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희-
dc.creator김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3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1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9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14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여성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사회적으로 여성에 대한 법적, 경제적, 정치적 보장이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적 소외현상으로서 몇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특히 대중매체를 통해 여성의 商品化 현상과 社會 逆機能的 현상을 살펴보았다. 본문에서는 우선 歷史的 藝術作品에 등장하는 여성상은 어떤 내용을 담았는지 대표작품을 예로들어 살펴보았고, 여성의 역할면에서는 전업주부와 취업주부로 나누어 여성의 지위와 사회적 소외현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대중매체가 만들고 있는 여성이 인간존엄의 측면을 허구로 만들고 있으며 다만 흥미꺼리로써 商品化 하거나 전통적 고정관념속에 빠져 있는 여성상을 만들고 있음으로써 성인 뿐 아니라, 자라나는 어린이에게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래서 현대에 들어 여성이 인간으로 보여지기 보다는 상품화되어 보여지는 실정과 우리사회의 역기능적 현상으로써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인신매매, 강간, 성폭력, 매춘 등의 주제를 가지고 作品을 제작하게 되었다. 본 작품에 있어서는 여성의 리얼리티(reality)를 강하게 살리기 위해 흑백사진의 효과를 이용했고 부분적으로 칼라색면이 들어가 변화를 유도했으며, 문안은 실크스크린을 이용해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제작했다. 작품 1은 "주부중 69.8% 벅찬 집안 일을 하소연"이라는 제목으로 전업주부가 과중한 집안일에 매여있다는 상징으로서 무쇠솥에 묶여 있는 모습으로 나타내었다. 작품 2는 "여자는 말이야……." 라는 제목으로 사회에서 여성이 꽃으로 혹은 살림살이를 하는 사람으로 밖에 보여지지 않음을 살림도구와 꽃으로 얼굴을 만들어 상징화 했다. 작품 3은 "오직 단 하나 여자라는 이유만으로"라는 제목으로 여성의 얼굴에서 눈과 귀, 입을 여성소외의 주제가 되는 글로 막아버림으로써 여성이 사회속에서 겪는 소외현상을 상징화 했다. 작품 4는 "취업주부 65% 직장과 가사에 지쳤다"는 제목으로 취업주부의 이중고에 대한 상징을 위해 한 여성이 두가지 모습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작품 5는 "여성 97% 성폭력에 떤다"는 제목으로 여성을 접시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비인간화 된 모습을 극대화시키려고 했고 상처받은 여성을 나타내기 위해 남자의 지장을 실크스크린을 이용해 넣었다. 작품 6은 "주머니속에 위험한 장난감"이라는 제목으로 남성 양복을 배경으로 주머니속에 꽂혀있는 여성을 나타냄으로써 남성의 마스코트화 되고 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작품 7은 "사람낚시"라는 제목으로 인신매매범의 속죄기사 내용을 문안으로 했고, 여성의 신체에 상품을 연상시킬 수 있는 택(Tag)을 연결해 상품으로 상징화 했다. 작품 8은 "바겐세일, 좋은 상품을 엄선하였습니다"라는 제목으로 봉투속에 거꾸로 들어가 있는 여성의 발이 등장함으로써 여성의 상품화를 상징했다. 작품9는 "여성은 어디로 갔는가?"로 신문에서 여성소외를 다룬 헤드라인과 여성의 신체를 연결해 물음표를 만들어 작품화 했다. 작품 10은 '잘 선택하셨습니다'로 웨딩드레스를 입은 여성이 팔렸습니다라는 글이 붙여진 액자를 들고 있음으로써 전시장에서 액자와 함께 팔려가는 여성을 연상시켰다. 여성이 가깝게 접할 수 있는 여성지가 정말로 여성을 위한 페이지는 얼마나 되는지 의문스러운 昨今에 이르러 바쁘게 돌아가는 現代社會속에서 빠르게 전달되어질 수 있는 Illustration의 역할이 사회속에서 여성의 소외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많은 부정적 현상들을 조금씩 좁혀 나갈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하며 작품을 시도했으며, 앞으로도 여성의 지위가 發展的으로 계속 되어질 것을 기대해 본다. 이 작품을 제작하면서 우리의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여성 스스로도 좀 더 나은 삶을 위해 창조적이며 적극적인 삶의 자세가 중요하리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This thesis indicates that legal, economical and political security for women should be made by investigating the roles and positions of women and presentes several examples as social phenomena of siolation of woman and especially, the women's commercialization phenomenon and social reverse functional phenomenon were examined through public media. In the body of this thesis, to find out what is the view of womanhood appearing in historical work of art, several representative works were examined as examples and in the side of woman's role, the woman's position and social isolation phenomenon were investigated divided into a unemployed housewife and a employed housewife. And also, isolation phenonmena influenced by education of feminity were studied. In the next chapter, it was indicated that women made by public media are making the dignity of mankind a falsehood and public media commercialize women as a interesting matters only or making the image of woman in the traditional fixed idea and thereby, they have an ill effect on not only adults but also growing children. Thus, with such subjects as human traffic, rape, sexual violence and prostitution which is raised as social reverse functional phenomena and with the fact that women are commercialized rather than regarded as human in modern times the works were produced. In these works, the effect of black and white photographs were used for strong eminence of women's reality and a change was induced by inserting color in part and lettering was produced to be harmonized as a whole by using silk-screen. The work 1 was presented the housewife's image binded to an iron pot symbolizing that she is bound to excessive house work with the title of "69.8 percents of housewives appeal their excessive house work" The work 2 symbolized the fact that a woman is regarded as no more than a flower or a person doing housework by making a woman's face with housekeeping instruments and flowers with the title of "a woman is..". The work 3 simbolized the isolation phenomena a woman experiences by plugging eyes, ears and a mouth in a woman's face with the letter which is the subject of isolationn with the title of "with only one reason of that she is a woman" In the work 4, tow images of one woman was showed to symbolize the dual suffering of an employed housewife with the title of "65 percents of employed housewives are tired of their jobs and their housekeeping" In the work 5, with the title of "97 percents of women tremble for the fear of sexual violence", the woman's image placed on a dish was showed for the maximization of a nonhumanized image and to represent burted woman, the finger print of a man was inserted by using silk-screen. In the work 6, with the title of "a danger toy in a pocket", the phenomenon of being a man's mascot was showed by representing the woman putted in a pocket with the background of a male suit. In the work 7, with the title of "a human-hook" the contents of expitation article by the criminal of human traffic was a letter draft and what is connected with a tag which can suggest the goods in a woman's body was symbolized as goods. In the work 8, with the title of "bargain sales, a good commodity was selected carefully". The commercialization of a woman is symbolized by representing the foots putted upside down into an envelope. The work 9 with the title of "where is a woman?" was produced by making the question mark with the connections of the headline article treating the isolation of a woman in the paper and a woman's body. In the work 10, with the title of "You well chose" the woman with picture frame for sale in a display, was suggested representing the woman wearing a wedding dress with the board saying that "just saled". These works were tried with the thoughts that the illustration which can communicated rapidly in modern society turning busily at the present times in which it is doubted that how many, the real pages for women in women's jurnals easily touched are, can decrease the negative phenomena as woman's isolation in our society, and I expect that various attempts will be continued with advancement I found that the woman's own positive and creative attitude for the better life with our social change is important through the production of these 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예술소재로써의 女性 = 5 B. 女性의 역할 = 7 1. 전업주부로서 여성의 역할 = 8 2. 취업주부로서의 여성의 역할 = 11 3. 여성과 소외와의 관계 = 15 C. 대중매체와 여성 = 17 1. 대중매체가 만드는 여성상 = 18 2. 女性의 商品化 = 22 Ⅲ. 제작과 그 해석 = 31 Ⅳ.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764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여성 상품화-
dc.subject일러스트레이션-
dc.subject광고디자인-
dc.title여성 상품화를 주제로 한 일러스트레이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llustration Based on the Commercialization of Women-
dc.format.pageix,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