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se kings of clay dolls, a series of examination were made on the origin of common dolls and their history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transitional process and production process for developing tile dolls made by ceramics in oui country and so forth. The dolls, with the purpose of using them for magical practice to prevent calamity and religious ceremonies, have made a diversified progress since the begining of manufacturing them with natural object. As of the Present age,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our daily Life as the orna mental use for children's toys and their emotion of Life rattler than the purpose of religious use. The clay dolls of country have been passed through various transitional process ranging from the clay figures (dolls) of the Shilla era, the tlieroglyphic celadon procelain of the Koryo age and the excellent articles of Chosun by Rhee dynasty. Coming to the current age, they have been produced in small-scale factories by a few number of ceramists or ceramic process for the use of ornament. As for analysing the design of current dolls made by ceramics they are consisted of primary colors with 5 - 7 different kinds and the main tone of neutral tints. And the products expressed in realistic design have been mostly sold for the use of simple ornament through mass production. As the dolls are known to be expressed in the custom of one's country, a personal description and characteristic looks, etc, a number of trading activities have been going on among the countries as sight-seeing local products of souvenirs and the products for export. In our country, it is the reality that they have been relied upon the orders from foreign countries rather than peculiar development of products. for this reason, our characteristic of peculiarity has not been able to show it off. In this thesis, by making the dolls made by ceramics through using clay, in order to develop the diversified progress of ceramic ornamental products, a new direction is intended to present with desig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background of design, since the enlightened age, has chosen the living figures of Korean people in the modern ages and the current times. Furthermore, as for the process of manufacture, it is the method of making the body figure at first and then putting clothes on the body with thin clay plate. If using plastic casting, as it would be able to put the clothes of diversified colors on a body figure, the designs are aimed at manufacturing colorful dolls.;흙을 재료로 한 도자인형은 관상용(觀象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1971년부터 수출품목으로 등장하여 매년 높은 수출의 신장을(伸張率)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는 대부분이 외국의 견본주문(見本注文)에 의한 것으로 우리자체 개발품은 거의 전무(全無)한 상태이다. 또한 내수용(內需用) 도제인형 (陶製人形) 역시 수출품목을 그대로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제인형의 개발을 위하여 일반적인 인형의 기원과 역사 그리고 우리나라에서의 도제인형 변천과정과 생산공장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시작품으로 점토를 사용하여 도제인형을 만듦으로서 도제장식품의 다양한 발전을 위해 디자인에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관상용으로써 디자인의 배경은 개화이후 근·현대 한국인의 생활모습을 선택했다. 그리고 제작과정에서는 태토로 청자토, 산청토, 저온백토를 각각 사용하여 몸체를 먼저 만들고 그 위에 않은 점토판을 만들어 옷을 입히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석고틀을 이용하면 하나의 몸체에 각양각색의 옷을 입힐 수 있어서 다양한 인형을 제작할 수 있다. 성형후 반건조 상태에서 저온안료와 색화장토를 채색하여 저온소성한다. 인형은 재앙을 막기 위한 주술(呪術) 및 종교적 의식에 사용할 목적으로 자연물로 제작하기 시작하여 다양한 발전을 하여 왔다. 현대는 종교적인 사용목적보다 어린이들의 완구 및 생활의 정서를 위한 감상용으로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나라의 도제인형은 신라시대의 토우로부터 고려의 상형청자, 조선의 명기 (明器)등으로 변천과정을 거친다. 현대에서는 단순한 관상용으로 도자공장과 소수의 도예작가가 소규모 공방에서 생산하고 있다. 인형은 그 나라의 풍속, 인상(人相), 특징적 표정등이 표현되어 관광토산품과 수출품목으로 국가간의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독자적인 제품개발보다는 외국의 주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우리고유의 특징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유동성있는 흙을 재료로 하여 우리만의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한국적인 소재를 배경으로 독특한 토속미와 자연미를 지닌 도제인형을 제작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Ⅱ. 인형의 일반적 고찰 = 5 A. 인형의 기원 = 5 B. 세계 인형의 역사 = 8 Ⅲ. 한국의 도제인형 = 15 A. 한국 도제인형의 역사 = 15 B. 도제인형공장 현황 = 20 Ⅳ. 디자인 분석 = 24 A. 현대 도제인형 = 24 B. 디자인 분석 = 26 C. 기타 재료에 의한 인형 = 35 Ⅴ. 작품제작 및 해석 = 37 A. 디자인 배경 = 37 B. 작품 제작과정 = 40 C. 작품해석 = 51 Ⅵ. 결론 = 77 참고문헌 = 79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586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도제 인형-
dc.subject한국인-
dc.subject생활모습-
dc.subject인형-
dc.subject도자인형-
dc.title도제 인형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인 생활모습을 소재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VELOPING THE DOLLS MADE BY CERAMICS : With an Emphasis of Living Figures of Korean People as the materials-
dc.format.pagexi, 83 p. : 도판 (특수매수에 한함).-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