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權寧順.-
dc.creator權寧順.-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4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1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9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109-
dc.description.abstract本 論文은 1800年 부터 1930年代에 걸친 女人의 暖帽인 남바위, 풍채, 아얌, 조바위와 굴레에 관해서 考察한 것이다. 朝鮮末期에는 西歐的 勢力의 急激한 來侵으로 衣食住 等 日常生活에 심대한 影響을 끼쳤으며 특히 朝鮮의 服飾構造는 中國과의 복합적인 組織이 西歐와의 복합적인 組織으로 變形되어 갔다. 이와같이 西歐文物의 流入으로 인해 우리 固有의 頭飾도 消滅되어 갔고, 이 分野에 대한 關心을 소홀해 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本 論文은 사라져 가는 우리 服飾의 한 部分인 頭飾을 硏究해 봄으로써 우리 服飾文化에 조금이나마 도움미 되고져 했으며 美的感覺 및 固有한 裝飾性을 通해 우리 祖上의 슬기를 더듬어 보았다. 本 論文에서 다룬 暖帽類는 대개 耳掩系에서 流出되었고 男子들의 暖帽가 變形된 것도 있다. 耳掩은 朝鮮初期인 太宗때 부터 있던 暖帽類로서 初·中期에는 그 使用制度에 있어 貴賤에 巖格한 區別이 있었으나 末期에는 社會 一般이 큰 差別없이 便用되는 普遍性을 띄고 있다. 그러나 일정한 形態에 付着된 裝飾性에서는 貧富에 따라 약간의 差異가 있기 마련이었다. 形態의 一般은 頂上部는 열려 있으나 머리 全體를 덮는 것으로서 防寒의 役割을 하며, 그 위에 여러가지 付着物을 붙여 裝飾的인 面도 고려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末期로 갈 수록 더욱 더 裝飾的인 面이 짙어지고 있다. 즉 그 모양은 全體的으로 둔한 狀態에서 날렵해졌고 가장자리에 둘러진 털은 뻣뻣하고 긴털에서 부드럽고 짧은 狀態로 되어 갔다. 織物은 絹이 대부분이며 綿은 안감에서 볼 수 있다. 毛皮는 길고 뻣뻣하며, 윤기나는 것으로 黑色, 짙은 밤색으로 일정하나 아얌에서는 비로드와 같은 촉감이 나는 짧고 보드라운 정돈된 털도 있고, 少兒用이나 남바위의 별도로 付着된 볼끼에서는 白色의 보드라운 털도 使用되었다. 色은 대체로 안감이 겉감보다 색상이 華麗하고 明度, 彩度가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며 강한 色을 많이 使用하였다. 그리고 겉감은 黑, 紫, 藍色 等 어두운 色이고 대개 일정하나 少兒用에서는 밝고 여러가지로 多樣함을 볼 수 있다. 付着된 寶石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비취, 玉, 銀, 석우황, 산호가 가장 많이 使用되었는데 모조품으로 된 것도 있었다. 조바위가 寶石의 形態나 位置, 種類에 있어 가장 多樣性을 나타내고 있다. 끈목은 四絲끈, 매듭끈도 있으나 대개 平織으로 짠 납작한 끈목이고 주로 아얌에서 볼 수 있다. 매듭은 감개매듭이고, 술은 봉술로만 되어 있었으며 풍채는 앞9봉 뒤7봉술, 조바위는 앞5봉 뒤3봉술로 一定하나 나머지는 일정하지 않다. 裝飾性에는 이 外에도 여러가지 우의적인 뜻을 지닌 紋樣이 있어 그 아름다움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와같은 暖帽의 着用者들은 대부분 기성품을 使用하고 있었고 1930年代까지는 이러한 暖帽를 볼 수 있으나 西洋의 마후라, 목도리가 流行하면서 자취를 完全히 감추었고, 조바위는 요즈음에도 돐사진을 찍을 때 가끔 女兒들이 使用함을 볼 수 있는 外에는 그 이름 조차도 알지 못하는 實情이다. 以上과 같은 暖帽類의 考察에서 조상의 섬세함과 裝飾을 하면서도 행복한 삶을 追求하는 염원이 깃들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is paper is an observation on the woman's warming hoods such as Nambawi, Pungchae, Ahyam Jobawi and Gullae worn from 1800's through 1930's. At the late era of Chosun dynasty. The every day lifes of people were greatly influenced by invasion of western world, in particular the styles of clothing are changed from Chiness-like one to Western-like. So the hoods of our own's were dissappeared gradually, and the interests of them were reduced accordingly by the western culture invaded. Therefore this paper is intend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of clothing culture by considering of hoods, one of the almost disappeared clothes, and review the wisdom and sense of beauty of our ancestor by unique ornament. The warming hoods in this paper are from a category of ear-protection gear and also deformed from man's one. The ear-protection gear was a warming hood from Tae Jong, the king of the early era of Chosun, and usage classifications of them were strict according to the class division at the early and mid era of Chosun, but generally diminished at the late era, thery were used freely, but the differences in decorations represented the division of the rich and poor. General feature of it is open top, but covers all of head and is used for warming clothes, with has many decorations on it, this decorative tendency was more clear at the late era. Namely, the shape had been modified from tough one to modish one, and fur, the material of it, are from stiff and long to soft short and well refined, was dominently used in cloths and cotton is found most from the inside material. Most fur are long, stiff and lustrous, and it's colors are usually black and dark brown, but Ahyam has even a short and soft fur touched like velvet. One for children, or cheek-piece(bollki) attached to Nambawi is made of white and soft fur. Generally, the color or the inside cloth is brighter and more luxurious than that of out side, and primitive, out side cloth are usually black, indigo and violet but colors for children's are bright and in variety. Attached jewels are many kind, but jades, gems, silbers, and corals are usually used, and also the immitations. Jobawi shows a most variety in shape, place attached and kind of jewels. String-necks(Keun mock) are usually flat woven as shown in Ahyam and also four color-twisted string, and knot string. Knot is wound, Fringes are all sewed, Pungchae has nine sewed fringes in the front and seven in the back, and Jobawi five sewed fringes in the front and three in the back, but in other hoods there is no constraint in Number. In ornament, there are many kinds of shape of Print with implicit meaning, which enhence the beauty of it. The ready-made warming hoods were mostly used. This warming hoods were used until 1930's, then disappeared by the population of western mufflers and wraps. Jobawi is now already forgotten even its name except for the ornament in picturing the baby in first birth day. In revewing the consideration of warming hoods mentioned. It is found that the subtlety of the ancestor, and there are supplication for the happiness of life even in the decor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槪要 = ⅹ Ⅰ. 序言 = 1 Ⅱ. 時代的 背景과 始原 = 3 Ⅲ. 暖帽의 種類 = 10 A. 남바위 = 10 B. 풍채 = 17 C. 아얌 = 23 D. 조바위 = 34 E. 기타 = 37 Ⅳ. 暖帽에 나타난 裝飾性 = 50 A. 材料 = 50 B. 色 = 57 C. 付着物 = 58 D. 紋樣 = 66 E. 構成 = 75 Ⅴ. 結言 = 79 參考文獻 = 83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348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조-
dc.subject여인-
dc.subject난모-
dc.title朝鮮朝 女人의 暖帽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800年∼1930年代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OMAN'S WARMING HOOD OF CHOSUN DYNASTY : Mainly from 1800's till 1930's-
dc.format.page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과자수전공-
dc.date.awarded1978.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직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