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美景-
dc.creator李美景-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8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7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9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747-
dc.description.abstract국민학교 학생들의 경우에 지식을 터득함에 있어서 직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알게되는 경우도 많겠지만, 항상 접하게되는 교과서를 통해서 수많은 간접경험을 하게된다. 인간은 지적수준이 높거나 낮은 사람을 막론하고 글보다는 우선 그림을 보게된다. 국민학교 저학년의 경우, 교과서란 단순히 교육용 도서일 뿐만 아니라 교과서에 실린 일러스트레이션을 봄으로써 학생들은 지식과 기능을 배우며 사상, 가치, 심미감과 안목도 배우게 되며, 이 영향을 그 나름대로의 이미지로 형성하게 된다. 저학년 학생들은 이러한 간접경험을 본능적인 지각을 통하여 경험이라는 의식과 무의식의 저장탱크에 간직했다가 새로운 개념이나 이미지를 접하게 되었을 때에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인지됨으로서 재구성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학교 교과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은 피상적이고 형식적인 표현으로서 단지 내용을 이해시키는 것에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국민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중요성과 실태에 비추어 문제점을 알아보고, 바람직하고 합리적인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방법을 찾아봄으로써 학생들에게 옳바른 개념을 심어주고 건강한 인격을 성장시킬 수 있는 근원을 만들어 주자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교과서를 비교하기 위해서 사회적 특성이나 환경등에 의해 내용의 성질이 쉽게 바뀌지 않는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국민학교 교과서에 실린 일러스트레이션을 연구하기 위해 이론적인 배경으로 편집의 본질, 국민학교 교과서의 특성과 기능, 교육심리학적인 역할, 시각언어로서의 역할에 대하여 문헌을 통해 살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민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재료나 용구의 사용에 따른 표현기법과 묘사방법에 따른 표현형식, 표현형태, 구도, 색상, 합목적성등으로 현황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와같은 조사과정에 나타난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은 혼탁한 색상의 수채화기법에 의해 이루어져 단조롭고 표현형식에 있어서도 교과내용에 적절한 묘사방법이 아니라, 피상적이고 형식적인 표현으로 되어 있었다. 일본의 국민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은 다양한 표현재료에 의해 아동의 학습이나 감각경험의 폭을 넓히고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개념이나 내용에 따라 적절한 표현방법으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묘사방법이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있는 우리나라 국민학교 교과서에 실린 일러스트레이션은 표현내용에 알맞도록 바탕재질이나 표현재료가 다양하게 사용되어야 하겠으며, 교과내용에 적절한 표현형식으로서 학생들에게 개념이나 내용이 옳바르고 정확하게 전달되어야겠고 그결과 학생들에게는 충분한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고 단조롭고 애매한 학습경험에서 벗어나 흥미감과 창조력을 바탕으로 한층 풍부한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In elementary school, young children usually get their knowledge from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 (direct experience), but get more from school text books (indirect experience) which they meet every day. When you open a book, your first visual contact will be met with pictures rather than letters, whether or no you are educated. For younge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llustrations in text books are not only publications aimed at education, but are things, helping them constructing their image, accumulated from incessant learning processes of knowledge, functions, thoughts, social merit, ethics and vision of life. They store in their thinging tanks newly acquired knowledge of indirect experience which filtered through their instinctional organs. If new concept and image arises, indirect experience plays distinctive power in reconstructing their new recognition. Despite of these, Korean illustrations in text books, which are introduced by shallow and facial intentions, play minor role simply helping understand the meaning of books.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ive tho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fair recognition of new concept and aid in establishing healthier charactor, by probing real problems the use of illustration faces today, and providing new method of expressions in the area of educational illustration. In order to exclude possible those negative factors of soci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which easily change the real concept of qualities, I have chosen Japanese and Korean national language text books to try to compare them each other. This research went through pile of text book publications with plent of illustrations in school text books for seek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unctions, roles in. the area of psychological education and playing parts in the area of visual language technics emerged as influential background. This research also paid great attention to the techniques of expression, simply employing using materials and tools, adopting forms of depiction, style, composition, coloring, objectiviness. Comparison was made after careful analysis of realities between too countri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report shows that illustrations introduced in Korea are dull and facial, using simple water color pictures which are unclear, and distinctively shallow and formative in its expression by arranging unsuitable illustrations only to fill the spaces. In contrast, those of Japanes illustrations are helping children remarkably, mobilizing every possible materials of expressions, enlarging their sphere of understanding and perceptional acceptance with correct representation of new concept and context. In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 recommend a few suggestions which, I hope, improve qualities of text book illustrations in Korea. 1. employing diversified materials and better basic foundation in making of illustrations. 2. transfer correct meaning and concept of children by adopting new method of reflective illustrations. 3. improv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excluding uncreative and facial expressions common in Korean text boo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범위 = 3 D. 연구의 방법 = 4 Ⅱ. 편집형식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 = 5 A. 편집의 본질 = 6 B. 국민학교 교과서의 특성과 기능 = 10 C. 국민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심리학적 역할 = 16 D. 국민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언어로서의 역할 = 21 Ⅲ. 우리나라 국민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형식에 관한 교육적인 고찰 = 38 A. 연구범위 및 분석기준 = 38 B. 우리나라와 일본의 국어교과서 일리스트레이션의 표현현황과 비교분석 = 39 C. 우리나라 국민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개선방향 = 53 Ⅳ. 결론 = 62 참고문헌 = 65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635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교과서-
dc.subject일러스트레이션-
dc.subject표현형식-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우리나라 국민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형식에 관한 교육적인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민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Use of Illustra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 Books Published in Korea : Mainly on Language Education-
dc.format.page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