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원-
dc.creator김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6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5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9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542-
dc.description.abstract시대가 변천하면서 그에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식생활도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는 식기에 있어서도 전문화와 세분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때문에 후식용기 또한 후식의 특성에 맞게 전문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문적인 후식용기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그 형태면에 있어서 식기의 기능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없는 한도 내에서 미적으로 조형성 있는 후식기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연구의 내용은 꽃 이미지를 통해 후식기를 디자인 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 우선 서양과 우리나라의 식문화를 비교하여 후식의 개념을 파악하고, 다음으로는 문헌과 사진자료를 통해서 후식과 후식용기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조형적인 후식기 디자인을 위해, 미적인 조형성을 내포하고 있는 꽃을 디자인의 기본 주제로 선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꽃의 구조와 형태적인 특성을 통한 꽃 이미지가 어떻게 일반적인 조형물과 식기에 표현되는가를 도판제시와 함께 고찰하여 이를 본 연구의 후식용기 디자인에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는, 꽃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작품에서 차츰 정돈된 직선과 곡선으로 단순화 시켜, 여러 각도에서 꽃 이미지를 후식용기에 표현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같은 분위기로 디자인 한 cup, bowl, plate, 를 한조로 정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대량생산과 기물의 완벽성을 위해, 이장주입 성형방법을 채택하였다. 시유와 소성은 작품의 특성에 따라 달리 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제가 식기이니 만큼 깨끗하고 밝은 색감의 유약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강조할 부분은 여러가지 색감으로 표현해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대략 다음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우리가 쓰고 있는 식기는 음식을 담아 놓은 개념과 더불어 우리가 항상 보고, 느끼고, 함께하는 생활용기이다. 때문에 기능상의 문제가 없어야 하며, 눈으로도 즐거울 수 있는 미적 조형성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둘째, 우리 주변에서 늘 아름답게 존재해온 꽃이 식기의 표현에 있어서 단순히 평면적인 문양으로만 그치지 않고 꽃의 미적인 조형성을 살려 식기의 형태면에 있어서 현대적이고 감각적인 디자인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As the times progress along with the improvements made in the quality of our life-style, the way our dietary life-style has been changing displays great diversity. People today have become inclined to enjoy the beauties and luxuries of life. Under these circumstances, a new aspect of dietary life-style in which people crave for savory and aromatic desserts as stimulating refreshments after meal, has been launched. Such variations in dietary life-style generate specialization and subdivision in tableware. Therefore, tableware especially, dessert-ware has to be specialized in line with the types of desserts it is made to hold. Thus, this research work will mainly focus on the specialized dessert-ware. Firstly, the functional aspect of dessert-ware has been studied with respect to the shape. In other words, the goal of this research work has emphasized on the development of aesthetically formative dessert-ware which also has to be functional in its use. Next, the details of this study have been focused on the designing of dessert-ware by illustrating the flower images portrayed on the dessert-ware. In order to do so, first a general concept of desserts has been studied by making a comparative study between Western and Korean dietary life-styles. Secondly, the desserts and dessert-ware have been throughly analyzed by means of related literatures and associated photographs. The flowers having aesthetically perfect shapes have been selected as the basic theme of design in order to draw the formative dessert-ware. The formative representation of flower images have been explored through the study of the physic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flowers and the analysis of how the flower images have been represented into a model. Futhermore, the flower images were made to serve as a good reference for the design of the dessert-ware in this research work by carefully studing the illustrations of formative dessert-ware examples along with the presentation of related photographs. In the course of designing, actual flowers have been simplified into pure straight-lines and curved-lines, and such simplified images have been portrayed onto the dessert-ware, then cups, bowls, and plates, with the identical images made to constitute one set of dessert-ware. On the other hand, in the course of casting, the modeling method of injecting the mixture of substance has been employed for mass-production and flawlessness of workmanship. The methods of first-glazing and baking have been modifi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work, and crystal-clear and glossy glaze were used to take into account of the hygienic importance of tableware. In summary,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is research work falls into two parts. First, the tableware, which people utilize to hold food is an everyday household-good which they see, fell and live with day to day. Accordingly, tableware has to be both functional and beautifully contoured so that people can enjoy from using it.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portraying of flower images onto tableware, one should not only illustrate the plane figures of flowers, but should also try to develop modern and sensible designs with regard to the shape of tableware by employing the aesthetic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low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문화와 식생활과의 관계 = 4 B. 후식 및 후식기의 특성 = 10 Ⅲ. 꽃 이미지의 조형성 연구 = 19 A. 꽃의 구조 및 형태의 특성 = 19 B. 꽃 이미지의 조형적 표현 = 26 Ⅳ. 작품제작 및 해석 = 36 A. 디자인 과정 및 작품제작 과정 = 36 B. 작품해석 = 73 Ⅴ. 결론 = 95 참고문헌 = 98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749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꽃 이미지-
dc.subject도자식기-
dc.subject조형성-
dc.subject후식용기-
dc.subject용기디자인-
dc.title꽃 이미지에 의한 도자식기의 조형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후식용기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sert-Ware-
dc.format.pagexii, 101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