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丁淑暎.-
dc.creator丁淑暎.-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4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9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0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99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오늘날 교육이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의 궁극 목표인 인간화에로의 길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새롭게 모색하려고 썼다. 따라서 인간화, 인간해방을 위한 의식화 교육을 통해서 시도한 Freire의 교육사상을 살펴 보고 그의 사상을 기독교교육과의 만남을 통해 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한국의 기독교교육에 적용시켜 보려고 했다. 첫째, A) 그의 교육사상 B) 교육목적과 장 C) 교육방법에 대해 살펴 본다. 프레리는 브라질 캐톨릭교회가 탄생시킨 교육학자로 억압조정에 반대하는 투쟁에의 참여로써의 교육론을 전개한다. 문맹퇴치에 관심을 갖게 됨으로 Brazil 문화써클 운동에 참여하면서 자유를 위한 문화행위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그로 인해 Brazil에서 추방당하여 현재까지 제네바의 W. C. C에서 일반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프레리는 인간을 세계내에서 세계와 더불어 존재하는 역사창조에의 주역으로 이해한다. 인간은 자신을 객관화시키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praxis의 존재이므로 그러한 존재로써 세계를 변혁한다는 것은 세계를 인간화하는 것이다. 세계는 압박자와 피압박자의 모순적 관계속에서 압박이라는 이름의 비인간화가 빚어지는 것이다. 이 관계는 사회전반에 걸쳐있는데 압박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문화가 "침묵의 문화"인 것이다. 이 문화는 지배문화에 감정적으로 의존되어 있다. 이 침묵의 문화는 비인간화의 소산이며 비역사적인 것이다. 그래서 침묵의 문화는 새로운 변혁을 요청하게 된다. 이 새로운 변혁은 피압박자들이 자신의 현실을 운명론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변혁할 수 있는 한계상황으로 인식하도록 의식화 될 때에 가능하다. 이와같이, 인간화·인간해방을 위한 변혁하는 행위를 자유를 위한 문화혁명이라 한다. 이것은 비인간화된 인간과 세계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행동한 후 성찰하고 다시 인식하고 창조하여 변혁을 이루는 행위를 말한다. 이 혁명은 피압박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새로운 인간 (new man)에 의해서 가능하며 그럴때 압제자, 피압제자, 양자를 해방할 수 있다. 프레리는 교육은 길들임이냐? 해방을 위한 교육이냐?로 교육은 결코 중성적이 될 수 없으며 교육목적은 인간해방을 위한 교육으로 본다. 그러므로 교육현장도 인간해방을 위한 문화행위가 일어나는, 즉 Praxis가 일어나는 삶의 전 영역이 될 수 있다. Freire는 문화써클에서 의식화 교육을 직접 실천하므로 문제제기식, 대화, 편찬과 해석, Praxis의 새로운 방법을 보여 준다. 둘째, Freire의 교육사상을 기독교교육과 접촉점을 찾기 위해 A) 기독교 교육학자들의 사상 B) Freire사상과 기독교교육의 만남을 살펴 보았다. 1960년 이전의 대표적 학자들과 그 이후 학자들의 사상을 살펴 보았는데 이들의 사상을 프레리와 관련해 볼 때 기독교교육도 인간화를 지향해 가고 있음을 본다. 교육방법에 있어서도 대화와 참여의 방법은 Freire의 Praxis방법 중에 속함을 볼 수 있다. 교육의 장은 이들 학자를 통해 본 가정, 교회, 학교, 사회로 국한되지 않고 Freire에게는 모든장 (場)을 포함한 삶의 전 영역이 된다. 끝으로 Freire의 교육사상을 비판하고 한국의 기독교교육에 적용시키려고 했다. 그의 교육사상은 사회화, 인간화에로의 교육이 한계에 이른 오늘날 기독교교육이 세계의 역사화를 지향하게 해 준 점은 커다란 공헌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Freire의 교육의 장에서 폭넓은 견해와 실제적인 삶과 구체적인 이론을 연결해 주는 Praxis교육 방법은 탁월한 점이다. 그러나 그는 인간을 낙관적으로 이해하여 인간의 실존적 타락의 일면을 고려하지 못했다. 또한, 세계를 압박자와 피압박자의 구조로 극단적으로 양분시켰다. 그러므로, 그의 인간해방에 대한 초월적 근거가 미약하여 역사의식에 대한 미래성이 약하여서 현실직시로 인한 참여는 강조되나 이것이 변증법적 맑시즘의 재현으로 끝날 수 있는 약점이 있다. 그러므로, 그의 교육사상을 통해 한국의 기독교교육에 적용하려면 교육신학 측면에서 재검토해야 된다.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인간해방에서 고찰해 보고, 한국의 상황에서 비인간화된 점들을 찾아 분석함으로써 인간화의 길을 찾으며, 기독교교육을 인간해방이라는 점에서 그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이 모색돼야 할 것이다.;It is the purpose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of humanization,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is crisis in the world today. They are as follows; (1) To take a good look at the idea of Freire who tried to attain humanization and liberization of humanity through education for consciousness. (2) To relate the idea. of Freire's education from his point of view with Christian education. (3) To adapt to Korean Christian education. 1. The idea, of Freire's education, the purpose and the place of Freire's education and the method of Freire's education are written as follows. His education theory suggested cultural action for freedom against oppression. His Un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is that mankind is the creator of history : Dehumanization is the result of the relation of the oppressors and the oppressed is called "The culture of Silence." This culture of Silence produces Dehumanization. Culture of Silence requires a. new change. Therefore, action for the new change for mankind and the liberization of humanity is cultural action for freedom. Freire puts education only in two categories; Is the education domestic? or Is the education for Freedom? The place of education widens all the area of life which makes praxis possible. Freire shows new ways of going through praxis : problem posing method, dialogue, coding and decoding. 2. a) The idea of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are studied b) Relation Freire's idea of education with the christian. Christian education is also directed toward humanization according to christian education scholors. Education method of dialogue and participation belongs to praxis method of Freire. These scholars see the place of education as home or church or school or society separately rather than as a whole as Freire sees it. Finally, through this study to be able to adapt Freire's idea to Korean christian education there are still several considerations remai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Ⅰ.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B. 연구의 범위 = 4 Ⅱ. Paulo Freire의 교육사상 = 6 A. 교육사상의 배경 = 6 B. 교육목적과 장(場) = 16 C. 교육방법 = 27 Ⅲ. Paulo Freire의 교육사상과 기독교교육의 만남 = 44 A. 기독교 교육학자들의 교육사상 = 44 B. Paulo Freire 교육사상과 기독교교육의 만남 = 55 Ⅳ. 결론 = 68 參考文獻 = 73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12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Paulo Freire-
dc.subject교육사상-
dc.subject인간해방-
dc.subject기독교교육-
dc.titlePaulo Freire의 교육사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인간해방의 교육과 기독교 교육-
dc.title.translatedPAULO FREIRE'S IDEA OF EDUCATION : Liberization of Human Education and Christion Education-
dc.format.pagev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dc.date.awarded198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