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연희 .-
dc.creator유연희 .-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7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4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8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470-
dc.description.abstract近代地理學의 수립과 近代敎育學이 수립되었던 17세기 경부터 鄕土에 대한 地理的 考察은 現在까지 꾸준히 지속되어 왔다. 그것은 地理敎育이란 空間, 自熱과 人間과의 關係, 環境, 分布, 地域이라는 地理學의 基本槪念을 기초로 하여 「地理的 事象의 分布」 「地理的 事象의 關係」 「地域의 特色」을 觀察調査, 계량분석, 地圖化를 통하여 把握하는데 目的을 두었기 때문이다. 卽, 鄕土란 우리 주변의 가장 가까운 空間으로서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經驗되는 基本空間單位이고 本地域이다. 따라서 궁극적 地理敎育의 目的은 鄕土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本 硏究에서는 鄕土地理란 무엇이며, 初·中學校 社會科 敎科書에서 鄕土地理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가를 보기 위하여 첫째,地理敎育에서 鄕土學習이 어떻게 정착하여 發達되었는가? 둘째,初·中學校 社會科에서 鄕土內容이 4次敎育課程改政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세째, 鄕土學習의 事例로서 江華島를 제시하였다. 硏究의 方法으로는 먼저 우리나라에서 鄕土學習이 어떻게 인식되어 발달하였는가를 알기 위하여 각종 文獻을 調査하였으며, 鄕土擧習이 시행되고 있는 初·中學校 社會料에서 鄕土內容의 敎育課程의 변천에 따른 時期別 地理敎育의 目標比較, 小單元을 中心으로 主要槪念, 分量 用譜, 地圖, 地名 등 기타 內容을 分析하고 전체적으로 國民擧校와 中學校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江華島의 鄕土地理硏究를 위하여 踏査를 통해 실제를 파악하고 地理的인 資料를 그래프화 하였다. 分析한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鄕土學習에서 어떤 地理的 基本槪念이 學習될 수 있는가를 現行 中學校 社會1 '擇土의 生活'을 보면 空間, 地域, 地圖化, 縮尺, 地球科學, 自然과 入間과의 關係, 分布의 槪念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그 중 가장 빈도가 큰 것은 自然과 人間과의 관계이고 그 다음이 地域의 槪念이다. 鄕土學習은 이러한 모든 地理的 基本槪念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鄕土學習을 통해 地理的인 基本槪念전반을 이해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둘째, 鄕土學習의 內容을 小單元을 中心으로 비교하면 國民學校에서는 자기가 살고 있는 학교나 고장을 中心으로 內容이 간단히 전개되지만 中學校에서는 자기 고장만이 아니고 여러 특색을 지닌 地域의 內容을 포함하여 점차적으로 鄕土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도록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세째, 鄕土內容의 比重은 국민학교는 전체 단원에 비해 24.9%, 中學校는 6.4%로 나타나며, 地理的 用語나 地圖 등 지리적 技術面에 서 보면 국민학교에서는 주변에서 地理的 事象의 파악에만 주력하였을 뿐 地理的 知識을 가르치는데는 소홀하며, 중학교에서는 독도법, 鄕土調査法, 다양한 地理用語를 이용하여 鄕土愛를 기름과 동시에 地理的 知識의 習得에도 힘썼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鄕土學習은 敎育의 目標達成이나 目的을 위해 또 地理學習의 場으로서, 地理的, 思考가 시작되는 初 中學校 社會科에서 鄕土學習을 위한 보다 더 심화된 內容들이 보충되어야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mpared the reality for the community geography, which are units social studies. The literature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e aspects of education and geography. It is a1so to clarify the transition of home ground or near arounded area from an old to a modern society. This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present primary and middle school's curriculum. Kang-Hwa island is a model as "Heimat" survey for its plentiful geographic resources and its clear unit for research. And then for study about "Heimatcunde" of the Kang-Hwa island, this is Understanding the reality through the field work and graphing data.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nalysis shows that middle school text-book describes concepts such as space, region and map, scale, glovalism, and man-and-dand relationship. Of thes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nd-land and the regional comcept are significant. It means that students have to understand general geographical basic concepts thcough the study of home ground, because contains all geographical concepts. 2. In the present text-book, the number of chapters increased from 15.0% to 31.8% in the primary school, at the same time it decreased from 7.3% to 6.4% in the middle school. Thus primary school students became to perceive the geopaphical understanding in home ground study of geogaphic terminology and mapping etc. which normally would apply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3. Comparing contents of home ground studies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the analysis first, is simple centering around the home ground and second, gradually expend the home ground scale to intlude also other regions. In conclusion, to obtain the goal of geogaphic studies and retain the standard the confined contents of the present text-books should be complemented for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geographic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方法 = 2 Ⅱ . 理論的 背景 = 4 A. 鄕土의 槪念 및 意義 = 4 B. 鄕土地理의 歷史的 背景 = 7 Ⅲ. 地理敎育과 鄕土地理 = 18 A. 地理敎育의 目標 = 18 B. 鄕土地理敎育의 目標 = 21 Ⅳ. 鄕土內容의 分析 = 24 A. 地理的 영역의 鄕土化 = 24 B. 鄕土單元의 內容分析 = 26 Ⅴ. 鄕土學習의 전개 = 36 A. 鄕土資料調査方法 = 36 B. 鄕土學習指導案 (中學交 社會Ⅰ 敎科書) = 38 C. 鄕土單元資料 (江華島를 中心으로) = 43 Ⅵ. 結論 = 58 參考文獻 = 60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142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지리교육-
dc.subject향토교육-
dc.subject학습지도-
dc.title地理敎育에 있어서의 鄕土敎育에 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HOME GROUND IN THE GEOGRAPHY EDUCATION-
dc.format.page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