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申美瑛-
dc.creator申美瑛-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1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4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8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479-
dc.description.abstractMan has lived wholly on the suln and moon as heavenly stars of matural light before he uses the fire. But, gradually accustomed to the life of settement soem what advanced from that of nomadism, he could learn the importance of light in his interior life. Also, in the usage of fire, he has established adapted methods for changed lives oriented from his variety of desire, step by step, beyond the simple methods in his primitive state. Then, again, should be pointed here that the variety of the materials available would have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his recognition of fire a great deal,as weel as the joint of science with his life owing to the find of electricity. On the another hand, today, man has become to go into a more intivate relationship with his dweeling space as a living field where radically individualized personal desires mty be meeted beyond a level of more employment for his general living conveniences. The point is that, when the living space is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very luminaire, the latter plays a role of very important psychological effect, and hence, so called aesthetic and functional role-playing is also connected to it together. So, from this viewpoint, the study has first paid interest to the historical transitions in the development of the light, and then, to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improving the current ceramic luminaire. Especially, confined within the standlamp and wall-decorating lantern, some purpose-complemental applications of ceramic illuminator were conducted in the study. As for the manufacturing of the study, both of the natural feeling of material and the convenineces in production were successfuall pursued by adding 25 to 30% of Shamotte to the existing clay. Besides, products were created in such a manner that mat appoint well mixed mood of totality for the freshness of living space by having them connect harmoniously to interior surroundings, and also, by making then so as to have their figurative designs and light match together naturally, through a full making use of geometrical forms and variegated figyrative methods.;人間이 불(火)을 사용하면서 부터 비로서 인공광원(人工光源)으로서의 빛을 발견하게 된다. 빛은 인간의 생활방식이 이동생활에서 정착생활을 하게 됨에 따라, 점차로 중요하게 인식됨으로서, 빛을 얻는 방법이나 보관의 측면에서 꾸준히 연구되고 발전되어 왔다. 초기의 燈器는 어둠을 밝힌다는 단순한 목적에서 사용되어 졌으나, 점차로 다양한 욕구에 따른 변화된 생활방식에 맞추어질 수 있도록 연구되었다. 또한, 석유의 유입에 이은 電氣라는 광원이 발명된 후 조명등의 급격한 발달과, 조명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조명등의 일반성을 띠게 되었다. 현대에 있어서, 사회가 조직화되고 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우리의 주거공간은 단지, 의,식,주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기능과 용도에 따라 개별화되고 세분화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점차적으로 등기는 개인적인 욕구를 수렴 할 수 있는 생활의 場으로서의 역할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었다. 그러므로, 本 硏究에서는 照明燈 중 스탠드 램프와 벽장식燈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硏究方法은 燈이 발생한 시대적 변천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조명의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도제 조명등 개발의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도제 조명등의 조형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형태별로 분류해 봄으로서, 새로운 시작품에 응용해 보았다. 試作品 製作에는, 기존의 粘土에 사모트(25~30%)를 첨가해 줌으로서 자연스러운 재질감과, 제작의 용이성을 도모 하였다. 또한, 기하학적 형태와 투각기법을 이용하여 실내 환경물로서의 조화로움 뿐만 아니라, 투각되어진 문양과 불빛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지도록 해 줌으로서, 전체적인 분위기가 생활공간의 새로움을 보태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本 硏究는 수공예적 측면에서의 작품제작과, 도자조형물로서의 형태적 가능성을 제시함에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2 Ⅱ. 조명등의 시대적 변천과정 = 4 Ⅲ. 조명의 일반적 고찰 = 13 A. 빛의 종류와 특성 = 13 B. 조명의 심리적측면 및 개념 = 15 C. 조명등의 분류 및 기능 = 19 D. 조명기구의 특성에 따른 미적분석 = 25 Ⅳ. 도제조명등의 조형적 표현 = 29 A. 도제 조명등의 형태별 분류 = 29 1. 원통형 = 29 2. 구형 = 30 3. 반구형 = 30 4. 각형 = 31 Ⅴ. 작품제작 및 해석 = 36 A. 디자인 계획 = 36 B. 작품의 제작과정 = 48 C. 작품 해석 = 51 Ⅵ. 결론 = 67 참고문헌 = 69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472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도제-
dc.subject조명등-
dc.subject요업디자인-
dc.subject도제예술-
dc.title陶製 照明燈 開發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장식용 간접 조명등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IMPROVEMENT IN CERAMIC LUMINAIRE-
dc.format.pageviii, 72 p. : 사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